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3/05 08:45:59
Name 트와이스정연
Subject [질문] 심장에 문제가 있는 거 같습니다.
30대 초반 나이입니다. 요즘 쪼금 살이 붙었지만 비만은 아니고 축구를 즐겨합니다. 그래도 몸이 둔하거나 나쁘진 않고 튼튼한 편이라고 생각하고 살아왔습니다.

근데 요즘따라 왼쪽 가슴, 심장있는 근방이 욱신욱신한 느낌이 납니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느낌입니다. 찌릿찌릿은 아니고 욱신욱신하다고 하는 게 맞을 거 같습니다. 이거 때문에 어지럽거나 다른 증상이

어제 축구 다녀오고 나서는 그 느낌이 더 강해져서 걱정이 확 될 정도입니다.

애플워치로 맥박을 재보니 평상시 분당 60회였던 게 지금은 70~80 이상이네요.

몇 달 전 아버지가 심근경색으로 스탠트 시술 받으신 기억도 있고, 엊그제 선배 아버지가 갑자기 심장으로 돌연사하시기도 했고, 피오렌티나 선수도 심장 문제로 급사한 거 보면서 걱정이 매우 큽니다 ㅠㅠ


혹시 검사 받으려면 어디에서 어떤 프로세스를 거쳐야 하는지, 혹시 비용 같은 건 얼마나 드는지 궁금합니다~ 관련 경험자/종사자 분들 계시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3/05 08:58
수정 아이콘
아마 처음 검사하시면 초음파 같은거 할텐데 그거야 큰 비용안나오겠지요.

가슴쪽 통증은 심장에 문제가 없더라도 정말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는거 같더라구요.
너무 큰 걱정은 하지 마시고 병원가보세요.
LaLaLand
18/03/05 09:03
수정 아이콘
가까운 큰 병원(될 수 있으면 대학병원 추천드려요) 심장내과 내원하셔서 필요한 검사(심전도,흉부엑스레이,피검사,심장초음파)등등 받으시면 될거에요
검사비용은 아마 이거저거 해서 20만~30만원정도 생각하시면 될거에요 병은 예방이 최우선 입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시고 최대한 빨리 검진받으세요!
시비르
18/03/05 09:11
수정 아이콘
제가 비슷한 경험을 해본적이 있어서

불안으로 인한 증상일 확률이 크다고 봅니다. (주변 분들이 심장에 문제가 발생한 것 때문에 그런 일이 생겼을거라 생각합니다)

일단 70~80의 맥박도 정상 심장박동수 이내이고 그정도는 조금만 불안해도 바로 올라가는 심박수입니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은 욱신욱신하는 느낌정도가 아니라 확실하게 통증이 오기때문에 알수 있습니다.

보통 왼쪽 가슴이 아프다고 병원가면 80프로 이상은 심장 문제는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그래도 걱정이 되시면 한번 가서 검진 받아보시는걸 추천합니다.
트와이스정연
18/03/05 09:41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기분탓으로 이렇게까지 될 수도 있는가 걱정입니다 ㅠㅠ
시비르
18/03/05 10:35
수정 아이콘
가능합니다. 저는 공황 증상이 있었던적이 있는데 공황 카페에 가면 아무리 검사해도 심장에는 이상이 없는데 가슴통증이 계속되고 욱신거리고 어지럽고 답답하고 숨도 잘 못쉬겠다는 사람들이 흔하다는걸 알게됩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불편하고 욱신욱신거리는 느낌이 반년이상 계속있는데 이제는 그러려니 합니다.
트와이스정연
18/03/05 10:50
수정 아이콘
다른 덴 몰라도 심장은 정말 한순간이면 골로 가는 점에서 공포가 생긴 모양입니다. ㅠㅠ
18/03/05 10:41
수정 아이콘
저도 시비르님과 같은 케이스라서 그럴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담당의사선생님도 불안감 때문에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직접 이야기해주셨거든요.
저는 가슴 두근 대는게 너무 심해서 잠도 거의 못잘정도였습니다 ㅠ
개인적으로 혈압이나 심장쪽으로 안좋다고 생각햇는데, 저한테 공황이나 흔히 화병 이런게 있나? 라는 생각에 오히려 좋게 좋게 생각하는 쪽으로 성격이 바뀌어 가고 있네요..
트와이스정연
18/03/05 10:49
수정 아이콘
심인성이 많나보네요. 심장질환에 일시적으로 트라우마가 생긴 듯 합니다..
18/03/05 10:45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경험이긴한데.. 혹시 아이코스 피시지않나요?
제가 일반담배 -> 아이코스로 바꾸고 흡연량이 늘었을 때 본문글과 같은 느낌이 1주 넘게 지속됐거든요.
네이버에서 대충 아이코스 가슴통증 검색해보니 같은 증상을 겪는 사람도 있었고..
아이코스 며칠간 끊었더니 통증이 사라졌습니다.
트와이스정연
18/03/05 10:48
수정 아이콘
평생 흡연한 적 없습니다^^;;흐흐
고무장이
18/03/05 12:49
수정 아이콘
제가 느꼈던 비슷한 욱신거리는 느낌인것 같은데요. 글만 봐서는요.

