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04 16:25:24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어느 유신론자의 수학공리를 이용한 논증에 대해서.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04 16:37
수정 아이콘
수학이란건 1+1=2라는 결과를 가진다고 상호 인정, 혹은 약속하는 것에 가깝죠. 우리가 '한글'을 한글로 읽자고 약속한 것과 같은 겁니다.
수학 공리를 과학으로 반증한다는건 '한글'을 왜 한글로 읽어야 하는지를 과학으로 입증, 반증한단 소린데 그건 과학이 할 일이 아니라고 말해주세요.
알카즈네
18/07/04 16:43
수정 아이콘
공리는 증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누구나 그러하다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믿음의 영역을 과학과 수학에 비유해서 설명하려는 건 설득력이 떨어지고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18/07/04 16:43
수정 아이콘
유신론자 분이 정의하신 공리는 틀린부분이 없습니다.

근데 종교랑 무슨 상관인지는 모르겠네요.
이비군
18/07/04 16:4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성경이 기독교내의 공리다 라고 하면 할말은 별로 없을듯..
인본주의도 사람은 소중하다라는 명제를 공리로 깔지 왜 사람은 소중하냐에 대해선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제대로 답 못하는 것처럼요
아니아니
18/07/04 16: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당사자가 없는 공간에서 다룰 생각은 없습니다만, 저 분의 주장은 과학으로 탐구 불가능한 예시로서 수학 공리를 말하는거죠.
저를 과학 만능주의자로 오해한듯 합니다.
18/07/04 16:58
수정 아이콘
저도 정확히 이해는 못하지만 다음 항목이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불완전성 정리
https://namu.wiki/w/%EB%B6%88%EC%99%84%EC%A0%84%EC%84%B1%20%EC%A0%95%EB%A6%AC
회색사과
18/07/04 17:19
수정 아이콘
수학에서 "공리" 는 누구나 참임을 인정하는 명제입니다. 그래서 자연과학에서는 "공리" 라는 것이 있을 수 없습니다. 실험적으로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증명되지 않은 명제는 그냥 가설이구요..

[수학공리의 경우 과학적으로 탐구나 증명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왜냐면 수학공리가 옳다는 전제가 미리 깔려야만 과학이 성립되기 때문입니다. 수학공리를 과학으로 입증 혹은 반증하려 하는순간 과학의 기반이 무너져 그 연구방법 자체를 신뢰할 수 없게되는 아이러니가 펼쳐지는 겁니다. 그런데 모두가 수학공리를 믿잖아요?]

이 말은... 전공자가 아닌 사람이 얘기했다고 하면... 대충 맞는 말이네 라고 할 수 있을 것 같고.. 엄밀히 따지면 수학과 과학을 오가며 공리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어서, 틀린 문장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 문장 안에 어떤 "주장" 이 있는 걸까요?
아니아니
18/07/04 17:36
수정 아이콘
주장이 없지는 않습니다. 질문과 무관한 부분을 제가 삭제한거죠.
주장의 요지는 '무신론자는 유신론자에게 입증책임을 묻지만 수학 공리처럼 모든 현상이 반드시 증명 가능한 것은 아니다.'
최초의인간
18/07/04 17:28
수정 아이콘
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명제들이 수학적 지식들에 의존한다고 해서, 그와 같은 명제들도 수학적 지식들과 마찬가지로 곧 공리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신학의 형이상학적 명제들은 수학적 지식들에 의존하지 않으니 더더욱 그렇고요.

그리고 그 분께서는 공리의 개념에 관해서도 오해하고 계신게 아닌가 싶은데요, 공리를 '약속'이나 '합의' 따위의 개념과 동일시하게 되면 오히려 형이상학적 명제(그것이 자연과학에 기초하든 신학에 기초하든)들은 '약속'과 '합의' 밖에서는 그 보편타당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됩니다. "아닌데? 아닌데? 우리끼리는 플라잉 스파게티 신을 믿기로 했는데?" ..뭐 이런거죠..
18/07/04 18:27
수정 아이콘
과학에 있어서 수학은 도구이지. 증명의 바탕이 되는 건 아닙니다. 그리고 수학을 안 쓰는 과학도 많고요.
18/07/04 18: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과학'과 '자연과학'을 명확히 분리해서 용어를 사용해야 될 것 같습니다.
수학은 과학에서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고 수학 자체는 자연과학적 탐구의 대상이 아닙니다. 수학은 관념적인 건데 어떻게 자연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나요.

