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4/15 14:05:30
Name La La Land
Subject [질문] 주량의 기준은?


보통 자기 주량 말할때 그 기준을 어떻게 잡으십니까?


1.난 소주 한병 마시면 술기운오르면서 기분좋고 다음날 탈도 없다. 내 주량은 한병이다

2.난 소주 두병 마시면 혀가 꼬이고 걸음이 꼬인다. 근데 필름 끊길정도는 아니고 다음날 숙취가 좀 있긴 해서 해장해야한다.  내 주량은 두병이다

3. 난 소주 세병 마시면 종종 필름이 끊긴다. 집에 어떻게 왔는지 기억이 잘 안난다. 귀소본능으로 온거 같다. 내 주량은 세병이다


4.난 소주 네병 마시면 집도 못가는 만신창이가 된다. 주변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네병까진 같이 마시다가 그 다음부터는 술을 마실수 없는 상태가 된다고 한다내 주량은 네병이다


살면서 사람들에게 주량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면

사람마다 주량의 기준이 다른걸 느꼈고

주량형 통일 (?)이 필요해 보입니다(?)

위는 그냥 제 임의대로 분류해봤습니다

여러분들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15 14:11
수정 아이콘
제 기준은 1번입니다. 항상 보수적으로 말해야 그나마 덜 먹어서...
18/04/15 14:11
수정 아이콘
전 여친한테 전화 안 할 때까지가 주량이 아닐까요 (웃음)
Jon Snow
18/04/15 14:13
수정 아이콘
2라고 생각하는데 누가 물어보면 1.5로 답하죠.
컨디션에 차이가 커서..
너의 의미
18/04/15 14:19
수정 아이콘
6-7시간 자고 멀쩡하게 출근 하는거요
에베레스트
18/04/15 14:20
수정 아이콘
제 소주량과 거의 일치하는 예시네요.
전 한병반이라고 얘기하는 편입니다. 2번까지는 가기 싫고 1번은 좀 아쉽고 하거든요.
이제 3번까지는 거의 안가고 4번은 해본지 오래됐는데 그래도 집에 제 발로 못가본적은 없습니다. 귀소본능은 기가막힌 편이라...
다레니안
18/04/15 14:21
수정 아이콘
누가 물어보냐에 따라 다릅니다. 크크
맘놓고 취해도 되는 친구냐, 적당히 텐션만 올려야 하는 사이인가를 따져서 대답하니까요.
배주현
18/04/15 14:22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는 주량의 의미는 2번인데 누구한테 말할때는 1번으로 말합니다.
18/04/15 14:25
수정 아이콘
1~2번 사이
파핀폐인
18/04/15 14:31
수정 아이콘
다음날 일어나서 그전날 뭘 했는지 기억할 수 있는 그 선을 마지노선이라고 봅니다.

저같은 경우는 1.5-2병정도요 크크 (하지만 밖에 나가선 무조건 1병이라고 줄여 말합니다)
18/04/15 14:36
수정 아이콘
2번으로 봅니다
취해서 진상부리고 필름끊기고 이런건 주량 over된거라 생각해요
열혈둥이
18/04/15 14:38
수정 아이콘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것같아요.
어렸을때는 기억하는한 마신양.
지금은 내가 맛있게 먹는양

