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22 00:27:36
Name nexon
Subject [질문] 사투리는 왜 생겼을까요...?


안녕하세요..

똑같은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지역별로 억양, 어휘 등이 달라서 사투리가 존재하는데요

그 사투리는 어떻게 해서 생겨났을까요...?;


보유재산이나 신분처럼 특정 계층에서 사용하는 어휘 등은 그 계층에서 다른 계층과의 차이를 두기 위해 일부러 만들어냈다고도 할 수 있겠지만(귀족-천민간 서로 사용하는 어법이나 표현이 다른 경우)

사투리는 신분이나 보유재산보다는 단순히 거주지역에 따라 달라지는데

지역이 다르면 억양과 어투도 달라지게 되는 현상은 왜 생겼고 어디에서 기인하였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회색사과
18/07/22 00:38
수정 아이콘
언어는 계속 변하는 거니까요.... 계속 변하는데 분절되어 있으면 서로 다르게 변화하는거죠.

서울말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70년대 서울말이 다르고 80년대 서울말이 다르고 90년대 서울말은 또 다르죠
Designated
18/07/22 00:38
수정 아이콘
표준어가 존재했다가 사투리로 퍼져나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사투리가 먼저 존재했고 그 뒤에 표준어를 정했을 뿐입니다.
9년째도피중
18/07/22 00:40
수정 아이콘
음.... 저는 지역마다 언어가 다른게 당연하다고 보고요. 어떻게해서 서로 다른 집단간에 언어적 유사성이 생겨났을까가 그 다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서로 같은 언어를 쓰게 된 걸까요? 표준어 제정, 국민교육 이전의 사회에서 말이죠. 저도 궁금하군요.
피식인
18/07/22 00: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같은 지역에서도 시간이 지나면 언어가 변하는데 교류 자체가 활발하기 힘들었던 다른 지역간에 언어 차이가 있는게 당연한게 아닐까요? 조선시대 서울말이랑 현대 서울말 차이가 현대 서울-부산간 사투리 차이보다 심할 겁니다. 똑같은 언어-방언을 사용하는 집단을 서로 다른 지역에 떨어뜨려 놓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각자 독립적인 방향으로 변하니까 차이가 생길 수 밖에 없죠.
지나가다...
18/07/22 00:43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지금처럼 이동이 쉽지 않아서 행동 반경이 좁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니 좁은 지역 내에서 언어가 독자적으로 발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죠.
펠릭스-30세 무직
18/07/22 00:44
수정 아이콘
질문을 사투리가 왜 생겼을까요가 아니라 사투리가 왜 줄어들었을까요? 라고 해야 합니다.

미디어의 발달덕에 오히려 사투리가 많이 줄어들었지요.

예전 할머니들이 쓰는 말과 당장 제가쓰는 말과 엄청나게 차이가 있습니다.
솔로13년차
18/07/22 00:44
수정 아이콘
거주지역에 따라 갈라지는 이유는, 다른 지역말을 접할 기회가 적어서 그렇다고 봐야겠죠.
제주어가 사라져가고, 지역별 사투리가 약화되는 건 방송의 영향이라 할 수 있죠.
키무도도
18/07/22 00:46
수정 아이콘
사투리 큰 버전이 외국어죠.
Galvatron
18/07/22 00:47
수정 아이콘
유럽의 라틴어계언어들에나 해당하는 얘기지 전체적으로는 글쎄요.
솔로13년차
18/07/22 01:04
수정 아이콘
동양쪽이 특이하긴 한데, 제주어의 경우나, 북경어, 광동어의 경우도 있죠.
아마 유럽의 경우처럼 국가가 자잘하게 갈렸다면, 보다 많은 언어로 평가됐을 수 있다고 봅니다. 천년 가까이 국경선이 고정되어 있던 동아시아다보니 그런 게 적은 거죠.
아케이드
18/07/22 00:56
수정 아이콘
사투리가 생겼다기 보다는 원래는 아예 다른 외국어 같은 거였는데, 비슷해진게 사투리일 겁니다.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서 부족시대까지 가면 부족마다 말이 달랐다고 하더군요.
그게 점점 통합되어서 비슷해져서 국어가 되는 것이고, 중심부족 말이 표준어가 되는 거죠.
올키넌
18/07/22 01:00
수정 아이콘
원래는 방언밖에 없었는데 필요에 의해 표준어가 만들어진거죠.
4막1장
18/07/22 01:13
수정 아이콘
질문이 적절치 않은 듯 하네요.
사투리라는 구분이 이루어진 건 표준어라는게 있고난 다음일 테니까요.

