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19 12:12:47
Name 채무부존재
Subject [질문] 직장컨디션에 따른 양자택일입니다.
지인(40대 남)에게 조언을 해줘야 하는 입장입니다. 중소기업 사무직이네요.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연봉 4천. 9 to 6 칼출근 칼퇴근, 야근 월에 1~2회, 업무강도 평균, 업무 스트레스 높음. 주말근무 없음. 연차는 1년에 5개정도 쓰는 것 같음.

2. 연봉 4천2백, 9 to 6 이지만 30분일찍 출근에 8시까지 업무연장. 업무강도 높음, 업무스트레스 낮음. 주말근무없음. 연차는 1년에 10개정도 쓰는 것 같음.

위 2개의 경우에 어느 곳으로 추천하는게 나을까요?
통근시간과 근무환경은 비슷합니다. 결혼은 했고, 와이프도 직장다니고, 아직 아이는 없지만, 출산계획은 있습니다.
어떻게 조언해야 할지... 당장 오늘 저녁에 만나야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6/19 12:14
수정 아이콘
회사의 성장이나 안정도가 동일하다면 2번요 업무강도가 높은데 스트레스가 낮다는게 중요할거 같고 연차도 2배는 쓰는 편이네요;
쭌쭌아빠
18/06/19 12:15
수정 아이콘
저도 2번 추천합니다. 업무강도보다는 업무 스트레스가 중요한 것 같아요. 연차도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꽤 크게 작용하고 말이죠.
브라이언
18/06/19 12:17
수정 아이콘
업무스트레스 적은곳이 낫습니다.
채무부존재
18/06/19 12:20
수정 아이콘
흠... 근무시간이 좀 더 길더라도 연차사용빈도가 높고, 업무스트레스가 낮은 곳이 더 낫다는 말씀들이네요. 감사합니다.
써니는순규순규해
18/06/19 13:01
수정 아이콘
출산계획이 있더라도
일찍퇴근해도 업무 스트레스 많이 받고 와서 육아를 하는것과
늦게퇴근하더라도 업무스트레스 적게 받고 와서 육아를 하는건 다를 겁니다
그리고 2번이 아이에게 좋을거 같네요
18/06/19 13:20
수정 아이콘
어렵네요 2번 야근이 안적혀 있어서 고민됩니다.
만약 야근도 비슷하다면 2번갑니다.
업무 스트레스 높음이 어느정도인지 모르겠는데 일상생활에 지장있을 정도면 2번 강추!
채무부존재
18/06/19 13:54
수정 아이콘
아.. 제 기준으로 8시까지 일하는게 야근이라서...설명이 좀 부족했나봅니다. 1번직장도 마찬가지로 야근이라고 해도 8시~9시전후로 마무리 됩니다. 업무스트레스는 일상생활에 지장있을 정도는 아니고, 회사생각하면 짜증이 나는 정도입니다. 좀 더 디테일하게 설명드리면, 1번은 인사쪽 업무에 가깝고. 2번은 재무쪽 업무비중이 높습니다.
18/06/19 14:10
수정 아이콘
헛... 그렇다면 전 1번이요 크크크 업무 스트레스가 그정도라면 2시간이 넘게 차이나는 근무시간이 더 크다고 봅니다. 연차야 5개나 10개나 다 못쓴다는거 자체가 눈치봐야하는거 같구요.
타마노코시
18/06/19 15:27
수정 아이콘
저라면 1번 선택합니다. 업무강도가 높은데 업무 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은 약간 모순처럼 보여요..
물론 대인관계 문제로 업무강도와 스트레스가 반비례할 수 있지만 업무강도가 높다면 업무스트레스도 상당할거라고 보니까요.
오히려 출산계획이 있다면 육아계획도 있다는 것인데 저녁~밤시간이 출산-육아의 프라임타임이라서 맞벌이일 경우에는 칼퇴근의 중요성이 높다고 보이네요.
저라면 오히려 근무시간에 빡세게 하고 깔끔하게 퇴근할 수 있는게 확실하다면 칼퇴근을 더 선호할 것 같습니다.
연봉 200차이면 실수령액으로는 한달에 15만원정도일텐데 그정도 손해는 감수할만하네요.
18/06/19 16:17
수정 아이콘
회사안정성, 장래성이 없네요. 이게 젤 중요한
것 같은데.. 그래도 이 글만 보면 전자죠.

