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17 10:59:26
Name 해피팡팡
Subject [질문] 출퇴근 왕복 4시간 가능할까요?
결혼 준비 하면서 요즘 고민이 참 많은데.. 집이 제일 문제네요.

먼저 결혼한 형을 보니 장모님댁에 육아관련해서 도움을 참 많이 받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그렇게 하려고 합니다만 문제가;; 은평구<->분당을 출퇴근 해야 합니다. ㅜㅜ

이전부터 어중간하게 와이프하고 제 직장사이에 거주지를 잡느니 그냥 집안일 잘 모르는 제가 희생해야지 하는 생각은 늘 있긴 했는데,

이게 현실이 되니 슬슬 고민이 됩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당분간 맞벌이는 포기 못할것 같구요.. ㅜㅜ

자차가 있긴 한데 자차출근은 배제하고 있고, 지하철 1번 환승, 버스 1회 탑승으로 door to door 딱 2시간정도 나올것 같습니다.

먼저 해보신 유부 선배님들 계시면 조언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세종머앟괴꺼솟
18/07/17 11:00
수정 아이콘
가능은 하죠
등짝을보자
18/07/17 11:01
수정 아이콘
자는시간 8시간을 제외하고는 인생의 1/4를 버리는 행위인데.... 개인적으로 출퇴근은 한시간을 넘어가면 영 못쓰겠더라구요(한방에 가는게 아닌이상)
히야시
18/07/17 11:04
수정 아이콘
출퇴근은아니고 통학을 왕복 4시간 약간 넘게 했었고 기점에서 타서 앉아서 가긴했는데
체력적으로 너무힘들고 9시까지 출근이면
씻고 준비하는 시간포함 6시에는 일어나야 8시4~50분에는 도착할테고
야근이라도하시면 무척힘드실텐데
따로 선택지가 없으시니...
힘내세요
18/07/17 11:05
수정 아이콘
그렇게 사는 친구있는데 새벽5신가 일어나서 밤10시 11시에 집에 들어가더군요.
고등학교때 그렇게 살았으니 뭐 할수야 있는거지만..저 같으면 어떻게든 다른 방법을 찾아볼듯..
18/07/17 11:05
수정 아이콘
가능한데 시간이 참 아깝죠...
애 조금 클때까지 빡시게 돈 모은다 생각하고 고생해야죠 ㅠㅠ
아침밥스팸
18/07/17 11:07
수정 아이콘
해보면 적응합니다
7호선 연장 안 됬을때 인천에서 강남 출퇴근 했는데 적응 하게 되더라구요
18/07/17 11:10
수정 아이콘
야근 전혀 없는 직장이면 엄청 힘들 것 같고