저는 비만인데 LCHF하면서 식단에 당이랑 탄수 줄이면서 싹 사라졌습니다.

최근 살이 조금 찌셨다니 요근래 식단에 설탕이나 탄수화물, 술 이런거 많이 안드셨는지 체크해보시면

도움이 될 거 같네요.
김티모
18/03/05 15:09
수정 아이콘
많이 걱정되시면 혈액검사 하시면서 심장효소검사 추가해서 해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6929 [질문] 보조배터리 충전이 되지 않습니다. [5] 니나노나2236 18/03/05 2236
116928 [질문] 정신과 상담(?) 문의입니다. [10] 파츠3373 18/03/05 3373
116927 [질문] 동생이 위험해 보입니다 [19] 금주망태6394 18/03/05 6394
116926 [질문] 하이엔텍 이라는 회사에 대해서 아시는 분 있나요? Lovely Rachel3091 18/03/05 3091
116925 [질문] 원래 대학원 원우회비가 이렇게 비싼가요? [8] 뀨뀨5452 18/03/05 5452
116924 [질문] 폰사려고 합니다. [5] 김호레이2376 18/03/05 2376
116923 [질문] 형님들 화이트데이 꽃 선물 어디서 하실꺼에요 [4] 비둘기야 먹쟈2903 18/03/05 2903
116922 [질문] 플레이스테이션 4 구매 질문입니다. [11] 제튼2300 18/03/05 2300
116921 [질문] 차이슨 이 가격대면 살만한건가요? [13] Lord Be Goja4153 18/03/05 4153
116920 [질문] 전공책을 스캔해보려고 합니다. [7] 삼성그룹5059 18/03/05 5059
116919 [질문] 휴대폰 게임 컴퓨터로 하고싶습니다 [3] wiggle3412 18/03/05 3412
116918 [질문] [일본유니버셜] 일본 여행 질문 드립니다 [12] 인생은서른부터3120 18/03/05 3120
116916 [질문] PS4 게임 추천 부탁 드립니다. [17] FallingInLuV3654 18/03/05 3654
116915 [질문] 좋은 장우산을 사고 싶습니다. [19] 서전트4419 18/03/05 4419
116914 [질문] 청와대 청원에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7] Lighthouse2003 18/03/05 2003
116913 [질문] 스타리그 경기 찾습니다 도와주세요 (홍진호 vs ? 저저전) [8] I.O.I2178 18/03/05 2178
116912 [질문] [LOL] KSV 선수들 폼이 내려간 이유가 무엇인가요? [44] 톰가죽침대5514 18/03/05 5514
116911 [질문] 현재 일하는 회사 입사하기 3개월 전으로 돌아간다면? [22] 조선왕조실록3232 18/03/05 3232
116910 [질문] 주택청약 질문입니다. (계속 납입해야할지..?) [12] Liverpool FC2648 18/03/05 2648
116909 [질문] 인터넷 속도 클레임 가능한 수준인지 질문드립니다. [5] 각키2225 18/03/05 2225
116908 [질문] 블루투스4.1부터 음악어플 자동재생시켜주는 기능이 있는건가요? [4] 스콩어3781 18/03/05 3781
116907 [질문] 업무용 보조모니터(데스크탑) 적정한 모델 추천부탁드립니다. [4] 라바무침2136 18/03/05 2136
116906 [질문] 전 날 먹은 찌개나 국은 안 먹는 남편 [102] 비싼치킨7140 18/03/05 71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