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20 10:58:40
Name 개미
Subject [질문] 헬스장 초보자, PT를 받고 싶은데 고민입니다.
헬스장 2주 다닌 초보자입니다.

예전에 유머게시판에서 트레이너를 부르는 운동법 게시글을 보면서 엄청 웃었는데

와 이게 웃을일이 아니더라구요.

운동법도 모르고, 기구 사용법도 모르고 처음보는 운동기구들은 손대기조차 겁이 납니다.

목표는 체력을 기르고자 운동을 시작했는데 나름 몸도 만들면 좋다 생각해서 아직까지는 열심히 다니고 있습니다.

체지방이 18~19%이고, 근육량이 정상보다 조금 낮습니다.

처음 트레이너 분 통해서 OT를 받을때는 옆에서 하나하나 잡아주니 효과가 엄청 나더라구요.

문제는 OT가 끝나고 혼자 운동하려니, 효과도 떨어지고 제가 하는 자세가 맞는건지 도저히 알 수 가 없습니다.

그냥 유투브 동영상 보면서 지금처럼 해도 되는데

PT를 받으면 앞으로 운동할때 굉장히 유용할거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문제는 역시 비용이죠.

처음 트레이너분은 주 3회, 6개월을 추천하던데(72회)

회사다니면서 주 3회 받을 수 있을지 솔직히 자신도 없고

헬스장에서 기본 운동법만이라도 몸에 익히려면 PT를 몇회를 받아야 할까요??

지금 생각으로는 주 2회, 3개월(24회) 정도 생각하고 있는데

주변에서는 12회만 받아도 된다, 돈벌려고 하는 상술이다 등등 의견이 다양한데요.

72회는 비용이 너무 부담되서 힘들거 같은데

저 같은 완전 운동 초보자에게 몇회정도에 PT를 받는게 가장 효율적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혜리
18/07/20 11:0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주 2회 한달 총 8회가 미니멈으로 해서 두달정도면 충분합니다.
그 이후에는 스스로 하실수가 있어요.
게르아믹
18/07/20 11:03
수정 아이콘
저도 PT는 그냥 상술이다 생각했었는데 올해 처음으로 받기 시작했는데 다르긴 다르더라구요.

30회 결제해서 지금 27회정도 받았는데 앞 20회때 보다 뒤 7회때 몸이 변하는게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으시다면 받는거 추천드립니다.
알카드
18/07/20 11:08
수정 아이콘
적어도 30회 이상 추천드려요. 기본에 운동 노베이스면 사실 30회 받아도 자세 다 완벽하게 구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프리웨이트는 자세 자체가 의외로 꽤 신경쓸게 많고, 머신이나 케이블 같은 운동으로 근육에 자극 먹이는 느낌이 드려면 자세도 자세인데 그 움직임에 좀 익숙해지고 나서야 느낄까 말까 한거라서..
수타군
18/07/20 11:09
수정 아이콘
오티만 받아봐도 피티가 도움이 된다는 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받아 보셨다니 그 효과는 아실거구..
문제는 돈이라 ㅠ 여유 되시는 한도에서 진행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힘내세요.
18/07/20 11:10
수정 아이콘
저도 30회 정도는 추천드려요. 사실 30회 정도 받고도 어느 정도 텀 있을 때마다 단기적으로 피티 받으시는 거 추천이고요. 자세가 조금씩 틀어지는 이유로...

저도 피티 30회 받았는데 처음 20회보다 마지막 10회쯤가서 효과가 느껴지는 느낌이었어요. 머리로 듣는 거랑 몸이 익혀가는 건 다르니까요.
18/07/20 11:23
수정 아이콘
30회 끊어서 받았는데 50회로 할껄 하고 후회했습니다. 위에 YX님처럼 효과가 느껴질 시점이 PT 거의 끝나갈 시점이더라구요.
18/07/20 12:32
수정 아이콘
처음 시작할때는 pt받는게 무조건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30~40회는 받아야 혼자 운동할수있는 법을 익힐수있다 생각하구요.
동네형
18/07/20 13:28
수정 아이콘
주 1회면 됩니다 운동을 배우러 가는거지 시키는대로 운동하려고 가는건 아니라서 ;;
그리고 트레이너 저어어엉말 잘골라야 합니다.

지는 쓸줄도 모르는 케틀벨 가지고 와서 이상하게 가르치거나
우리나라 특유의 무릎 자극 고립 같은거 주장하는 애들이 너무 많아서요. 이거 정말중요해요.
18/07/20 13:28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분들 감사합니다^^
회당 7~8정도 하던데, 만만치 않은 금액이라..다른지출을 줄이고 PT받는쪽으로 고려해보겠습니다!
18/07/20 13:56
수정 아이콘
회당 7~8이면 가격이 그래도좀 나가는 편인데 위에 동네형님 말대로 괜찮은 트레이너인지 꼭 고심해서 고르시기 바랍니다. 오리엔테이션 한번 꼭해보시고요.
18/07/20 14:02
수정 아이콘
좋은 트레이너면 다섯번만 해도 충분하고 쓰레기 트레이너면 만번을 같이해도 몸이랑 관절만 상하죠.
18/07/20 14:04
수정 아이콘
쓰레기 트레이너 구분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구분하기 쉬운걸로 스쿼트할때 무릎이 발 앞으로 나가면 안된다, 하프 스퀏 이상은 무릎 상한다, 이런 트레이너는 무조건 거르세요. 스퀏할때 풀스퀏 추구하는 트레이너한테만 가도 기본 70퍼는 먹고갑니다
18/07/20 14:10
수정 아이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운동 초보자인 제가, 트레이너 고르는 안목은... 당연히 없을거라 생각되는데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네요.
가박님께서 말씀해주신 방법 꼭 명심하겠습니다!
OT때 스쿼트를 배웠는데, 무릎이 발 앞으로 나가면 안된다 라는 말은 전혀 안했습니다.
풀스퀏이 어떤걸지 잘 모르겠는데

제가 들은 말은
허리와 코어부분에 힘을 처음부터 끝까지 빼지말고 턱과 가슴을 올리고, 허벅지와 바닥이 평지가 될때까지 내려갔다가 올라오라고 했고
제가 골반이 틀어진건 알고 있었는데
스쿼트할때마다, 무릎이 자꾸 방향이 틀어진다고 방향을 계속해서 바로 잡아주었습니다.