야근 있고 회식 잦은 직장이면...음...생각하기도 싫다
정지연
18/07/17 11:13
수정 아이콘
전 대학진학 이후부터 지금까지 그렇게 살고 있으니 못할건 아니긴 합니다만 남에게 가능하다고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18/07/17 11:13
수정 아이콘
저도 왕복 4시간의 출퇴근을 해보긴 했지만 저는 총각때였고 결혼 시작부터 그런 생활하시는건 비추합니다
아직 식도 올리시기 전인데 지금부터 육아까지 감안한 집을 장만하는것 보다
정말 아이가 생기기 전까진 두분만의 삶만 바라보시는게 좋을듯해요
18/07/17 11:20
수정 아이콘
지금 잠깐 왕복 네시간반 출퇴근중인데 미칠거같네요. 계속 이래야한다면 절대 안할듯요.
들쾡이
18/07/17 11:22
수정 아이콘
저는 왕복 3시간정도 출퇴근시간이 걸리는데 좀 힘들긴 하네요 좋은 방안을 찾으셨음 합니다.
18/07/17 11:22
수정 아이콘
정말 지칩니다..
나스이즈라잌
18/07/17 11:24
수정 아이콘
가능이야 하죠 삶이 피곤해질뿐..
강미나
18/07/17 11:26
수정 아이콘
사실 출퇴근 힘든 건 시간보다는 거리의 문제라 편도 2시간이면 우와 소리 나오는데 분당 은평이면 그냥 어영부영 하게 됩니다.
더구나 장모님이 육아해주시고 직장 먼 거 내세워서 집안일 다 떠넘기는 식이면 의외로 괜찮아요.
18/07/17 11:30
수정 아이콘
왕복 4시간이면 걍 근처 고시원방하나 잡는게 낫지 않나요? 집에가면 씻고 잠만자고 나오는 수준일텐데
키무도도
18/07/17 11:31
수정 아이콘
출근시간만 힘든게 아니라. 그게 힘들어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나비효과를 생각하면 정말 큰 지장을 줍니다.
섹시곰팅이
18/07/17 11:3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근무 외 시간 - 출퇴근시간 = 개인여유시간이라고 생각해 조금이라도 줄입니다. 돈 좀 들더라도...
Techniker
18/07/17 11:33
수정 아이콘
제가 비금 도어투 도어로 1시간 50분정도 나오는데.. 회식하면 죽고싶습니다... 다만 야근이 1달에 1회 있을까말까해서 버티지 너무힘드네요 지하철환승 3회...
Techniker
18/07/17 11:34
수정 아이콘
8시 반까지 출근이여서 6시 40분경에 집에서 나옵니다 그러면 회사에 8시 27분에 도착을... 퇴근을 5시 반에해도 7시전에는 집에 절대 도착할수없는...
애기찌와
18/07/17 11:33
수정 아이콘
집안일이야 어떻게든 분담이 되겠지만 육아를 시작하시면..아내되시는분께서 엄청 힘드실것 같은데요.. 처가에서 도움을 주는것도 어느정도지 아내분께서 독박육아를 하셔야할거 같은데..그때는 또 다른 방법으로 이사를 가시거나 하시면 될지 모르겠지만 당분간 출퇴근이야 가능해도 육아는 한번 진지하게 고민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이부키
18/07/17 11:35
수정 아이콘
사무직이시라면 가능합니다. 제가 대학을 4년동안 2시간거리를 다녔어요.
강호금
18/07/17 11:45
수정 아이콘
할수는 있는데 삶의 질이 최악이 됩니다.
StayAway
18/07/17 11:48
수정 아이콘
시간도 돈이에요.
18/07/17 11:48
수정 아이콘
할 수 있느냐 (O)
할만하냐 (X)

라고 하고 싶습니다.
하라면 하겠지만 저도 편도 한시간 반 이상 거리를 한 9개월 다녔는데 야근이 없었음에도 엄청 지쳤었습니다...
18/07/17 11:52
수정 아이콘
참고로 제가 지금 10출 7퇴에 보통 칼퇴근 하고 집에가면 8시쯤 되는데도 불구하고 씻고 저녁먹고 하면 아이볼 시간이 별로 없습니다.
Cazellnu
18/07/17 11:50
수정 아이콘
삶의질이 너무 저하될겁니다 아마
18/07/17 11:51
수정 아이콘
1시간 10분 vs 2시간+연봉 1,000만원
전자를 택했습니다..
후자 택하면 집에 가서 애기 얼굴 볼 시간이 0에 수렴합니다..
srwmania
18/07/17 11:52
수정 아이콘
먹고살아야한다는 절실함이 있다면 다 하게 됩니다.
다만 근무여건이 나쁘지 않으시면 할만은 하고, 아니면 비추 정도겠네요.
극단적으로 출퇴근 시간 4시간과 집에서 독박육아 4시간 고르라면 출퇴근 4시간을 고르는게 정상 (...)
18/07/17 11:53
수정 아이콘
애를 바로 가지실 건가요? 애 가지기 전까지 적당히 전세사시는게 좋을거같은데요
근데 애초에 아내분 직장도 은평구이신건지... 그럼 어쩔수 없는 선택일수도 있겠네요
닉네임세탁기
18/07/17 12:02
수정 아이콘
은평구 분당 죽음일텐데요...
일단 두시간이더라도 어떤 두시간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3호선은 무조건 구파발에서 출발하시는거 타셔서 앉으신다면 그나마 할 수는 있을겁니다..
18/07/17 12:07
수정 아이콘
제가 통학 4시간 했는데, 고등학교 때 공부 더 할 걸 항상 후회하면서 다녔습니다.
덕분에 졸업 이후에 잘 된거 같긴 하지만 하하...
이디어트
18/07/17 12:08
수정 아이콘
왕복 합계 3시간에 버스타고 앉아서 한 방에 출퇴근중입니다
처음은 힘들었는데 지금은 적응해서 그냥저냥다닙니다