5시퇴근 8시퇴근 워라벨 차이 많이 납니다.
(퇴근시간이 1시간 기준)
18/06/19 18:06
수정 아이콘
2번 회사가 업무강도 높고, 스트레스는 낮은데... 그러면 30분 일찍 출근 2시간 늦게 퇴근은 그냥 자리만 지키다 가는거 같아보이는 느낌이라.. (.......)

1번회사가 스트레스가 높을지언정 업무 끝나고 자유시간이 된다는 점에서 훨씬 낫다고 보여집니다. 200만원이면 커보이지만 실제로 월 실수령액으로 보면 15~16만원 차이정도 될듯 하네요.

연차개수가 5, 10개 차이가 나지만, 결국 초과근무 하는거 연차로 보상받는 개념이고 실 사용 개념으로 보면 좀 흔들리긴 합니다. 은근히 엄대엄이긴 한데 저라면 200만원을 포기하고 1번 고를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435 [질문] 오래 서서 일하면 배변 활동에 영향을 주나요? [8] 타츠야2286 18/06/20 2286
121434 [질문] 축구에서 4-4-2는 사장된전략인가요? [13] Lancer3732 18/06/20 3732
121433 [질문] 야인시대 브금 질문입니다 [2] 첸 스톰스타우트1632 18/06/20 1632
121432 [질문] 소액이지만 지속적으로 기부를 해보려합니다. [9] Techniker1964 18/06/20 1964
121431 [질문] [스타2] 저그 vs 사이클론 화염기갑병 러쉬 [5] 클로이2263 18/06/20 2263
121430 [질문] 기계식 키보드 입문할까용? FC750R PD black/red [11] FloralRock2285 18/06/20 2285
121429 [질문] 오버워치 클랜 질문입니다 드라카1526 18/06/20 1526
121428 [질문] 안드로이드 폰 처음 씁니다. 필수로 깔아야할 앱이 있나요? [19] DUCATI6327 18/06/20 6327
121427 [질문] 병원 진료비 보험으로 보장가능한지 알수있는 방법이있나요? [3] 정공법1932 18/06/20 1932
121425 [질문] 보이스 피싱 관련 질문입니다. FallingInLuV1953 18/06/20 1953
121424 [질문] 6년만에 폰 바꿀려는데 어떻게 사야할지 혹시 알수있을까요 [7] 배반포2227 18/06/20 2227
121422 [질문]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와 시카리오의 관계? [5] 감성이 용규어깨2779 18/06/20 2779
121421 [질문] 저탄고지 외식메뉴 추천좀 부탁합니다 [10] 라울10499 18/06/20 10499
121420 [질문] 중국 데이터 사용 관련 질문입니다. [2] 아니이걸왜들어가1400 18/06/20 1400
121419 [질문] 네덜란드-덴마크 여행 질문입니다. [2] 말하는푸들1955 18/06/20 1955
121418 [질문] 블루투스이어폰 추천부탁드립니다 [2] 인생은진리1997 18/06/20 1997
121417 [질문] 에어프라이어 구입했습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5] 굼시3331 18/06/20 3331
121416 [질문] 게임할 때 쓰기 좋은 유선 버티컬 마우스 있을까요? [2] Mindow3496 18/06/20 3496
121415 [질문] 운전할때 면허증 소지하고 다녀야 하나요? [4] DAUM4203 18/06/20 4203
121414 [질문] sns 해킹이란게 대체 어떻게 가능한건가요? [5] 준벙이2245 18/06/20 2245
121413 [질문] 시간 여행 해서 주식,베팅,복권,투기 하는 영화는 없나요? [8] 샤르미에티미2962 18/06/20 2962
121412 [질문] 많은 사람들이 담배에 대한 감정과 술에 대한 감정차이가 나는건 왜일까요? [40] Dunn3051 18/06/20 3051
121411 [질문] 중앙대 피씨방 또는 시간보낼곳 [2] 별일없이산다2294 18/06/20 22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