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5/31 14:16:51
Name 파핀폐인
Subject [질문] 수학 사고력에 대해 궁금합니다 (수정됨)
자게에 있는 글을 읽고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제 기준인 13학번으로 질문드리면 수능 수리영역 30문제중, 21번 그리고 29,30이 꽤 어려웠던걸로 기억하거든요.

기본적으로 괴상한 도형이 나오고 문제 지문도 길고 쉽게 풀리지 않는, 즉 변별력 문제라고 볼 수 있겠는데,

이런 문제들도 수학 못하는 학생들이 노력을 하면 결국 다 풀수 있나요?

제가 학창시절때 노력으론 안되는게 없다라는 주의여서 진짜 피나게 공부하는 타입이였는데, 결국 수리의 벽은 뚫지 못해서 답답해했었는데요..
저같은 경우는 전혀 풀이의 길이 보이지 않아 혼자 10분정도 고민하다가 답을 보면 전혀 생각지도 못한 방향으로 풀이가 되어있어 답을 보고도 "아..이건 절대 혼자 못 풀었겠다" 싶은 경우가 7할은 되었던 것 같아요..

보통 수학쪽으로 약한 친구들에게 어떠한 깨우침(?)을 주기 위해서 어떤식으로 가르치시는지, 혹은 학생들이 공부해야 하는지가 급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살려는드림
18/05/31 14:21
수정 아이콘
수학 못하는 학생의 범주가 정말 밑바닥이라면.. 저는 못풀지 않을까 해요
정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도 안되는 친구를 여럿 봤던 기억이 납니다
18/05/31 14: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문과기준이냐, 이과기준이냐에 따라 다를겁니다.
문과는 노력으로 가능 하다고보구요.. 100점은 몰라도 1등급까지는...
어느정도 학습능력이 된다고 할때, 뭐 다른과목들은 1-2등급 나오는데 수학만 4,5등급이라던가..
그런경우는 노력부족이라고 봐야하지않나 싶습니다..
지금 국어나 과탐도 사고력 없이는 고득점 절대 못받습니다... 과목수 줄면서 지옥이 되었거든요.
수학은 시간 내에라도 다 풀 수 있지... 과탐은.. 시간내에도 못풀정도입니다.

이과기준으로 가장 어려운문제도 어느정도 학습을 통해 개선이 된다고봅니다. 수능에서 무슨 독창성같은걸 요구하는건 절대 아니고,
새로운 문제라고해도 결국 기존 문제 풀이 틀 안에서 푸는 문제가 많아요. 단지 그걸 새로 포장해놔서 방법을 못찾을수가 있는것뿐이죠.
그래서 어려운문제 많이 풀고, 생각 많이 하고 하면 많이 개선이 된다고봅니다

단, 그것도 어느정도 재능이 받쳐줄경우 얘기고, 순수 노력만 가지고 1등급 받을 수 있다는건 거짓말이라봅니다.
이건 고액과외받고 학원 오래다니고 공부 오래한다고 해결되는문제는 아닌거같구요...

13년도도 이과생 수가 얼마 안될땐데 노력해도 결과가 안나오는건 어쩔수 없는거라봅니다.
시험은 상대평가인거고.. 표본집단 자체가 잘하는 학생들이 많이 몰려있고..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최상위권 제일 머리좋은학생들이 워낙 많아서...
그냥 하는데까지 노력해보는거지요.. 결과는 끝까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해야하는것 아니겠습니까...
만년실버
18/05/31 15:56
수정 아이콘
노력으로 안되는건 없습니다. 다되요. 그럴려면 모든 유형을 알고있어야합니다. 사전에서 영어찾듯이 어려운문제를 풀때는
내가 아는 유형중에 어떤게 맞는지 맞출줄알아야되거든요.
그래서 먼저 모든유형을 익히고 그걸 문제에 적용시키는걸 연습하면되요.
세종머앟괴꺼솟
18/05/31 18:10
수정 아이콘
생각할 수 있는 패턴을 다 긁어모아서 익히면 노력으로도 되겠죠. 세상 문제들이 무한이 아닌 이상..
신공표
18/05/31 19:33
수정 아이콘
저는 노력으로는 안된다고 봅니다.
한 10년 전쯤이려나요. 수십년간 수학 강사 해오셨고 본인 학창시절에도 공부를 굉장히 잘했던
유명 수학강사 조차도(아마 박승동이었지 싶네요), 인생을 결정하는 시험장에서 뭐가 나올 지 모르는 상태로 고난이도 문제를 맞닥뜨려
주어진 시간 내에 100이면 100 풀어내는 건 본인 조차도 장담하기 어렵다고 한 적이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0734 [질문] 요즘 신도림 강변에서 아이폰x 현완 시세가 어떤가요? [7] 스윗앤솔티8649 18/06/01 8649
120733 [질문] 매너리즘에 빠진 듯합니다. [28] 파츠5113 18/06/01 5113
120732 [질문] 안드로이드 사라진 아이콘 되살리는 법 [3] 정지연7782 18/06/01 7782
120731 [질문] 인터넷+TV 해지방어 질문드립니다 [4] 삭제됨2468 18/06/01 2468
120730 [질문] 배그용 조립 pc를 사려고합니다 초보적인질문좀 드리겠습니다 [12] 바둑아위험해2600 18/06/01 2600
120729 [질문] 이선희 리메이크 앨범.. [13] 하나4109 18/06/01 4109
120728 [질문] 정품 os사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 [5] 바둑아위험해2450 18/06/01 2450
120727 [질문] 홍콩여행 싸게 예매하는법 질문합니다 [3] 보아남편2404 18/06/01 2404
120726 [질문] 잠잘오는 asmr 추천해주실분 계신가요? [4] 브록레슬러2432 18/06/01 2432
120725 [질문] 스마트폰 자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F-145682949 18/06/01 2949
120724 [질문] 웨딩 스튜디오 촬영 질문입니다! [5] 곰비2064 18/06/01 2064
120723 [질문] 오메가 vs 롤렉스 [19] 탐브레디9314 18/06/01 9314
120722 [질문] 롤 4K에서 하는데 마우스 커서가 작네요 [1] 트와이스정연5851 18/06/01 5851
120721 [질문] 람보르기니를 사고 싶습니다 [12] 보석상4498 18/05/31 4498
120720 [질문] 동영상플레이어 깔때 나오는 인텔 h264 mvc decoder, FFmpeg files 스핔스핔5384 18/05/31 5384
120719 [질문] 서울/경기권 독립영화,단편영화,비주류영화 상영관 추천 부탁드립니다. [1] 프리템포2244 18/05/31 2244
120718 [질문] GPU 컴퓨팅용 시스템 구성 [2] Kaline2034 18/05/31 2034
120717 [질문] 기계식 키보드를 샀는데 이런현상 보신분 계신가요? [6] 공노비3173 18/05/31 3173
120716 [질문] 엔카 직영에서 중고차를 구매했는데 차체떨림이 있습니다 [2] 삭제됨3568 18/05/31 3568
120715 [질문] 만성 설사에 좋은 약 [4] 이리떼4050 18/05/31 4050
120714 [질문] 드라이아이스를 만지면 동상?화상? [4] 강아지멍멍2907 18/05/31 2907
120713 [질문] 인생의 책 단 한 권을 고르라면 무엇인가요? [19] 고전파3575 18/05/31 3575
120712 [질문] 부산에서 운전 어떤가요 [12] 양파는3345 18/05/31 33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