한창바쁠땐 저녁도 패스하고 4시간씩 야근꼬박채웠는데(더 하면 버스가 없음) , 집가면 바로 씻고 자야합니다 그래야 아침에 일어나니..
집사람이 하루종일 저 집에 온 뒤 씻고 자기전 5분 동안 이야기하는게 전부라는말 듣고 충격받고 그뒤로는 야근을 최대한 줄이려합니다만.. 그래도 절대적인 집도착시간이 늦어 아쉬운건 어쩔수가 없네요

만약 환승해야하거나 앉지못해 잠을 못잔자면.. 할수는 있지만 뜯어말리고 싶습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18/07/17 12:12
수정 아이콘
잠만자는 방 구해서 자취라도 하시는 게...
akb는사랑입니다
18/07/17 12:1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아주 혐일 듯. 출퇴근만 4시간이면 그 시간동안 사람들이랑 부대끼는 것도 아주 짜증나는 일이고 저는 자차로 출퇴근하는데 편도 1시간 20분씩도 상당히 부담이었는데요.
하우두유두
18/07/17 12:24
수정 아이콘
왕복3시간 출퇴근 버스로 하다가 결혼후 이사가서
자차 출퇴근 평일 왕복2.5시간 금요일 3시간 하는데 솔직히 힘들어용
18/07/17 12:29
수정 아이콘
근데 은평구에서 분당이 왜그렇게 오래걸리죠?
landscape
18/07/17 12:46
수정 아이콘
대강 지도 찍어보면 대중교통 1시간 10분 남짓이라 좀 의아하긴 하네요. 집이나 회사 위치가 역에서 떨어져 있으니, 역까지 가는 시간 등등이 걸려서 그럴거 같긴 한데 그래도 1시간 반을 잘 안넘을거 같아서.


왕복 4시간이라고 하면 체감이 잘 안되고

9-6 기준으로
7시출발, 20시 퇴근
이라고 하면 감이 좀 오네요.

여기에 아점 시간 따로이니 6시 기상, 퇴근 후 저녁먹고나면 오후 9시일거 같고
그리고 칼퇴 기준이니 실제로는 그 이상이겠지요.

위에 키무도도님 말씀대로 출퇴근 자체는 버틸 수 있는데, 거기에 체력 소비한 만큼 다른 일들을 소홀하고 짜증내게 되요. 특히 신혼초는 좋다고 하는 만큼 서로 이질적인 환경에 스트레스 많이 받는데, 그거 풀만한 심리적 여유를 많이 빼앗기게 됩니다.


결혼한 형을 보니 장모님의 도움이 크더라... 라면, 와이프/장모님과 어떻게 할지 이야기는 안된거같네요. 왕복 4시간 출퇴근이면, 집안일은 완전 손 때는 조건으로 미리 와이프/장모님과 이야기 되어야해요. 그렇게 이야기 되어도 집안일 할 수 밖에 없는데, 그거 이야기 안된 상태에서 서로 동상이몽한체 (왕복 4시간이니 배려해주겠지 vs 본인이 괜찮다고 했으니 그건 그거고 집안일은 나름 도와주겠지)가 되면 지옥입니다.