술이 경쟁의 대상이냐 그저 즐기는 대상이냐에 따라서
술을 다르게 대하는것 같습니다.
나이스후니
18/04/15 14:39
수정 아이콘
2번입니다. 다음날 일하는데 지장이 없는게 주량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예 탈도 없을정도로는 솔직히 어려우니 해장정도로만 풀리면 충분하죠.
학생때야 내일 수업 째고 3병 4병 마신다지만, 직장인이 되는순간 그건 의미가 없는거죠
Meridian
18/04/15 14:54
수정 아이콘
저랑 같으시네요. 대학생때는 내일을 자체적으로 휴일을 만들수 있으니 그냥 막 마시고 주량이라 했는데, 직장다니기 시작한 순간 주량이 급감해서 요즘 내가 힘든가보다 했는데 다음날이 중요해져서 그런거같네요 크크
18/04/15 14:42
수정 아이콘
저도 1번이 주량이고 2번은 만취로 칩니다.
doberman
18/04/15 14:55
수정 아이콘
공복이냐 자리가 편한 사람과냐 무조건 원샷이냐 이런저런 여부에 따라 항상 주량은 변하지만.. 전 2번 정도로 봅니다.
셧업말포이
18/04/15 15:05
수정 아이콘
2번이 주량이지만
최대치까지 쓰면 안되겠죠
네오크로우
18/04/15 15:06
수정 아이콘
1번이요~ 술을 좋아하고 자주 마시는 편인데 아무리 좋은 사람들, 좋은 자리, 좋은 안주와 함께라도 1에서 2로 넘어가려는 조짐이 보이면
자리는 지킬지언정 더 이상은 안 마십니다.
조따아파
18/04/15 15:11
수정 아이콘
좋은사람들, 친구들과 함께라면 2번.
격식있는 자리, 아직 어색한데 술자리에서 친해지려고 하는 단계라면 1번요.
솔로13년차
18/04/15 15:15
수정 아이콘
1번에 가까운데, 실제론 안취하지만 그냥 1번이라고 하거나 술 못 마신다고 합니다.
술 좋아하지도 않고요.
방과후티타임
18/04/15 15:39
수정 아이콘
2번이라고 봅니다만, 다른사람이 물어볼땐 1번이죠
La La Land
18/04/15 15:55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전체적으로 1 or 2가 대다수고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걸로....
고분자
18/04/15 17:38
수정 아이콘
1번이 맞다 생각합니다
라방백
18/04/15 19:15
수정 아이콘
왠만하면 주량은 자기가 만드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젊을때 2~3병 먹어도 멀쩡했지만 지금 다니는 회사에서 저는 한잔만 마셔도 취하는 사람입니다...
우주견공
18/04/15 21:07
수정 아이콘
주량을 인간포기 단계에 이르는 알콜량으로 계산하는 문화가 있는데 어디까지나 일상생활이나 대인관계에 지장이 없는 수준까지 마시고 절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1번
18/04/16 09:13
수정 아이콘
2번 기준으로 말합니다. 물론 1번 수준으로 먹으려고 합니다.
예전에는 기를쓰고 자제해야 1번으로 끝났는데.. 요새는 다음날 타격이 걱정되서 그런지 알아서 자제하더군요..
schwaltz
18/04/17 12:07
수정 아이콘
당일 집에 혼자 들어갈수 있고 다음날 일정 소화에 문제가 없는 선이 주량이라고 생각합니다. 본문에선 2번에 제일 가까운것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8711 [질문] 잠실야구장 먹거리 질문입니다. [8] cHocoBbanG2205 18/04/16 2205
118710 [질문] 견적 한번 확인부탁드립니다. (1080 + 피나클릿지) [9] 한아2886 18/04/16 2886
118709 [질문] 레디 플레이어 원에 나온 큐브릭 사진 패러디 [3] 트와이스정연2500 18/04/16 2500
118708 [질문] 크롬 번역 질문입니다. [2] MiracLe2813 18/04/16 2813
118707 [질문] 엑셀 고수님 도와주세요. 중복값찾아서 옮기는거.. [16] 본좌3154 18/04/16 3154
118706 [질문] 옛날 외국영화좀 추천해주세요... [14] 배틀그라운드4024 18/04/16 4024
118705 [질문] 하루에 1시간정도 짬짬이 하기에 재미있는 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30] 여왕의심복6121 18/04/16 6121
118704 [질문] 엑셀 고수분들 열 통합 질문 [4] 배에힘줄1881 18/04/16 1881
118703 [질문] 부모님 차 양도받을 시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7] 즐겁게삽시다4011 18/04/16 4011
118702 [질문] 스포/그날 바다를 보았습니다 cs2425 18/04/16 2425
118701 [질문] Number의 약자가 왜 No. 일까요? [2] 회전목마3824 18/04/16 3824
118700 [질문] 인연이라고 느낄때와 아니라고 느낄때는 어떨 때인가요? [2] 세로토닌3043 18/04/16 3043
118699 [질문] 오버워치 영상 핵감별 질문 [3] Tyler Durden2286 18/04/16 2286
118698 [질문] 모바일게임 추천좀... [1] 롯토2415 18/04/16 2415
118697 [질문] LOL 닉네임을 팔고자 합니다. [8] 관심좀4790 18/04/16 4790
118696 [질문] 50~70만원대 스니커즈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Le_Ciel3881 18/04/16 3881
118695 [질문] 토탈워 시리즈의 E스포츠화는 경쟁력이 있을까요? [10] ramram2861 18/04/16 2861
118693 [질문] 닌텐도 스위치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꼭두서니색5577 18/04/15 5577
118692 [질문] 이거 해킹인가요? [2] 22392 18/04/15 2392
118691 [질문] crab 랜섬웨어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반전여친3501 18/04/15 3501
118690 [질문] 휴대전화 주소록 대량으로 넘겨받는 방법 아시나요? [2] 루루티아1596 18/04/15 1596
118689 [질문] 코스피200 선물에 대해 궁금합니다. LG의심장박용택1682 18/04/15 1682
118687 [질문] 영화 '그날 바다' 보고 궁금증(스포) [1] 승뢰2386 18/04/15 238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