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4/15 21:14:55
Name Challenger
Subject [질문] 주식에서 차트분석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최근 주식에 대해 관심이 많은 주린이(?)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인터넷이나 방송의 분석을 보면 차트분석을 굉장히 다양하게 하더라구요.

엘리엇 파동, 피보나치, 삼각수렴 등등...

너무 내용이 방대하고 어렵던데 이게 실제 트레이딩에서 중요한 요인인가요?

저는 학과가 학과인지라 기본적인 PBR PER 등은 배웠는데

저런건 처음 들어봐서 질문드립니다.

답변에 미리 감사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티어루프
18/04/15 21: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굳이 배울 필요 없다고 봅니다.
이런걸 여러가지 배우는 것보다 차라리 나에게 맞는 지표 하나를 선정하시고 그에 따른 매매방식을 정립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같은걸 배워서 누구는 계속 잃고 누구는 계속 따는 차이가 자신만의 매매방식이 정립이 덜 되어서 그렇다고 봅니다...

일단 저는 매매할때 PER도 안보고 PBR도 안보고 재무도 안봅니다... 엘리엇, 피보나치, 삼각수렴 도 마찬가지 입니다.

기본적인 개념과 무슨소리인지는 대충 알지만 정작 매매할때 한가지도 안보는거죠...

내가 좋아하는 차트의 형태만 들어가면 수익을 얻을수 있으니깐요..

정식매매로 사용 + 배우고 싶다하면 1~2가지만 익히시고
이걸 어떻게 사용해서 수익을 낼지 통계를 내시면서 확신을갖고 매매 하시길 바랍니다.
파라돌
18/04/15 22:16
수정 아이콘
차트분석중에 자기에게 맞는 지표가 있고 맞는 종목이 있는걸 보면 누군가가 나랑 같은 타이밍에 사고 팔기 때문에 효용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수렴이나 피보나치야 세력 싸움의 판단근거로 삼겠지만 실제 투자나 매도에서는 다이버전스나 rsi같은 지표도 꽤 쓸만하거든요.
물타기나 불타기에 부담없기도 하구요.
18/04/15 22:2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수많은 지표 대입하면서 자기랑 맞는(?) 지표를 믿는게 좋은 것 같아요