제일 중요한건 와이프와의 협의에요. 중간으로 잡는것보다 한쪽에 가까워지는건 맞는데, 그 무엇이 되었건 와이프와 협업이 되어야 뭐가 되어도 됩니다. 정 안되면 이사를 간다거나 그런것도 와이프 협업이 되어야 하구요.
강미나
18/07/17 13:00
수정 아이콘
원래 DTD로 계산하면 시간이 확 늘어납니다. 저도 다니던 대학이 역간거리는 1시간인데 DTD로는 1시간 50분 걸려서....
써니는순규순규해
18/07/17 15:26
수정 아이콘
지하철로 이동하면 집-역, 역-사무실까지의 이동 시간이 생각보다 깁니다.
역에서 5분 거리가 아니면 각각 20분 씩 걸리는 경우도 있어요.
집-역 20분, 역-역 1시간10분, 역-사무실 20분
이렇게 걸리면 2시간 되는거죠.
파랑파랑
18/07/17 12:45
수정 아이콘
왕복 4시간 오바에요. 피곤해서 어떻게 다니실려고
18/07/17 12:46
수정 아이콘
음..
전 출퇴근 30분도 싫어서..
18/07/17 12:55
수정 아이콘
아휴 너무 길어요.. ㅠㅠ
순둥이
18/07/17 13:02
수정 아이콘
하루 8시간 근무에 왕복 1시간거리의 직장과 왕복 4시간짜리 직장인 경우 연봉 30% 더 받아야 그나마 다닐만하겠네요.
좋은데이
18/07/17 13:03
수정 아이콘
도어투도어 왕복 5시간 3년 다녔는데..
이동수단 하나로 되면 생각보다 괜찮음.
이동수단이 2개 이상일경우 몸과 마음이 다 지침.. 이랬습니다.
로고프스키
18/07/17 13:19
수정 아이콘
2시간도 토나오는데 4시간은 어후...
18/07/17 13:44
수정 아이콘
대학다닐 때 비슷하게 다녔었는데 광역버스 타고 다니면 자면서 갈 수 있으니 그렇게까지 힘들진 않았던 것 같네요.
RedDragon
18/07/17 13:47
수정 아이콘
왕복 3시간 4년 했는데 (환승 3번) 다닐때는 몰랐는데 그 생활 청산하니 내가 이걸 어떻게 했지? 이런 생각이 먼저 들더라구요..
근데 육아 껴있으면 어쩔 수 없지 않겠습니까..? 그냥 다니셔야.. ㅠ
다니다보면 내성이 생기긴 합니다. 3번 환승중에 지하철 40분 코스가 있었는데 전 거기서 꼭 잤습니다.
18/07/17 14:17
수정 아이콘
22살부터 24살때까지 지하철 첫 차-통근버스로 왕복 4.5~5시간씩 출퇴근했었는데 초반에는 주말 내내 잠만 잤다가,
좀 지나니까 평일에 집에 와서도 친구들이랑 놀고 그랬었어요.
제 인생에서 체력이 가장 좋던 시절이라 절대적인 비교는 어려우시겠지만 참고하세요.
18/07/17 14:41
수정 아이콘
시간이 얼마걸리냐도 중요하지만 환승이 몇번인가, 앉아서 갈수 있는가도 중요합니다. 교통수단 하나로 대부분 앉아서 이동하고 끝에 환승 1번 하는 거라면 생각보다 할만해요. 자버리면 되거든요.
Liberalist
18/07/17 14:48
수정 아이콘
광역버스에서 앉아서 주무실 수 있으면 할만 하고, 아니면 힘들다고 봅니다...
18/07/17 15:36
수정 아이콘
출퇴근 3시간을 몇년째 하고 있는데 중간에 환승이 있지만 대부분 앉아서 이동해서 잘 버티고 살고 있습니다.
푸끆이
18/07/17 15:50
수정 아이콘
구파발역에 사신다면 3호선타고 앉아서 길게 가실테니 괜찮을것도 같지만
은평구중에서도 6호선라인에 산다면 많이 힘드실거에요...
지니팅커벨여행
18/07/17 18:51
수정 아이콘
출퇴근 왕복 3시간씩 3년동안 다니는데 정말 힘들어요.
1주일동안 가족 얼굴은 퇴근해서 한두 시간 보는 게 다고 바쁜 주간에는 1주일에 얼굴 한번 보기도 힘들어요.
