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4/04 10:48:05
Name Challenger
Subject [질문] 일정수준까지 빨리 습득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주변에 보면 전문가나 준전문가 까지는 아니더라도

남에게 설명해주거나 어느정도 수준까지는 지식이든 활동이든 빨리 습득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걸까요?

재능이나 지능의 영역을 배제할 순 없겠지만

피지알러 분들의 개인적인 방법이 궁금합니다.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04 11:00
수정 아이콘
새로운 것을 보았을때 궁금증을 가지는 게 제일 우선일듯해요.
잘 모르는 부분을 발견했을 때, 더 찾아보려는 노력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빨리 지식에 접하게 하는 듯 해요.

그리고 저런 이미지를 가진 사람이 주변에 있으면 관련 분야의 일을 겪을 때마다 그 사람을 자주 찾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모르는 것을 찾아보기도하고 반복적으로 일을 행하면서 그 쪽에 대해 더 잘 알게 되는듯 하구요.
Galvatron
18/04/04 11:01
수정 아이콘
그냥 머리가 좋고 사유가 명석한거죠.
빠르게 이해를 하고 이해한걸 조리정연하게 설명을 할줄 안다 이거죠.
알카드
18/04/04 11:03
수정 아이콘
선천적 지능 차이가 상당히 크죠. 노력에 의해서는 성실한 학습태도, 핵심을 파악하려는 훈련이 많이 되어있을 수록 잘되긴 하겠지만 지능 못 따라갑니다..
18/04/04 11:04
수정 아이콘
행동행위에서는 루틴을 만들어 익숙해지는게 중요합니다.
사람들이 생각을 하고 하는것보다 무의식의 영역도 중요하거든요.

지식에 대입해봐도 계속 그 환경에 노출이 되는게 중요한것 같아요
외국어 습득만 봐도 결국 익숙해져야 트이는거고..
현직백수
18/04/04 11:05
수정 아이콘
잡 경험이 많은데
그 경험중에서 내가 관심이있는분야면 빨리습득합니다. ..
아주 머리가나쁘지않은 이상 관심분야+궁금한게 많으면 다른것보다 빨리익히게되는..
17롤드컵롱주우승
18/04/04 11:08
수정 아이콘
1) 흥미,목표 등의 이유로 배울것에 대한 시간 투자
2)이론공부

1,2 정도하면 자기가 어느정도인지 어디가 부족한지 정도 알수있지 않을까요?
18/04/04 11:13
수정 아이콘
"어려운 것을 쉽게 배우는 방법" 이 글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려봐요
http://www.moreagile.net/2016/02/learning-new-stuff.html
18/04/04 11:14
수정 아이콘
제가 좀 그런편인데 궁금한거 잘 못참고 승부욕도 강한편이고 게임같은거 하나해도 커뮤니티, 공략 이런거 다 찾아봐서 알수 있는거 다 알아보고 하는 편이에요. 특히 비효율적으로 꼬라박는거 극혐하구요.

그런게 반복되다보면 더 능숙해지고 그러겠죠. 결국 성격?
저격수
18/04/04 11:17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에 해당되는 건데,
한 가지를 어느 정도 이상으로 습득하고 탐구해 본 경험이 다른 종류의 것을 배우는 데에 방해도 되지만 (편견으로 인한), 그 편견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야에서는 직관이 되기도 합니다. 직관은 올바른 방향으로 새겨진 편견의 다른 이름으로, 새로운 것을 원래 알던 것으로 치환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카페알파
18/04/04 11:17
수정 아이콘
그냥 거기에 '미치면' 됩니다. 틈날 때(밥먹고 일하고 자는 등 생활에 필수적인 부분을 해야하는 시간을 제외한 시간 대부분)마다 그 분야에 대해 알아보고 배우구요. 심지어 밥 먹거나 일 할때, 잠자리에 들 때도 그 분야에 대해 생각하고 곱씹어보고요.(물론 이 경지까지 가면 일상생활이 좀 피폐해지겠습니다만.) 제 주위에도 그런 성향을 가지신 분이 있는데, 확실히 빨리 늘더라구요. 다만 그 분에 한해선 그 열정이 식는 속도도 빠른 듯......
알카즈네
18/04/04 11:18
수정 아이콘
나무위키요.
Fullhope
18/04/04 11:21
수정 아이콘
대학때 까지는 넓게 내 주변을 골고루 파는 것 같구요. 대학원은 한군데 판다고 비유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직업이 생긴다면 그때부터 한우물을 본격적으로 파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골고루 파다보면, 국어, 수학, 윤리, 역사 등등도 조금씩 정립이 되는 것이구요. 정리하면, 글읽기같은 간접경험과 사회활동등의 직접경험을 통해서 평소에 이미 그분은 그분야에 대해서 준비가 되어 있는 걸지도 모르겠네요.
Bluelight
18/04/04 11:21
수정 아이콘
이해력 +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 + 집중력 + 몰입도 + 경험 등등
18/04/04 11:32
수정 아이콘
제가 좀 그런 스타일이긴 합니다.
뭘 시작해도 어느정도 수준 (대략 60~70% 사이정도?) 까지는 엄청 빨리 올라가요.
궁금한게 많고 제가 관심 있는 분야는 엄청 파고들어 가거든요.