그래봤자 바이오 급등주 타는게 짱이죠!
던져진
18/04/15 22:21
수정 아이콘
효율적 시장 가설이라는 개념이 있는데요

이에 따르면 차트 분석이 얼마나 허황된 접근인지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토마토
18/04/15 22:43
수정 아이콘
차트를 분석한다..라는 개념보다는.. 내 원칙에 맞게 매매할수 있는 수단으로서 보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사실 개미가 분석한다고 뭘 분석하겠습니까. 저도 차트분석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나 차트 자체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편인데.. 예를들면 자신의 매매패턴을 만들어나갈때 차트에 기반이 된다면 그만큼 계량화된 매매원칙을 세울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난 골든크로스 종목을 매매하겠다, 이런식으로 매매원칙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량화할수 있죠. 물론 골든크로스 종목을 매매해서 수익을 낼수있는 상황이 있고 아닌 상황이 있을겁니다. 이런 세부적인 사항도 차트에서 찾아가며 자신만의 매매원칙으로 계량화해가는 과정이..트레이더로서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토마토
18/04/15 22:46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들을 안봤는데.. 티어루프님의 내용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윗분이 말씀하신 내가 좋아하는 차트의 형태를 찾으라는 것과 제가 말한 자신만의 매매원칙을 차트에서 찾으라는 의미는 같다고 보시면 되요..
스카야
18/04/15 23:56
수정 아이콘
윗분들이 잘 설명해주신 것 같습니다.
차트분석 그 자체로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만
자기가 원칙을 만드는데는 도움을 줍니다.
해피바스
18/04/16 00:42
수정 아이콘
저는 코린이인데 일단 차트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가령 말씀하신 삼각수렴은 이탈시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거래량을 동반한 장대양봉/장대음봉이 나옵니다
당장 오늘 비트코인이 장대양봉으로 수렴패턴에서 이탈한것을 보면 말이죠
즉 이런 수렴패턴의 끝점에서 보조지표 및 이평선에 근거한 베팅을 들어갈 수 있다는게 차트분석의 필요성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물론 확률에 근거하는 것이기에 내 생각대로 되면->어느 지점에서 팔겠다 / 내 생각대로 되지 않으면->어느 지점에서 손절하겠다
이런 구체적인 자리를 찾아주는 역할도 겸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주견공
18/04/16 00:53
수정 아이콘
차트가 사람의 투자 심리를 움직인다면 무시할수 없죠
헛스윙어
18/04/16 02:17
수정 아이콘
차트 자체가 의미가 있는게 아니라...
딴 사람들이 차트를 보고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중요한거죠.
18/04/16 02:33
수정 아이콘
데이트레이닝 하시면 반드시 필요합니다
HA클러스터
18/04/16 16:44
수정 아이콘
오른다 내린다를 판단하고 매수/매도를 결정하는건 본인이 해야하는데 그 매수/매도의 포인트를 잡는데는 도움이 되는것 같습니다.
늑대가낙타낳다
20/07/21 13:20
수정 아이콘
차트분석은 분명히 필요하죠. 차트에 지지선 저항선에 대한 확실한 개념만 잡혀도 내가 들어가야 하는 구간과 빠져야 하는 구간이 명확히 보이는데..
차트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녹아 있는 중요한 주식지표중에 하나 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8722 [질문]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났습니다 [6] 잠이오냐지금3470 18/04/16 3470
118721 [질문] 글씨를 잘 쓰고 싶습니다. [5] 겜돌이2358 18/04/16 2358
118720 [질문] 프리미어 대체용도 무료 영상편집 소프트웨어 [4] 염력 천만3193 18/04/16 3193
118719 [질문] 50만원 정도의 소액 대출이 가능한 곳 있을까요? [12] 송지은4689 18/04/16 4689
118718 [질문] 우리 업계에서는 포상입니다. 이 말 어원이 어딘가요? [11] 스타듀밸리29238 18/04/16 29238
118717 [질문] 안산에 배그 잘돌아가는 고사양 피시방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6] Sunday4049 18/04/16 4049
118716 [질문] 랜섬웨어일까요? [6] Neo2333 18/04/16 2333
118715 [질문] 자동차 보험가입관련.. 4년동안 접촉사고 2번이 있을 경우.. [1] 이쥴레이2862 18/04/16 2862
118714 [질문] IT기획 분야를 공부하려면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2] 1perlson1758 18/04/16 1758
118713 [질문] do you want vs did you want [2] 그말싫2365 18/04/16 2365
118711 [질문] 잠실야구장 먹거리 질문입니다. [8] cHocoBbanG2213 18/04/16 2213
118710 [질문] 견적 한번 확인부탁드립니다. (1080 + 피나클릿지) [9] 한아2890 18/04/16 2890
118709 [질문] 레디 플레이어 원에 나온 큐브릭 사진 패러디 [3] 트와이스정연2510 18/04/16 2510
118708 [질문] 크롬 번역 질문입니다. [2] MiracLe2816 18/04/16 2816
118707 [질문] 엑셀 고수님 도와주세요. 중복값찾아서 옮기는거.. [16] 본좌3159 18/04/16 3159
118706 [질문] 옛날 외국영화좀 추천해주세요... [14] 배틀그라운드4029 18/04/16 4029
118705 [질문] 하루에 1시간정도 짬짬이 하기에 재미있는 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30] 여왕의심복6130 18/04/16 6130
118704 [질문] 엑셀 고수분들 열 통합 질문 [4] 배에힘줄1891 18/04/16 1891
118703 [질문] 부모님 차 양도받을 시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7] 즐겁게삽시다4016 18/04/16 4016
118702 [질문] 스포/그날 바다를 보았습니다 cs2433 18/04/16 2433
118701 [질문] Number의 약자가 왜 No. 일까요? [2] 회전목마3831 18/04/16 3831
118700 [질문] 인연이라고 느낄때와 아니라고 느낄때는 어떨 때인가요? [2] 세로토닌3052 18/04/16 3052
118699 [질문] 오버워치 영상 핵감별 질문 [3] Tyler Durden2295 18/04/16 22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