그런데 4시간이면... 나중에 애 태어나더라도 아빠 얼굴 보는 시간이 적으니 가장으로서의 위치는 그냥 돈버는 기계가 될 확률 높습니다.
18/07/17 19:45
수정 아이콘
많이 힘들다고 봐야죠..
편도 한시간도 힘들다고 보는 사람인데요..
마지노선 한시간 정도라고 봅니다..
하루 이틀이면 모를까 매일을 그렇게 하는 건..좀...
18/07/18 00:34
수정 아이콘
전 직장보다 연봉 점프 20%이상이면 다녀볼까 고민해볼만 할 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7710 [질문] 차량 2대중에서 고민입니다. [25] 해피팡팡7645 22/12/09 7645
147901 [질문] [WOW] 와우 클래식 시작 문의 [8] 해피팡팡4882 20/08/25 4882
135109 [질문] 휴대폰 기변 질문 드립니다. [6] 해피팡팡2040 19/07/04 2040
127998 [질문] 전세 1년계약 구하기 어렵나요? [1] 해피팡팡1931 18/12/11 1931
122430 [질문] 출퇴근 왕복 4시간 가능할까요? [55] 해피팡팡6513 18/07/17 6513
121908 [질문] 내집마련 해보신 선배님들 질문 드립니다. [5] 해피팡팡2130 18/07/02 2130
121681 [질문] 직장 커리어에 있어 어떤 회사가 더 도움이 될까요? [4] 해피팡팡1759 18/06/27 1759
118538 [질문] 헬스 PT 환불 가능할까요? [1] 해피팡팡2543 18/04/12 2543
117276 [질문] 헬스 왕초보 질문 드립니다. [6] 해피팡팡2230 18/03/14 2230
115590 [질문] 퇴사 후 전직장 동료 호칭 어떻게 부르시나요? [11] 해피팡팡10797 18/02/01 10797
115556 [질문] 노트북 화면을 모니터로 사용중 느려짐 [2] 해피팡팡4923 18/02/01 4923
114785 [질문] [하스스톤] 하린이 질문 드립니다. [3] 해피팡팡1484 18/01/15 1484
113882 [질문] 협회나 협동조합에서 근무 해보신분 계신가요 [2] 해피팡팡1451 17/12/27 1451
105321 [질문] 계약직으로 이직 어떤가요? [9] 해피팡팡3738 17/07/06 3738
102919 [질문] 퇴사 후 인수인계에 대한 조언 부탁 드립니다. [3] 해피팡팡3278 17/05/21 3278
100481 [질문] 저도 직장 이직 고민입니다.. [4] 해피팡팡2898 17/04/03 2898
89065 [질문] 중고차 팔아야 할까요?? [4] 해피팡팡2539 16/08/28 2539
88237 [질문] 중고차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해피팡팡2349 16/08/13 2349
82893 [질문] 휴대폰 구매 질문 드립니다. (갤럭시 S7) [2] 해피팡팡1663 16/05/12 1663
80478 [질문] 휴대폰 변경 조언 부탁 드립니다. [2] 해피팡팡1711 16/03/28 1711
78881 [질문] 정수기 렌탈만료 이후엔 어떻게 쓰시나요? [3] 해피팡팡6154 16/02/29 6154
75033 [질문] 자차 구입하고 얼마 못타서 되파신분 있나요.. [6] 해피팡팡2986 15/12/27 2986
74867 [질문] 살이 안찌는 체질이 바뀌신분 있나요? [20] 해피팡팡3341 15/12/24 334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