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4/26 22:26:58
Name 푸룬
Subject [질문] [부동산] 집주인이 바뀌면 세입자는 월세계약 파기할 수 있을까요?
지금 집주인이 건물을 팔려고 내놨고, 제가 사는 원룸의 계약기간은 꽤 남아있습니다.
집주인이 바껴도 계약은 자동승계 된다고 하는데, 세입자가 자동승계 거부할수 있나요?
집주인이 바뀌면 전 꼭 나가고 싶은데, 새주인과 계약승계 않고 이사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완전연소
18/04/26 22:38
수정 아이콘
네, 임차인의 선택으로 승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법원 2001다64615 판결을 참고하세요.

대항력 있는 주택임대차에 있어 기간만료나 당사자의 합의 등으로 임대차가 종료된 경우에도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제2항에 의하여 임차인은 보증금을 반환받을 때까지 임대차관계가 존속하는 것으로 의제되므로 그러한 상태에서 임차목적물인 부동산이 양도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제3조 제2항에 의하여 양수인에게 임대차가 종료된 상태에서의 임대인으로서의 지위가 당연히 승계되고, 양수인이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하는 경우에는 임대차보증금 반환채무도 부동산의 소유권과 결합하여 일체로서 이전하는 것이므로 양도인의 임대인으로서의 지위나 보증금 반환채무는 소멸하는 것이지만, 임차인의 보호를 위한 임대차보호법의 입법 취지에 비추어 임차인이 임대인의 지위승계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임차인이 임차주택의 양도사실을 안 때로부터 상당한 기간 내에 이의를 제기함으로써 승계되는 임대차관계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봄이 상당하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양도인의 임차인에 대한 보증금 반환채무는 소멸하지 않는다.
18/04/26 23:1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원룸 계약할때 이용했던 부동산에 찾아가 물어보니, 안된다고 딱 잘라서 말하더라고요. 물론 이분이 잘못 알고 있는 거겠지만, 그렇기 때문에 현재집주인이나 새로 들어올 집주인도 계약파기 안해주려고 할수가 있어서 걱정되기도 하고, 계약해지 절차를 어떻게 밟아야 하는지도 궁금하네요.
srwmania
18/04/27 08:26
수정 아이콘
임차인의 권리로 승계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만, 해당 이슈에 엮어있는 부동산은 일단 안 된다고 말하고 봅니다.
(다른 부동산에 문의해보니 말도 안 된다고 했습니다만 -_-)

문제는 법적으로 되느냐 안 되느냐와 집주인이 순순히 해주느냐는 별개의 이슈라는 겁니다.
주인이 바뀐다면, 현재 집주인은 관계가 없고 새 집주인에게 통보 후 방을 빼겠다 라고 이야기해야 하는데,
(이 경우 1개월 후 뺄 수 있을 겁니다) 새 집주인이 배째라 식으로 나오면 딱히 방법이 없습니다.
법적 대응을 하는 건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 집을 옮기는건 시간이 급한 일이라 ㅠㅠ

저 같은 경우 집주인이 저한테 통보도 하지 않고 몰래 판 데다, 심지어 월세도 전 집주인에게 계속 내는 식으로
자기들끼리 계약을 했습니다 (...) 나가고 나서 두고보자 하고 있습니다.
싸이유니
18/04/27 10:0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궁금한데 이건 어떻게 복수?할 수 있는지요?
srwmania
18/04/27 14: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기에 몇가지 얽혀있는 사연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전주인과 현주인, 부동산까지 짜고 엿먹였다고 봐야 할 구석이 많습니다)
그래봤자 법적으로 인실크리를 시전하긴 어렵고, 짜잘하게 괴롭힐만한 부분을 적극 활용해야죠.
간바레
18/04/27 10:27
수정 아이콘
월세를 안주면 알아서 집주인이 명도 소송 하겠죠 뭐..
18/04/27 12:37
수정 아이콘
월세가 엄청나게 비싸지않은이상 힘들다고봅니다 판례? 솔직히 저거 아무의미없습니다 법으로 가면 최소 반년이기때문에 그기간을 버틸수있다 싶으시면 해도되지만 거의 그냥 승계되거나 정 그런상황이 싫으시면 만기전집빼는걸로 해서 부동산중개수수료 지불하고 나가는게 빠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9205 [질문] 가격대가 높은 고급외제차는 확실히 성능이 뛰어난가요? [22] 개미4575 18/04/27 4575
119204 [질문] 현재 컴퓨터 사긴 비싼 시기인가요? [11] La La Land3524 18/04/27 3524
119203 [질문] 핸드폰 싸게사는법이있을까요? [4] 니샬라맘마7888 18/04/27 7888
119202 [질문] (스포주의) 어벤져스3 감상 전 이전 영화 관련 질문드립니다. [16] Aiurr2932 18/04/27 2932
119201 [질문] 지금 플4프로 살 수 있나요? [5] 렌야2519 18/04/27 2519
119200 [질문] 007가방 여는 법 아시는 분. [4] 파랑파랑7646 18/04/27 7646
119199 [질문] 설탕몰, 뽐뿌, 스노룸 이런데 판매하는 업자들은 뭐하는 사람들인가요? [6] 삭제됨3603 18/04/27 3603
119198 [질문] (스타1) 박성준 최연성 질레트 4강 5대 0관광의 진실? [64] 성동구7965 18/04/27 7965
119197 [질문] 유게 장려금 게시물 왜 삭제된건가요? [4] 사나없이사나마나3352 18/04/27 3352
119195 [질문] 현재 군인들 반응이 정말 궁금하네요. [25] DavidVilla5337 18/04/27 5337
119194 [질문] 만약 초대대통령이 김구였다면 어땠을까요? [26] 껀후이6218 18/04/27 6218
119193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입니다 [14] 아타락시아13183 18/04/27 3183
119192 [질문] 알칸타라 핸들커버 만두1916 18/04/27 1916
119191 [질문] 이번에 개봉하는 어벤져스영화 전편들은 안봐도되나요? [17] 천우희5814 18/04/27 5814
119190 [질문] 70~100만원 사이 노트북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7] 귀여운호랑이3326 18/04/27 3326
119189 [질문] 너무 높은 신 사구체 여과율 뭘까요? [3] 우엉5911 18/04/27 5911
119187 [질문] 교통사고 피해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2] AIPA2050 18/04/27 2050
119186 [질문] 이직 관련 일정 조언 부탁드립니다. [5] 삭제됨2207 18/04/27 2207
119185 [질문] 학부 기준 미국 입시 난이도 질문드립니다. [9] 긴 하루의 끝에서4033 18/04/27 4033
119184 [질문] 스포 인피니티 워 타노스 질문 좀 [27] 솔빈4690 18/04/27 4690
119183 [질문] 넥서스7 2세대 vs 갤럭시탭 A 8.0 2017 평가 부탁드립니다. [1] 삭제됨2459 18/04/27 2459
119182 [질문] 영양제 질문입니다 [12] 태엽감는새2514 18/04/27 2514
119181 [질문] 종종 숨이 잘 안쉬어져요 [6] 배반포6850 18/04/26 68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