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10 15:23:25
Name 학생
Subject [질문] 페미니즘 관련 추천 도서

요즘 헤화역 시위 등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들이 일어나고 있어서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혹시 페미니즘 관련 (이중잣대,내로남불 아닌) '이것이 정석이다!!!' 하는 추천 도서가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6/10 15:38
수정 아이콘
젠더와 사회, 여성과 일 추천드립니다.
18/06/10 15:54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더 잔인한 개장수
18/06/10 15:39
수정 아이콘
교환 수업으로 여대까지 가서 강의를 들었지만
지금 저들이 주장하는게 정석 패미니즘입니다...
오히려 일부 남자들이 자꾸 행복회로 돌리며 페미니즘과 메갈리즘을 분리시키려 하고있죠.
더 잔인한 개장수
18/06/10 15:51
수정 아이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부가 하고 싶으시다면

지금 이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82년생 김지영>, <이갈리아의 딸들>
이 두 권을 읽어보세요.
82년생 김지영은 지금 저들이 느끼는 피해의식의 근본이고
이갈리아의 딸들은 미러링이라는 행위의 정당성 부여와 궁극적으로 뭘하고 싶은지를 보여줍니다.

그런게 아니라 정말 순수하게 페미니즘에 대해서 공부하고 싶으시면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를 추천합니다.
18/06/10 15:55
수정 아이콘
오 상반된 관점에서의 추천, 감사합니다
The Normal One
18/06/10 17:00
수정 아이콘
[지금 저들이 주장하는게 정석 페미니즘입니다. 오히려 일부 남자들이 자꾸 행복회로 돌리며 페미니즘과 메갈리즘을 분리시키려 하고있죠.] 말씀하신 부분 대해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제가 페미니즘에 대해 아예 모른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데, 제가 나름대로 알아본 페미니즘과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시위들은 궤를 달리하고 있다고 보거든요.

페미니즘의 어원이 여성에서 출발했음은 사실이지만, 궁극적으로 이루려는 바는 당사자의 성별에서 벗어나 각각 성별의 차이에 따른 사회적 고정관념등에서 벗어나자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의미로 저들이 주장하는 것이 정석 페미니즘이라고 말씀하시는 건지,
페미니즘과 메갈리즘을 구분할 수 없다는 말씀은 한국 케이스에 대해서 말씀하신 건지 궁금합니다.
Liberation
18/06/10 15: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포비아 페미니즘 따위만 거르면 다 괜찮습니다. 저는 <이갈리아의 딸들>부터 읽었던 것 같고 저희 어머니는 <82년생 김지영>을 사서 보시더라고요.

+ 메갈은 넋이라도 있고 없고 워마드는 첫 단추부터 TERF랍시고 다른 소수자들을 쳐내는 짓이나 하더니만 되도 않는 '꿘혐'한다면서 대한애국당 인 뭐시기를 밀어주고 있죠. 게다가 커뮤니티라서 누가 누군지도 모르는데 그딴 허깨비 때문에 리버럴/소셜/에코/래디컬/포스트콜로니얼 페미니즘이 통째로 덤터기 쓰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참고로 한국 페미니즘의 주력은 트랜스(워마드에서 쓰까라고 비웃는 '교차성')에 가깝습니다.