표준어는 '교양있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현대 서울말'로 정의된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사실 서울도 방언이 있죠. '~~걸랑요?' 이런 류의 말은 요즘은 잘 못듣죠.
특정 동네에나 가야 들을래나..
솔로13년차
18/07/22 01:31
수정 아이콘
사투리는 언어의 작은 단위니까, 사투리 중에서 표준어를 정한거지 표준어가 있고나서 사투리가 있는 건 아니죠.
18/07/22 03:55
수정 아이콘
발음 몬알아 먹는 애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지 멋대로 듣고 지 멋대로 발음함..크크
이상한 말 만들어 내는 애들도 많고요.
사투리 안생기는게 더 이상합니다
지금도 문법 이해는 커녕 체득이라도 제대로 하는 한국인 비율 생각해 보면,
미디어없어지고 이십년만 지나도 사투리가 여기저기서 새로 태어날껄요
필부의 꿈
18/07/22 09:48
수정 아이콘
넓게보면 모든언어는 다 사투리죠
원시언어라는 아프리카 설타음이 최초의 언어로서
쓰여지고 이후 설타음에서 파생된 수많은 사투리들이
지금 70억인류가 쓰고있다는 수만가지의 언어이니까요
StayAway
18/07/22 11:34
수정 아이콘
사투리 중에 하나가 표준어가 된 것일뿐..
GOLDBÄREN
18/07/22 13:03
수정 아이콘
모든 언어를 방언으로 볼 수는 없고요, 같은 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하나의 방언군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는 있겠죠. 흔히 말하는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하는 거 말이죠. 위에서 여러 사람들이 지적했듯이 방언이 먼저 존재하고 그 위에 표준어가 있는 거라 질문 자체에서 전제하는 바에 문제가 있어요. '똑같은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지역별로 억양, 어휘 등이 달라서 사투리가 존재하는데요'가 아니라 '지역별로 억양, 어휘 등이 다르면서도 똑같은 언어를 사용한다'니까요. 차라리 '똑같은 언어에서 왜 지역별로 억양, 어휘, 문법 등이 다르나요?'라고 물어야겠죠. 그 답은 기본적으로 언어라는 건 유동적인 것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데, 지역별 지닌 지리적 특성이나 지역 주민들이 인식하는 어떤 사물의 종류 및 분류 등이 언어의 변화 양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지금이야 교육의 발달로 맞춤법과 표준발음에 대해 지역과 무관하게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이고, 미디어도 매우 발달하였으니 예전만큼 지역별 방언 편차가 심하지는 않아요(젊은 층일수록). 그런데 백년 천년 단위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런 게 전혀 없었으니 지역별 편차가 매우 심햇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643 [질문] ip주소를 통해 위치를 알 수 있나요? [4] 삭제됨3006 18/07/22 3006
122642 [질문] 라그제로나 똥나무 할만한가요? [2] 데비루쥐2449 18/07/22 2449
122641 [질문] 컴퓨터가 자주 멈춥니다! [2] 챔쁜이2012 18/07/22 2012
122640 [질문] 홍콩/마카오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14] Amiel3357 18/07/22 3357
122639 [질문] 노트북 사려고 하는데 괜찮은 결정인지 봐주세요 [2] 삭제됨2079 18/07/22 2079
122638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 [2] TWICE MINA2234 18/07/22 2234
122637 [질문] SR 학습법 실제로 해보신 분 계신가요? [6] 강아지아빠5289 18/07/22 5289
122636 [질문] 어릴 때 봤던 3d 동물 로봇 애니메이션 질문입니다. [4] 회색사과1834 18/07/22 1834
122635 [질문] 외국 친지 방문 중인데 에그 임대는 어디서 하나요? [1] 대치동박선생1471 18/07/22 1471
122634 [질문] 컴터가 이상합니다 ㅜㅜ [8] 현직백수1635 18/07/22 1635
122633 [질문] 혹시 제폰만 유튜브볼 때 이런가요? [14] 정공법1939 18/07/22 1939
122632 [질문] [프로듀스48] 여성 사이트에서 일본 여자들을 싫어하는 이유가 뭘까요 [24] 헤헤헤헤4617 18/07/22 4617
122631 [질문] 개인 블로그를 운영하기 좋은 사이트가 있을까요? [5] grrrill1797 18/07/22 1797
122630 [질문] 집들이선물 추천해주세여 [7] Mindow2418 18/07/22 2418
122629 [질문] 피치항공은 정말 피치못할때만 타야하나요? [20] 무민5447 18/07/22 5447
122628 [질문] 임산부 누나 선물 [6] 만두2011 18/07/22 2011
122626 [질문] 이번에 개봉하는 미션임파서블 보려면 전편 다 봐야되나요? [5] 삭제됨1876 18/07/22 1876
122625 [질문] 콩솔게임(플스 위주) 잡담이나 게임 관련글 리젠 잘되는 게시판은 어딘가요? [5] WhiteBerry1773 18/07/22 1773
122624 [질문] 리그 오브 레전드의 이스포츠로써의 수명은 얼마나 남았을가요? [24] Lighthouse3572 18/07/22 3572
122623 [질문] 인터넷 속도와 핑의 연관관계가 있나요? [2] 삭제됨3320 18/07/22 3320
122622 [질문] 유성페인트칠이 일어나지 않을 테이프 제거법 알려주세요 [3] ll Apink ll1666 18/07/22 1666
122621 [질문] 독일축구가 졌을 때 프랑스보다 영국이 더 좋아하는 이유가 있나요? [10] will2584 18/07/22 2584
122620 [질문] 프듀 영업 해 주실 분 모집합니다. [4] 삭제됨1517 18/07/22 15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