근데 문제는 딱 그선까지입니다.
거기서 더 올라가질 못해요...
제 성격 자체가 뭐든 쏘쏘하게, 적당히 잘하자가 모토라서 그런지 몰라도 저도 모르게 세워둔 목표치에 도달하면 더 이상 발전할 생각을 안합니다.

하긴 저기서 더 많은 노력을 할줄 알았으면 여기서 이러고 있진 않겠죠....
Bluelight
18/04/04 11:46
수정 아이콘
그 수준에서 더 올리려면 그 전과 비교했을 때 요구되는 노력이 훨씬 크기도 하죠
18/04/04 11:49
수정 아이콘
그렇죠.
제가 몇번 시도해보고 지금까지 투자한것 몇배의 노력이 들어가는구나...싶어서 포기했습니다 크크크
YORDLE ONE
18/04/04 14:34
수정 아이콘
엇 저도 그래요!!! 완전 제이야기..
18/04/04 14:35
수정 아이콘
되도않는 아는척좀 하다가 망신좀 당하면 내용이 쏙쏙 들어옵니다
롯데자이언츠
18/04/05 09:14
수정 아이콘
일겅
동네형
18/04/04 15:02
수정 아이콘
저도 좀 그런편인데 대신 깊게 가는데 어려움을 느낍니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8228 [질문] 요즘도 신차 길들이기 필요한가요? [11] 아이시스 8.05353 18/04/04 5353
118227 [질문] 여수-순천 2박3일 여행코스 추천 부탁드려요 [11] 강북스타일6902 18/04/04 6902
118226 [질문] 4월 제주도 회 먹으려고 하는데 비브리오균 걱정해야하나요? [4] 엑셀시오르2915 18/04/04 2915
118225 [질문] 야구보러 가기전에 알아두면 좋을것?? [12] 현직백수2399 18/04/04 2399
118224 [질문] 30대초반 취준생 선물좀 추천 해주세요 [8] 풋사과5541 18/04/04 5541
118223 [질문] [배그] 신맵 코드 드립니다. [5] 한량기질3490 18/04/04 3490
118222 [질문] 한국은 제조업 국가인데 자영업 비중이 왜이리 높은가요? [11] 고통은없나4540 18/04/04 4540
118221 [질문] 디지털 사진 수정한날짜(메타데이터)를 변경가능한지요? [3] 10년째학부생3380 18/04/04 3380
118220 [질문] 40대 중반 직장상사 선물 추천 부탁 드려요~ [5] 버터핑거5177 18/04/04 5177
118219 [질문] (스타1)로템에서 터럿 위치 질문입니다 [8] 틀림과 다름2335 18/04/04 2335
118218 [질문] 폰을 변기에 빠뜨렸습니다. [14] 한량기질2637 18/04/04 2637
118217 [질문] 타버린 하드디스크 복구가능한지... [5] eunviho2070 18/04/04 2070
118216 [질문] 스마일 라식 해보신분 계신가요?? [11] 스윗앤솔티2856 18/04/04 2856
118215 [질문] xps13 9350 부팅 이상 질문입니다. [2] 테네브리움2439 18/04/04 2439
118214 [질문] 엑셀 질문입니다. [2] possible1977 18/04/04 1977
118213 [질문] 저희집에 이 모니터가 오버스펙일까요? [8] 양념반자르반3618 18/04/04 3618
118212 [질문] 멀쩡한 태블릿 화면에 갑자기 광고가 뜨기 시작했는데요 [2] 삭제됨2679 18/04/04 2679
118211 [질문] 고기질 무관하게 집에서 후라이팬으로 스테이크 굽는 방법있으신가요? [14] 미네랄은행5013 18/04/04 5013
118210 [질문] 어머니께서 저온화상을 입으셨답니다.. [1] 페스티2055 18/04/04 2055
118209 [질문] 비행기에서 렌즈끼시는분은 어떻게하시나요? [6] cs11106 18/04/04 11106
118208 [질문] 전세 계약 관련 문의 [2] 금모모1772 18/04/04 1772
118207 [질문] NBA 두선수에 관한 질문입니다 [18] 밀로세비치2686 18/04/04 2686
118206 [질문] 집에서 걸레자루 쓰시나요? [10] 어센틱2901 18/04/04 29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