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02 13:47:22
Name 터키쉬겟업
Subject [질문] 무릎대고 푸쉬업 쉬운가요? (수정됨)
일단 운동 경력은 헬스장에서 한지는 7년 정도이고 학창시절에 부상이 많아서 고중량 웨이트보단 코어나 밸런스 위주로 운동을 하는 사람입니다.
예전부터 해본 건데 무릎을 바닦에 대고 해도 일반 푸시업보다 전혀 쉽지가 않습니다.
근데 여경 팔굽혀펴기만 나오면 사람들은 매우 쉬운 난이도로 얘기하더군요.
물론 약간 쉽습니다만, 무릎 대고 한다고 해서 1.5배 이상을 할 수 있어 보이진 않습니다.
제 자세가 이상한걸까요? 아니면 그냥 쉬워 보여서 잘못 알려진 건가요?

참고하시라고 찾은 영상 하나 올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네시마 포푸라
18/07/02 13:49
수정 아이콘
제 기준으로는 2~3배는 충분합니다. 일단 복부에 들어가는 힘 차이가 너무 크게 나더라구요. 자세가 잘 안무너지니 그냥 팔-어깨힘만 으쌰으쌰해도 되더라구요
18/07/02 13:55
수정 아이콘
다리 높이에 따라 체감 무게가 확 변하는데 무릎 푸쉬업이면 확실히 더 쉽죠.
bemanner
18/07/02 13:57
수정 아이콘
1분에 80개 하는 사람이 무릎 댄다고 120개 할 수는 없는 건데
1분에 20개 하는 사람이 무릎 대면 40개는 충분히 넘길 수 있는 거라서 몇 개에서 몇 개 하냐를 써주셔야할 거 같은데요.
터키쉬겟업
18/07/02 14:52
수정 아이콘
무리 안하고 50개 정도입니다
bemanner
18/07/02 15:00
수정 아이콘
무리안하고 50개하는 몸으로 무릅대면 30개한다는거는..
굳이 가능성을 따지면 원래 푸시업할 때는 다리힘 쓰는 요령이 있었는데 무릎댔을 때는 무릎을 살짝 갖다대기만 하고 몸이 앞쪽으로 확쏠려서 정말 팔로만 운동했나? 싶네요.
터키쉬겟업
18/07/02 15:05
수정 아이콘
무릎대면 물론 더 많이 하죠. 30개만 해도 느낌이 온다는 거였어요. 무릎대는게 익숙치 않아서 오히려 패널티가 된 거 같네요.
알카드
18/07/02 14:06
수정 아이콘
물리적으로도 부하가 줄어드니 더 쉬울 수 밖에 없어용
18/07/02 14:10
수정 아이콘
무릎안대고 하나도 못하는 사람이 무릅대면 몇개씩 합니다.(ex 제 와이프) 그냥 쉬운거에요 무조건 쉬워짐
써니는순규순규해
18/07/02 14:10
수정 아이콘
최대 개수도 올라가지만 그보다 올라가기 위한 힘을 덜어주는게 더 크다고 봅니다.
그냥하면 올라갈때 10의 힘을 필요하다면 무릎대고 하면 올라갈때 6~7정도면 올라갈 수 있는 느낌인거죠.
터키쉬겟업
18/07/02 14:46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정도로 생각하는데 뭐 배로 쉽다는 분들이 많아서요..
18/07/02 14:59
수정 아이콘
힘차이가 그정도면 갯수는 배로 늘어나는거 맞죠
18/07/02 14:13
수정 아이콘
글쓴분 평소에 푸쉬업 몇개 하시나요? 7년 운동경력있는 사람의 1.5배면 횟수자체가 많을거 같은데요.
일반인은 2배도 할 수 있을겁니다 크크크크
터키쉬겟업
18/07/02 14:47
수정 아이콘
50개 전후로 하는 것 같습니다
신공표
18/07/02 14:20
수정 아이콘
어떤 사람에겐 하나도 안되는 걸, 되게 만들어주니 엄청나게 쉬워지는 거죠.
18/07/02 14:20
수정 아이콘
무릎대고 하면 오바좀 해서 하루종일도 할수 있을거 같던데요 제 기준엔 ;;
팔이며 복근이며 힘이 하나도 안드가던데 운동이 되나요 ??
터키쉬겟업
18/07/02 14:40
수정 아이콘
무릎대고 30개만 해도 펌핑 되던데요..
arq.Gstar
18/07/02 15:50
수정 아이콘
무릎대고서라도 치팅없이 제대로 했을때 한시간 하시면 인간능력초월 아닙니까 덜덜..
18/07/02 14:21
수정 아이콘
저도 학생때 푸쉬업 1개를 못해서.. 무릎대고 시작해서 확 늘었던기억이 있네요~
공업저글링
18/07/02 14:25
수정 아이콘
무릎대고 하면 정확한 자세로 1개도 못하는 사람들도 몇개씩은 합니다....
18/07/02 14:27
수정 아이콘
엄청 쉬워요....
동네형
18/07/02 14:28
수정 아이콘
쉽습니다. 이게 그렇게 안된다면 아마도 글쓴분께서 기존에 운동자체에 뭔가 오류가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17롤드컵롱주우승
18/07/02 14:34
수정 아이콘
근육통으로 골골대던날도 무릎대면 가능했어요
프링글스할라피뇨
18/07/02 14:47
수정 아이콘
그냥 오늘 운동하러 가셔서 푸쉬업 500개를 하세요...
그리고 다음주쯤 근육 다 회복되면 무릎대고 500개를 해보세요.
그럼 비교가 확연히 될 겁니다.
터키쉬겟업
18/07/02 14:49
수정 아이콘
위에 정확하지 않은 실험이지만 일반 푸쉬업은 체중의 70퍼 무릎푸쉬업은 체중의60퍼랍니다..
프링글스할라피뇨
18/07/02 14:55
수정 아이콘
그러면 최소 15%의 중량차이를 체감하게되는건데.
중량이 15%차이라면 운동능력은 15%이상으로 훨씬 늘어나게되죠.
터키쉬겟업
18/07/02 14:59
수정 아이콘
계산이 이상하네요
18/07/02 16:13
수정 아이콘
0.6/0.7 = 0.15라 이렇게 말하신듯
터키쉬겟업
18/07/02 14:56
수정 아이콘
무릎은 바닥에 댔지만 제 자신이 인지하지 어떤 동작이 문제인가 보네요..
조미운
18/07/02 15:35
수정 아이콘
무릎 대고 하더라도 자세에 따라 난이도는 엄청나게 차이가 나죠. 정자세로 하면 다른 분들이 생각하는것 만큼 두배 넘게 차이나진 않을꺼에요.
La La Land
18/07/02 18: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쉽게 생각해서