저도 래디컬은 다르겠지 했는데 자칭 안티페미들의 패악질과 워마드의 헛짓거리 보니까 래디컬과 자칭 TERF는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8/06/11 16:15
수정 아이콘
포비아 페미니즘이 별로인 이유가 있나요?
던져진
18/06/10 16:07
수정 아이콘
이중잣대 내로남불이 본질인거 같은데......
Cazellnu
18/06/10 16:25
수정 아이콘
요즘 횡행하는건 여성주의가 아니고 여성우월주의입니다.
단어가 잘 안와닿으면
백인우월주의를가진 kkk정도생각해 보시면됩니다
다크템플러
18/06/10 16:50
수정 아이콘
학문적 접근하고 싶으면 울스턴크래프트, 쥬디 버틀러
이공계분이시라면 샌드라 하딩, 이블린 폭스켈러, 도너 해러웨이의 글도 읽어볼만 합니다.
18/06/11 17:24
수정 아이콘
추천 감사합니다.
아이오아이
18/06/10 17:10
수정 아이콘
요즘 10대들이 피해를 입었으면 얼마나 입었겠습니까 여초 특유의 감정이입이 이 사태의 원인입니다
물론 화장실몰카가 존재하고 모텔몰카가 존재하고 리벤지영상이 돌아다니는게 사실인데 그게 이미 나에게도 일어난 일로 생각을 하는거죠.
서울시가 여성인력만 이용해 대대적으로 공공장소의 공중화장실 몰카를 뒤져서 0건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은 시큰둥해하면서 포르노사이트에 올라와있는 이름모를 얼굴도 알수없는 한 여성의 배변하는 모습이 찍힌 영상(글쓰면서도 쏠리네요 이걸 진짜 누가 보긴합니까) 을 굳이 찾아내어 이게 한국남자들이 여성을 바라보는 모습이라고 진실을 호도하는거죠.
82년생 저 책도 딱 같은 맥락입니다. 물론 저기 나열된 사건을은 대부분 현실에서 일어납니다만... 특이하니까 보도가 되고 알려지는건데 그런 이야기를 죄다 모아 한 여성에게 몰빵시켜놨습니다 그걸 읽는 여성들은 맞아 이게 우리의 삶이였어 하면서 있지도 않은 과거의 사건사고를 본인의 기억속에 동기화시키고 결국 어느새 본인은 한국사회의 여혐피해자가 되어있습니다.
지금 주류가 되어버린 저 피해의식덩어리들을 이해하기위해서 읽을만한 책은 위에서 거론한 82년생 하나 뿐입니다. 거의 아이튠즈로 아이폰 동기화 시키는 수준이거든요.
절름발이이리
18/06/10 17: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안 읽어본 책이긴 합니다만, 나무위키에 나온 목차에 의거해 말해보자면
82년생 김지영에서 몰카 범죄 당한것과 길가다 맘충 소리 들은거 빼면, 나머지는 그렇게 뉴스화 될 만큼의 특이한 사건들이 아닙니다. 8~90년대생 여성들 기준으로 두서너개쯤은 본인도 경험이 있고, 나머지도 주변 지인중 여러명이 경험할 수 있는 수준이죠. 따라서 "겪을 가능성 거의 없고 있지도 않았던 피해에 대한 피해의식의 몰빵" 수준의 내용은 아니란 거지요.
그리고 화장실 몰카나 리벤지영상에 실제로 당하는 사람은 절대적으로는 소수겠지만, 그런 우려를 하는 건 소수만의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마치 성범죄 무고를 당하는 남성이 절대적으로는 많지 않음에도 남초에서 벌벌 떠는 것과 비슷한 일이지요.
주파수
18/06/10 22:10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jjohny=쿠마
18/06/10 17:23
수정 아이콘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벨 훅스) 추천합니다.
전에 썼던 댓글 링크입니다.

https://pgr21.com/?b=26&n=120264&c=1049789
18/06/11 17:2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106 [질문] 뉴욕 출장시 가성비 괜찮은 호텔 추천부탁드립니다. [2] 덴드로븀2626 18/06/11 2626
121105 [질문] PC 점검비용 얼마나 할까요? [8] 탄야4353 18/06/11 4353
121104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동영상 프리미어용) [5] 은빛게르드2926 18/06/11 2926
121103 [질문] [소전]저도 소전 질문 두개 드립니다 [8] 아린어린이1892 18/06/11 1892
121102 [질문] [소전] 제대 짜주세요. [13] 김카리2451 18/06/11 2451
121101 [질문] 가구나 무거운 짐은 중고로 판매할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9] 랭롱이3745 18/06/11 3745
121100 [질문] 혼자 유후인 갑니다. [4] 라마누잔3031 18/06/11 3031
121099 [질문] cpu 온도 정상맞나용? [8] 롯토5097 18/06/11 5097
121098 [질문] PS4 타이틀 질문 드립니다. (Day of paly 할인기념) [17] Qtum4307 18/06/11 4307
121097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질문합니다. [7] 오 루즈2875 18/06/11 2875
121095 [질문] 유럽여행지 질문입니다 [18] 램지2342 18/06/11 2342
121094 [질문] 아파트 구매 예산과 생활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24] 애기찌와3927 18/06/11 3927
121093 [질문] 게이밍의자 추천부탁드립니다!! [10] 테크닉션풍5798 18/06/11 5798
121092 [질문] 소프트웨어로만 컴퓨터를 원격으로 켤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3] 성세현2924 18/06/11 2924
121091 [질문] 경복궁, 안국 라인에 소주 한잔 할만한데 있나요? [2] 잉차잉차2346 18/06/11 2346
121090 [질문] 3.5 외장하드 뺄 때 전원 문제 [2] 안경쓴여자가좋아2206 18/06/11 2206
121089 [질문] 야구 예매 할때 중고나라 말고 살만한곳 있나요? [2] 공부맨2611 18/06/11 2611
121088 [질문] 모니터 세팅 관련 질문입니다. [4] 단아반지2328 18/06/11 2328
121087 [질문] 6평 에어컨 실외기 설치비용이 대략 어느정도 일까요? [5] 회전목마3491 18/06/11 3491
121086 [질문] 다음시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베스트 스쿼드는 어찌될까요 [2] 냉면과열무2746 18/06/10 2746
121085 [질문] 안드로이드(갤럭시7) 최근 업데이트 이후 진동 [1] F.Nietzsche3973 18/06/10 3973
121084 [질문] 테니스 관련 질문입니다. [3] 타키쿤2723 18/06/10 2723
121083 [질문] 일본 여성이 한국 남성과 잘 맞는 이유가 있나요? [27] 한이연5763 18/06/10 57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