이정도면 괜찮은 트레이너분이겠죠..?
재입대
18/07/20 18:16
수정 아이콘
이거 어디서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햄스트링 발달이 잘 안된 일반인이 굳이 풀스퀏을 고집할 이유가 없다 이런식으로 주장하는 글을 봤던 것 같은데 실제론 어떤가요? 저도 실제 할때는 좀 가벼운거 들어도 풀스쾃 하려고 노력하기는 합니다만...
사구삼진
18/07/20 15:00
수정 아이콘
물고기를 잡아주는 트레이너보다 잡는 방법을 알려주는 트레이너를 만나야 좋을 거 같아요. 하지만 그게 쉽진 않기에..이론적으로라도 공부를 해보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18/07/20 16:54
수정 아이콘
사실 피티는 피부과 가서 투자하는거랑 원리가 비슷한 것 같습니다.
횟수 적게 받는 것은 아무 의미없는 돈x랄,
많이 받아야 효과 있고 의미있음, 그러나 그럴수록 돈 부담은 한두푼이 아님...
제가 카드결제를 웬만해선 할부 안 하고 일시불 했거든요
차 안 사고 결혼 안 하다보니 큰 몫돈 안 들었는데
제가 신카 인생 할부 딱 한번 했는데 그게 피티값...
게다가 전 살도 잘 안 찌는 체질이라 근육도 잘 안 붙어서...
피티 30회에 헬스 1년치 끊었는데 말짱 도루묵,,,ㅠㅠ 크크
근데 사실 체질도 체질이지만 의지박약 인정...크크
동네형
18/07/20 23:12
수정 아이콘
센터이름이랑 트레이너 혹시 회신가능하면 쪽지로 부탁드립니다
찬밥더운밥
18/07/21 09:22
수정 아이콘
엇 저도 제가 다니는곳이 괜찮은곳인지 여쭙고싶은데 쪽지드려도 될까요
동네형
18/07/22 15:05
수정 아이콘
넵 주세용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603 [질문] 소개팅 주의사항? [8] 하늘을 나는 고래4275 18/07/21 4275
122602 [질문] 소셜커머스(쿠팡, 위메프, 티몬) MD 피쟐러분 계시나요? [8] 뀨뀨3419 18/07/21 3419
122601 [질문] 프로듀스 재밌나요?, 주변에서 인기많나요? [25] 중곡동교자만두3457 18/07/21 3457
122600 [질문] 2종 자동 > 1종 보통 변경방법(승용차 수동 난이도 관련) [31] 하나9148 18/07/21 9148
122599 [질문] 장례식장 질문입니다. [16] 스콩어3572 18/07/21 3572
122598 [질문] 게이밍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3] VrynsProgidy1840 18/07/21 1840
122597 [질문] (LoL)첫 다이아 승급 하고 한계는 어디까지 셨나요? [17] 보라도리1898 18/07/21 1898
122596 [질문] 요즘 많이 보이는 히오스유머? 관런 질문입니다 [2] 재입대1823 18/07/21 1823
122595 [질문] 핸들 우방향 돌릴 때 소리가 나는데 빨리 정비해야 하는건가요? [5] will1742 18/07/21 1742
122594 [질문] 충치 치료 문의 [5] Dr.덴마1862 18/07/21 1862
122593 [질문] 출퇴근길에 틀어놓고 들을 영어원문 추천 부탁드려요. [9] 법대로1907 18/07/21 1907
122592 [질문] 8월 말~9월 유럽 여행 궁금합니다. [7] 오렌지망고1886 18/07/21 1886
122591 [질문] 차알못 차량 에어콘 관련 질문드립니다. [3] 동싱수싱1983 18/07/21 1983
122590 [질문] 에어컨 약하게 켜고 지낼때의 전기요금 계산을 알려주세요. [7] 까우까우으르렁3894 18/07/21 3894
122589 [질문] 헌법소원 개인이 할수 있을까요.. [16] 김아무개3202 18/07/21 3202
122588 [질문] 중국 스마트폰 백도어 아직 문제되나요? [12] 츄지Heart6477 18/07/21 6477
122587 [질문] 프로듀스48 픽 4개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금주망태1878 18/07/21 1878
122585 [질문] 유트브 볼때 재생바 넘기기가 제대로 작동을 안합니다... [7] 은경이에게1878 18/07/21 1878
122584 [질문] 젠지가 그렇게 잘하나요? [10] 0ct0pu52321 18/07/21 2321
122583 [질문] (난이도 하)멜로디로 노래 찾아주세요.... [2] 은때까치1624 18/07/21 1624
122582 [질문] 아이패드에서 zip파일 열고 바로 펜슬로 공부하는 앱 좋은게 있을까요? 고타마 싯다르타1769 18/07/20 1769
122581 [질문] 이동국 박주영 이천수중 고교때 가장 날렸던 선수는 누구인가요? [25] 이녜스타4844 18/07/20 4844
122580 [질문] 아파트가 이번에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하는데요 히페리온2249 18/07/20 22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