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09 19:27:02
Name iliket
Subject [질문] 에어컨 온도 질문
날이 더워 에어컨을 틀고 자는 날이 많습니다.
27도로 설정하고 종일 튼것과
24-5도로 설정하고 종일 튼것의
전력소모 차이가 많이 큰가요?
에어컨은 듀얼 인버터 달린 제품입니다
주위에서 오래 틀 경우 생각보다 온도로 인한 전기세 차이가 크지 않다는 얘길 들어 질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지느
18/08/09 19:40
수정 아이콘
에어컨 전력소모가 가장큰구간이 킨 직후에 30도(요즘)인 온도를 설정온도로 낮추는과정이거든요
그래서 그 구간이 지나고나면 27도를 27도로 유지시키는거나 25도를 25도로 유지시키는건 생각보다 큰 차이가 없습니다
틀어놓은 시간이 짧을수록 차이가 크고 오래 틀어놓을수록 차이가 줄어들죠
그래서 에어컨 전기세 아낀다고 껐다켰다 하지말라는거기도하고..
Sentient AI
18/08/09 20:01
수정 아이콘
https://blog.naver.com/twophase/221319691668
https://blog.naver.com/twophase/221323825771
27도 28도 차이 실험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환경마다 좀 다르긴 하겠지만요.
18/08/09 21:52
수정 아이콘
환경마다 약간 다른게 아니고, 사실상 환경에 전부 달려있습니다.

에어컨은 기본적으로 현재 온도가 희망 온도보다 높으면 풀파워로 기동하면서 에어컨에 적혀있는 소비전력 만큼을 소비하고, 현재 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면 컴프레서가 멈추면서 소비전력이 선풍기와 동등한 수준으로 내려가고, 시간이 흘러 다시 온도가 올라가면 풀파워 기동을 재개하는 형태로 동작하는 물건입니다(원시적인 에어컨은 컴프레서가 문자 그대로 풀파워가동-정지-풀파워가동 식으로 동작하며, 이 사이클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많은 손실을 봅니다. 고효율 에어컨일수록 풀파워~정지 부분이 세밀하게 단계적으로 진행이 되고요).

바꿔 말하면 28도에서 열에너지 공급량이 냉방능력을 상회하게 되는 환경이라 풀파워 기동을 해도 영영 28도 아래를 찍지 못하는 경우, 27도로 설정하나 24도로 설정하나 둘 다 상시 풀가동을 하니까 소비전력이 동일합니다. 26도에서 열에너지 공급량과 냉방능력이 평형을 이루는 경우라면 27도쪽은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고, 24도쪽은 상시 풀가동을 하니까 소비전력 차이가 커지죠. 에어컨이 없더라도 절대 23도 이상 안 올라가는 환경이라면 둘 다 선풍기 역할만 하는 것이니 다시 소비전력이 동일하고요.

결국 소비전력은 열에너지 공급량이라는 환경에 따라 갈리는 것인데, 이게 집집마다 천지차이입니다. 똑같이 사람 1명 사는 집이라 하더라도 집이 상당히 크고 전면유리가 많은 환경에서는, 작은 착문이 전부인 6평짜리 단열 잘 된 북향 오피스텔보다 열에너지 공급량이 30-50배씩 커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설정온도는 그 자체가 열에너지 공급량에 영향을 미칩니다. 열에너지 공급은 크게 실내 발열체가 공급하는 것(가정 내 전기 쓰는 물건은 대부분의 에너지가 결국 열로 전환되고, 안에 체류하는 사람도 열을 만들어냄)과 외부에서 conduction, convection, radiation을 통해 들어오는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나머지는 설정온도와 크게 관련은 없지만 conduction으로 공급되는 열량은 실내온도와 외부 혹은 위/아래/옆집의 온도 사이의 차이가 클 수록 커지거든요.