한 마디로 그 사람은 비자연과학적 대상을 자연과학적 증명의 대상으로 놓고 이걸 증명/반증할 수 없으니 유신론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하는 거죠. 그냥 개념착오입니다.
ioi(아이오아이)
18/07/05 12:35
수정 아이콘
신의 존재를 증명하라고 떠드는 사람들 상대로
모든 것은 증명할 수 없고, 증명하지 않아도 사회적으로 합의 된 진리인 공리가 과학에도 있듯
신을 굳이 증명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다 인데

그럴려면 못해도 90% 정도의 사람이 신이 그것도 기독교 신이 있다고 믿어야죠.
수학적 공리는 못해도 그정도는 옳다고 믿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014 [질문] 오피스텔 주차타워는 어떤가요?? [8] iliket8328 18/07/05 8328
122013 [질문] 홍콩달러 환전(마카오 파타카도 가능) 후 공항 수령에 관해서 [8] 오클랜드에이스2886 18/07/05 2886
122011 [질문] 프듀48에 ioi 완전체가 나왔었나요..? [4] 아기상어2231 18/07/05 2231
122010 [질문] 롤을 하는데 핑이 갑자기 확 올라갔다가 내려옵니다 [12] 정어리고래4431 18/07/05 4431
122009 [질문] 추석 제주도 비행기 티켓구할수있는방법이있나요? [5] 무새2668 18/07/04 2668
122008 [질문] 표현의 자유 관련 일화 질문 [2] mcmc1502 18/07/04 1502
122007 [질문] 담이 자꾸 걸리는데 뭘 해봐야할까요? [9] 진인환2502 18/07/04 2502
122006 [질문] 아이폰 재부팅비밀번호 잊어서 사진과 연락처등이 날아갔습니다. Demi1400 18/07/04 1400
122005 [질문] 배그 낙하산 웨이브 질문입니다 [7] 첸 스톰스타우트3174 18/07/04 3174
122004 [질문] 조카 100일 선물 추천부탁드려요! [9] En Taro2888 18/07/04 2888
122003 [질문] 유통기한 하루 남은 계란 [12] Hikaru4602 18/07/04 4602
122002 [질문] 중국어 1:1 과외 시세 질문입니다. [7] 호연4031 18/07/04 4031
122000 [질문] 병사들의 건강보험..? [4] 지숙2280 18/07/04 2280
121998 [질문] 한국의 동아시아 대중매체 경쟁력이 의아합니다. [7] 로고프스키3056 18/07/04 3056
121997 [질문] 오늘 자유게시판의 "문재인 대통령 신격화 관련"글 어디갔나요? [13] 틀림과 다름3363 18/07/04 3363
121996 [질문] 진짜 설빙처럼 눈꽃으로 나오는 가정용 빙수기계가 있을까요? [2] 포프의대모험2827 18/07/04 2827
121995 [질문] 명청 관리등용 질문 이리떼1431 18/07/04 1431
121994 [질문] 미드 웨스트월드 어디서보세요? [4] 슈가붐4212 18/07/04 4212
121993 [질문] 디자인용 컴퓨터 견적좀 봐주세요 [5] Typhoon2039 18/07/04 2039
121992 [질문] 서울 아주 얇은 느낌의 돈가스를 파는 곳이 있는지요?? [12] SlaSh.3158 18/07/04 3158
121991 [질문] 소개팅 관련입니다. 저는 수원이구요 상대방은 명동이에요. [22] 삭제됨3188 18/07/04 3188
121990 [질문] 스마트폰 짐벌 질문드립니다. [7] 행복한 날들2121 18/07/04 2121
121989 [질문] 리얼포스 키보드 쓰시는 분들께 질문 [8] 루치에3951 18/07/04 39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