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14 18:56:13
Name 굿리치[alt]
Subject [질문] [육아] 젖병거부가 너무 심합니다.
이제 6개월 넘어서 7개월이 다되어 가는 아기입니다.

초기에는 젖병만 찾아서 걱정했는데

이제는 젖병만 보면 손으로 밀어냅니다.

이유식은 하루에 1~2끼 먹이고 그외에는 모유수유만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밤에도 2~3시간마다 계속 깨고 낮잠도 30분이상 자질 못합니다.

밤에 제가 젖병으로 분유 먹이려고 해도 입에 젖병이 아예 못오게 합니다.

애엄마가 모유수유하면서 재우지 않는 이상 절대 잠 안잡니다.

남들은 밤새 안깨고 잘 잔다는데 우리애는 계속 깨니 걱정이네요. 성장에도 문제있을까봐 걱정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azellnu
18/06/14 18: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유식먹으면서 분유거부하는 애들이 있다던데 그 경우인가봐요 ㅜ

밤잠은 그무렵 한번씩 깨는애기들도 있어요
굿리치[alt]
18/06/14 21:12
수정 아이콘
이유식 전에도 거부해왔습니다
김여사
18/06/14 19:02
수정 아이콘
웬만큼 무던한 아이 아니면 그 시기쯤에 분유나 모유나 한쪽으로 정착하더군요. 이미 이유식을 시작했을테니 점차 영양보충은 이유식으로 해결하고 모유는 간식개념으로 가야할 듯 합니다. 모유수유아는 소화가 잘 되어 그런가 배가 쉽게 꺼져서 밤에도 잘 깨는 편이더라구요. 저희 둘째랑 완전 똑같은 상황이신데(딱 고맘때쯤 젖병 거부, 모유만 찾음) 결국 이유식 잘 먹고 모유만 먹다 젖떼고 밥 잘 먹고 잘 컸습니다. 잠은 한번 호되게 울려서 재우는 연습하다 잠도 잘 자게 되었구요.
굿리치[alt]
18/06/14 21:13
수정 아이콘
계속 울게놔뒀다가 재우나요?
30분동안 대성통곡을 하는데 옆집에도 민폐가 될거같더라구요..
김여사
18/06/14 21:58
수정 아이콘
애가 근성이 있나 딱 한시간 반 울다 지쳐 잠들었었어요. 그러고 4시간을 내리 잤구요. 한번쯤 거쳐가는 과정이라 생각하시는게 맘이 편하실거에요. 점차 상황이 나아져서 누워 토닥거리면 잠드는 기적을 경험하실 수 있을거에요. 아이도 누워 잠드는 연습을 시켜줘야 잠드는 법을 아는 듯 해요.
18/06/14 20:29
수정 아이콘
정답은 아니겠지만 경험담을 말씀드리자면, 우리 아기도 정말 잘 안 먹어서 분유도 바꿔보고 젖병도 젖꼭지도 여러가지 바꿔보고 해서 하루에 600~700cc 겨우겨우 먹였고 (실은 더 먹어야했지만요), 이유 시작하고서부터는 거진 다 이유식으로 열량을 채웠습니다
재우는 것도 답이 없어서 밖에 일부러 데리고 나간다던지 (다행히 카시트 태우거나 유모차 태우면 잘 잤거든요) 아니면 방에 문 닫고 불 다 끄고 엄마 아빠가 옆에서 누워버리던지 그렇게 했습니다

성장 문제는, 영양이나 내분비 보시는 소청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굿리치[alt]
18/06/14 21:16
수정 아이콘
다행히 병원가서 재보니
키랑 몸무게는 10%안에 든다고하네요
정예인
18/06/14 22: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완전 거부는 굶기는거밖에 없을껀데 울고불면 아기를 거의 못이기죠. 모유짜서 젖병에주는것도 이경우는 안통할꺼 같고요. 전 반대로 모유거부 젖병만 물었는데 굶기지못해서 모유실패하고 분유먹여요. 안아서 먹일려고 자세만 취하면 자지러지게 울더라고요ㅠㅠ 신생아때는 얼굴도 어찌나 붉게 타오르던지 애잡겠다싶고ㅠㅠ그때 좀더 독하게 굶겼으면 모유 성공했을려나 싶다가도 아기나 저나 너무 스트레스받아서.... 아기들은 급성장해서 대체로 정체기도 있고 거부도있고해서 덜먹고 덜자는건 일일히 스트레스 받지않으셔도 될거예요. 뭐 말이 쉽지 하루하루 신경쓰이긴합니다;;; 저흰 요즘 이유식 정체기인데 요즘 입맛이 없나보다 생각하면서도 때때로 숟가락 던지고싶어요....지나고보니 잘커주는데 육아 스트레스는 정말이지ㅠㅠ 힘냅시다 육아는 장기전이니ㅠㅠ
희원토끼
18/06/14 22:40
수정 아이콘
텀지켜서 주세요. 그래도 될 개월수에요. 울고불고 젖물고 자려는거 습관이에요. 그렇게 짧게자도 잘큰다하지만 아예 연관없지 않아요. 잘자고 잘먹어야 잘커요. 완모하려고 직수거부하는 아기들 굶기다시피 해가며 젖물리는데 보통 반대는 잘 안하더라고요. 정말 피치못할 사정이 있는거 아니면요. 아기 몸무게가 상위권이면 밤수부터 줄여나가보세요.
Idioteque
18/06/15 00:01
수정 아이콘
http://onnyu.tistory.com/451
젖병&분유 거부하고 수면에 어려움을 겪는 아기였는데 해당 게시물에 나와있는 '24시간 수면 일정표'대로 생활습관을 맞춰서 도움을 받았습니다.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점차 일정대로 생활하는 습관을 길렀고, 만18개월에는 해당 게시물에 나온 일정표와 거의 유사한 생활 패턴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밤중 수유 끊기와 단유까지 무사히 성공하고, 이유식에서 유아식으로 자연스럽게 넘어왔고, 수면교육도 어느정도 정착 됐습니다.
만 6개월이 지났으면 언제 일어나고, 언제 자고, 언제 먹는지를 규칙적인 일정대로 진행하는 게 가능하고, 그렇게 생활 습관이 자리잡으면 수유와 수면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되더군요. 수유 텀을 정해서 시간을 지켜서 수유하고, 수면 시간을 정해서 일관된 수면교육을 시작해보시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시도하면 초기에 아기가 많이 울고 떼를 쓰는 시간이 있는데, 마음이 아파도 그 시기를 잘 넘기고 나면 엄마도 아기도 한결 편해지더군요.
메모네이드
18/06/15 08:27
수정 아이콘
밤수 끓으세요~ 밤수하면 자꾸 젖찾는게 습관되서 못 자요. 제가 첫째 완모했는데(젖병거부 ㅜ) 낮잠은 30분 자도 밤엔 100일부터 8시간씩 잤어요. 분유수유만 했던 둘째도 똑같이 잤구요. 애들은 할 수 있습니다.

