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26 15:08
(수정됨) 여기서 지름은 상관없구요 (헷갈리게 하려는 계략입니다)
압력은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힘입니다 F(힘) = P(압력) A(넓이) 이건 압력의 정의구요 F(물이 아래로 누르는 힘) = m(질량) g(중력가속도) 이건 물이 아래로 누르는 전체 힘입니다 여기서 m(질량) = 밀도 V(부피) = 밀도 A(단면적) h(높이)로 쓸수 있어서 전체식은 P = ρ(밀도,그리스문자 로우) h g가 됩니다 이게 물리책에 써있을거에요 Pa(파스칼)은 정의가 N/m^2입니다 중력가속도 g = 9.8 m/s^2이구요 물의 밀도는 1g/cm^3 = 1000kg/m^3 입니다 힘의 단위 뉴턴의 정의는 N = kg m/s^2 이구요 그래서 2000 Pa = (1000kg/m^3) (10 m/s^2) h h의 단위는 m이고 중력가속도는 계산의 편의상 10으로 퉁쳤습니다 h = 0.2m를 얻습니다. 이걸 mm로 바꾸면 200mm가 됩니다 알아두시면 좋은게 1기압은 대략 10^5 =100kPa 입니다 이에 해당하는 물의 높이는 대략 10m입니다
18/07/26 17:30
덩달아 질문인데, 왜 기상학에서는 헥토파스칼을 많이 쓰죠?
파스칼이 작은 단위라 불편한건 알겠으나 1기압이 1000헥토파스칼이나 100킬로파스칼이나 별로 차이가 없어보이는데, 킬로그램, 킬로미터 같이 킬로가 아니고 헥토를 쓰는 이유가 뭔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