팔 안굽히고

발대고 엎드려 뻗쳐 하기

무릎대고 엎드려 뻗쳐 하기만

비교해도 넘사벽 아닌가요


근데 생각해보니

대부분 무릎대고 팔굽혀펴기 해보라하면

못하는 사람은 OTL 자세에서 할듯....

정자세가 아니라요
캡틴리드
18/07/03 07:14
수정 아이콘
맞아요. 이 글 처음 보고 OTL자세 생각했었어요. 다시 생각해본 후 운동되려면 저 자세가 아니겠구나 생각했고..
lizfahvusa
18/07/03 08:31
수정 아이콘
화이트데이
18/07/03 13:30
수정 아이콘
힘들어서가 아니라 무릎아파서 안하죠 보통
터키쉬겟업
18/07/03 13:36
수정 아이콘
할 필요가 없어서 안 하죠
화이트데이
18/07/03 17:32
수정 아이콘
아 이게 더 정답이네요 크크
비가오는새벽
18/07/03 15:48
수정 아이콘
푸쉬업 1개 겨우하는 사람이 무릎대고해서 2개이상을 하면 2배, 3배 아닌가요? 기준을 어디에 잡아야 하는지 차이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927 [질문] 홍대나 강남 인근에 와이프랑 같이 갈만한 재즈카페나 공연볼만한 카페 있습니까? [4] 하우두유두1951 18/07/03 1951
121926 [질문] 스토리보드, 콘티 그리는법 배울수 있는 학원이나 과외경로 정보를 받고싶습니다. 카푸스틴2551 18/07/03 2551
121925 [질문] 크라임씬, 지니어스, 소사이어티게임 후속작은 예정에 없나요? [8] Secundo3342 18/07/03 3342
121924 [질문] 강남역 주변 삼겹살 어디가 맜있나요?? [13] 낙화2965 18/07/03 2965
121923 [질문] 주식 단기매매 차익 반환제도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2] 밐하2925 18/07/03 2925
121922 [질문] 롤에서 공속템은 공속템 찾용시 DPS가 더 높아지는 챔의 경우 가는 건가요? [8] 소오강호4247 18/07/03 4247
121920 [질문] 페르소나5 클리어를 앞두고 있는데요 [35] La La Land2652 18/07/03 2652
121919 [질문] 영어 복잡한 문장구조 훈련을 위한 교재... [6] 츄지Heart2381 18/07/03 2381
121918 [질문] 질럿11기vs마린11기, 마린이 이길수 있을까요? [38] 파란무테5261 18/07/03 5261
121917 [질문] 지금 축구계 No.3 는 누군가요? [24] 공부맨4444 18/07/02 4444
121916 [질문] FM 2018을 샀는데 적응하기 어렵습니다. [14] CoMbI COLa3666 18/07/02 3666
121915 [질문] 음악 스트리밍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모여라 맛동산4461 18/07/02 4461
121914 [질문] 출장? 영어 회화 있나요? [3] 코인괜히시작1841 18/07/02 1841
121913 [질문] 크킹2 지역문화바꾸기 질문입니다. [3] 처음이란3227 18/07/02 3227
121911 [질문] 웅진 코웨이 제습기 쓰시는분 계신가요 [4] Rawlings5820 18/07/02 5820
121910 [질문] 초보 반려견 견주입니다. [17] 모라토리움2998 18/07/02 2998
121909 [질문] 축구, 수비수와 공격수가 정해지는 방식이... [13] 마르키아르4062 18/07/02 4062
121908 [질문] 내집마련 해보신 선배님들 질문 드립니다. [5] 해피팡팡2676 18/07/02 2676
121907 [질문] 손나은 vs 장원영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4] 완성형폭풍저그5794 18/07/02 5794
121905 [질문] 여성 소방관(미국 애기입니다)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9] 틀림과 다름2498 18/07/02 2498
121904 [질문] 회사에서 출장으로 자카르타에 왔습니다;;; [4] 난키군2477 18/07/02 2477
121903 [질문] 법정 대리인(금치산자 신청) 관련 질문입니다. [1] 마담리프2584 18/07/02 2584
121902 [질문] 소형 빔프로젝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2] ShuRA2206 18/07/02 22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