글구 수면교육도 하셔요^^ 수면교육 방법에 따라서 좀 울리기도 하는데(6개월이면 좀 울리면서 수면교육해야 먹힐 시기이기도 하고) 그래야 편해요. 물론 엄마가 안 힘들면 안 하셔도 되고요.
ADVISORY
18/06/15 09:03
수정 아이콘
맘 다잡고~ 수면 교육부터 하셔야 할거 같아요~
6개월이면 충분히 수면교육해도 되고 통잠 잘수 있는 시기입니다~
주변 보면 아무리 길어도 수면교육 5일안에 다 되더라구요~

수면교육이 애기한테도 좋지만 무엇보다 엄마 아빠를 위해서도 꼭 필요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268 [질문] 노량진에 괜찮은 숙박업소있나요? [2] Liverpool FC3205 18/06/16 3205
121267 [질문] (LOL) 룬 특성중에 적응형이라는게 도대체.. [3] 일면식3734 18/06/16 3734
121265 [질문] LOL 바텀파괴가 왜 생긴건가요? [13] 레너블4522 18/06/15 4522
121263 [질문] 성범죄 재범률이 왜 이렇게 제각각이죠? [1] 계층방정3612 18/06/15 3612
121262 [질문] 이별 했습니다. 혹시라도 다시 만날수 있을까요? [34] 아마그피6187 18/06/15 6187
121261 [질문] 킹존 강동훈감독이 왜 욕먹는건가요? [3] 진인환6752 18/06/15 6752
121260 [질문] PS4 pro 구입기념으로 디스플레이를 사려고 합니다 [3] Frozenblue3849 18/06/15 3849
121259 [질문] '프랭크 밀러 다크나이트 시리즈'같은 DC코믹스 그래픽노블 추천 [13] 세바준3031 18/06/15 3031
121258 [질문] 포르투갈 VS 스페인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18] WraPPin3338 18/06/15 3338
121257 [질문] 모니터를 샀는데요. 고란고란2840 18/06/15 2840
121256 [질문] 전기세 관련 자취 고수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6] fomo3011 18/06/15 3011
121255 [질문] 부모님과 동남아여행 [8] 간손미2748 18/06/15 2748
121254 [질문] 와우 재미있나요??!! [25] stephanos4508 18/06/15 4508
121253 [질문] 머신러닝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책 추천해주세요. 상코마네2014 18/06/15 2014
121252 [질문] 기초단체장 - 광역단체장 간 상하관계가 있나요? [7] 모나크모나크2670 18/06/15 2670
121251 [질문] 회사를 상대로 지급 명령을 했는데, 가진게 없다고 배째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은둔은둔해2872 18/06/15 2872
121250 [질문] 대학을 가장 빨리 졸업하는 방법이 뭘까요? [8] bymi4154 18/06/15 4154
121249 [질문] 학생용 오토캐드다운로드 질문이요.. [5] 사는게젤힘드러6148 18/06/15 6148
121243 [질문] 자전거 부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나를찾아서2335 18/06/15 2335
121242 [질문] 간수치가 어마어마하게 높게 나왔다는데.. [9] 이쥴레이20274 18/06/15 20274
121241 [질문] 커플링 추천 부탁 합니다. [18] 써니는순규순규해11969 18/06/15 11969
121240 [질문] TV 결정장애... [31] 잠이오냐지금4157 18/06/15 4157
121239 [질문] PPT 에서 아이콘 클릭하면 엑셀파일 열리게 하는 방법?? [4] 원스5204 18/06/15 52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