뭐 이런 이유로 환경 없이는 아무 의미도 없습니다. 밤이라면 태양이 없으니 radiation이 거의 없고, 외부 온도 자체가 그리 높지 않으니 conduction으로 공급되는 열량도 그리 크지 않으며, 활동할 때보다는 아무래도 작동중인 전자기기가 적을테니 내부 발열량도 상대적으로 낮아집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외부 온도가 충분히 높고 기밀성이 떨어지는 집에 냉방능력까지 빠듯하다면 27도든 24도든 간에 상시 풀가동을 하게 될 수 있고, 외부 온도가 28도 위/아래/옆집은 21도인데 외부와의 단열능력은 아주 우수하고 위/아래/옆집 사이에는 단열이 신통찮다면 24도와 27도 모두 쉬는 시간이 주를 이룰 수도 있고, 환경이 그 중간 어딘가라면 27도는 살짝씩 돌지만 24도는 풀로 가동될 수도 있습니다.
18/08/10 19:45
수정 아이콘
그럼 에어컨을 켤때 창문을 이중창까지 닫아주는게 더 좋겠네요? 열 유입을 최소화하기위해 단열에 신경을 쓰면서 애어컨을 킬 수 있게요
제가 이해한게 맞는거죠?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큰 지식 얻고 갑니다
18/08/10 22:21
수정 아이콘
창문을 다 닫아도 집이 완전한 기밀이 아니기 때문에(보통 집이 기밀이라면 이웃집 담배냄새가 올라오네 마네 할리가 없죠) 대류 열전달이 여전히 존재하고, 창문(은 물론이고 벽이나 지붕, 바닥) 자체도 전도를 통해 열전달을 합니다. 그러니까 이건 집 자체의 구조 및 외부-실내온도의 차이와 관련된 이야기이고, 창문을 닫아서 해결되는 차원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1501 [질문] 영화 남산의 부장들 보고 질문입니다(10.26 에 대한질문) [4] 키류4852 20/01/22 4852
141500 [질문] 친구들끼리 해외여행간다고 통보하는 여자친구 [27] 노스텔지아8567 20/01/22 8567
141499 [질문] 타이어 옆면 파손 질문 [6] 낙화3568 20/01/22 3568
141498 [질문] 라데온 그래픽카드 설정 [5] ELESIS5111 20/01/22 5111
141496 [질문] 유게 글보고 간디에 대한 질문 저격수2443 20/01/22 2443
141495 [질문] 영화 '백두산' 넷플릭스에 올라오나요? [2] Liverpool FC11922 20/01/22 11922
141494 [질문] iptv 추천 부탁드립니다. [3] Skyline3278 20/01/22 3278
141493 [질문] [헤어스타일] 포마드 주의사항? [5] 연애잘합니다4021 20/01/22 4021
141492 [질문] 취업 관련 서류 질문입니다. [3] cheaterzz4358 20/01/22 4358
141491 [질문] 탈모약 복용 질문드립니다. [4] 장첸4394 20/01/22 4394
141490 [질문] m3 육각나사에 맞는 드라이버 규격은 뭔가요?? [7] 여자친구3410 20/01/22 3410
141489 [질문] 구글 포토 앨범 업로드 문제가 있습니다. [2] 귀여운호랑이3765 20/01/22 3765
141488 [질문] k5 옵션 선택 질문입니다. [16] 정휘인6722 20/01/22 6722
141487 [질문] 인천 남동구쪽에 대방어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1] HappyBath2659 20/01/22 2659
141486 [질문] 주차된 차를 누가 긁고 갔습니다. [9] 어정쩡4460 20/01/22 4460
141485 [질문] 트랜스젠더 여군복무 어떻게 생각하세요? [15] 차은우3734 20/01/22 3734
141484 [질문] 갤럭시 S8 액정수리 vs 폰교환 [8] 요슈아4629 20/01/22 4629
141483 [질문] 라이젠 모바일 3700u 노트북 프리징 질문입니다 [11] 인생은서른부터4782 20/01/22 4782
141482 [질문] 갤럭시 s20 자급제로 폰 구매하려 합니다. 사전예약하는 게 제일 나을까요? [22] 모나크모나크6757 20/01/22 6757
141481 [질문] 40대 아재가 원하는 작은 선물 추천해주세요 [7] 콩탕망탕4461 20/01/22 4461
141480 [질문] 용과같이 제로 2회차 질문 [2] 키류4501 20/01/22 4501
141479 [질문] 보험 똑같은거 2개가 낫나요? 좀더 비싼거 1개 드는게 낫나요? [4] 검은안경4130 20/01/22 4130
141478 [질문] 기안의 46억짜리 건물 월임대료는 어느정도 나올까요? [5] 창술사6071 20/01/22 60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