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2/22 05:57:09
Name 구앍
Subject [질문] 영미권에서의 상대방을 지칭할때의 호칭에 관한 질문
다소 두서가 없는 질문이더라도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권에서 너, 혹은 야 같은 호칭을 초면에 보는 사람에게 사용하는것은 대단히 무례하게(?) 여겨지는데요

영어 사용국가에서는 초면에 상대방을 호칭할때 You라고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인 표현인가요?

"You" 라는 표현을 나보다 훨씬 나이많아 보이는 사람에게 쓰더라도 그것이 결례에 해당되는 행위가 아닌가요?

일본이나 중국만 하더라도 제가 듣기로(?) 같은 유교 문화권임에도 불구하고 나이차이에 따른 호칭에 의해서 생기는

위계질서에 관한 문화가 한국보다는 훨씬 덜 하다고 들었는데 그것이 한국어의 특수성에서 기인하는것인지

다소 상이한 한국 문화만의 특질에서 비롯된 것인지 답답하게 느껴집니다

타 언어권 사용자와 접촉할 일이 거의 없는 저는 이게 일반적으로 한국만(?) 그런것인지 좀 매우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츠야
18/02/22 06:26
수정 아이콘
1. 초면이라면 Mr., Mrs. 를 붙여서 부르거나 상대방이 박사 학위 소지자라면 Dr.를 붙여주는게 일반적입니다. 특히, 유럽이나 미국 모두 명함이나 집 앞에 붙이는 문패에도 Dr. 라고 대부분 표기하고 이메일, 전화상으로도 늘 Dr.라고 붙일만큼 박사 학위 소지자는 좀 다르게 대우합니다.
2. 많이 친한 사이에는 나이 차이 상관없이, 위와 상관없이 you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친밀도가 높지 않고 나이가 15년 정도 이상 나면 그 때도 1번 같이 붙여서 많이 부릅니다.
헛스윙어
18/02/22 06:38
수정 아이콘
진짜 진짜 중요한 비즈니스 첫 메일 아니면 다 이름으로 합니다. 판사나 정치인이나 또는 사적인 메일 아닌경우 아니면.....
가끔 상황에 따라 이름이나 Mr/Ms는 고민해본적은 있어도,
그거와 별개로 You는 고민없이 무조건 씁니다.
You 말고는 지칭할 단어자체가 없는....
18/02/22 07:02
수정 아이콘
You 자체가 어느정도 존칭입니다.
우리말로 야 는 hey man, guys, folks, 등등이 있죠.
18/02/22 07:33
수정 아이콘
한국어가 이인칭 대명사 사용하기 난해하기로 악명이 높죠... 한국어 배우는 사람들이 처음부터 헤매는 게 인칭대명사입니다. “당신은 오늘 뭐 하세요?” 이렇게 문장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현실 한국에서 상대방을 ‘당신’이라고 부른다면... 문장 성분에서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도 부지기수이고... 영어 화자에게는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와 더불어 한국어가 세상에서 가장 배우기 어려운 언어에 속합니다.
모나크모나크
18/02/22 08:27
수정 아이콘
맞아요.. 한글은 쉬운데 한국어는 어려운 것 같아요.
시원시원
18/02/22 07:33
수정 아이콘
현직 뉴질랜드입니다.
https://youtu.be/Htd8JpggEgs
참고바랍니다. 유교적인 위계질서가 존재한다는 자체가 그들에겐 낯선느낌입니다.
할머니 할아버지한테도 쉽게 you 써요
18/02/22 08:09
수정 아이콘
애초에 you 자체가 높임말이잖아요. 러시아어로 치면 Бы.
상대를 낮추고싶으면 thou라고 칭해보세요. 고풍스럽고 무례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18/02/22 08:33
수정 아이콘
Thou가 있었군요!영어에서 인칭에 따른 동사변화가 퇴화되어서 현재와 같은 3인칭 단수만 남게 되었다고 하던데, 2인칭도 지금처럼 격식인 you만 남은 거라고 볼 수 있겠네요.
닉네임세탁기
18/02/22 09:31
수정 아이콘
지도교수님과 외국에서 외국인 포함 세명이 이야기하는데 you, he 라고 지칭했습니다.
매번 Prof. 라고 할 수도 없으니 결국 you라고 하게 되더군요. 매우 어색했던 경험이었습니다...
예의는 잘 모르겠으나 그들도 저를 you, he로 지칭을 했고, 그거 따라한것이지만요.
긴 하루의 끝에서
18/02/22 09:38
수정 아이콘
이거 한 번 참고해 보세요.

올리버쌤: https://www.youtube.com/watch?v=S_tq2lZTI_Y (미국에는 정말로 존댓말이 없을까?)
18/02/22 10:00
수정 아이콘
그냥 말하고 있는 대상이면 you이지요.
18/02/22 10:28
수정 아이콘
영미권에서는 영미야!!!영미영미!!!
죄송합니다...
Grateful Days~
18/02/22 10:29
수정 아이콘
저도 당연히 이거일줄... 크크크..
김호레이
18/02/22 10:46
수정 아이콘
왜 안나오나 했습니다...크크크크크
18/02/22 11:14
수정 아이콘
군대만 아니면 you 초면에 써도 됩니다.
18/02/22 11:35
수정 아이콘
Mr. Mrs. 같은건 You를 쓰는것과 별개의 그냥 호칭인거니까 해당사항 없고
(상대를 그냥 You라고 부를리는 없을테니까요. 'Hey, You!' 라고 부르는 막장은 아닐테니)
그냥 상대를 지칭하는 인칭대명사로 쓸 때는 You라고 쓸 수 있는 모든 상황에서 You라고 써도 됩니다. 상대가 대통령이라더라도요.
18/02/22 12:47
수정 아이콘
You 자체가 어느 정도 존칭입니다.. 저도 옛날에 직접 물어봄
진짜 예의를 차리고 싶으면 Sir이나 ma'am을 잘 활용하면 한국처럼 존칭이 됩니다
18/02/22 14:03
수정 아이콘
You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단지 formal/informal의 문제죠

예를들어
Hey Donald, did you have lunch?
Mr Trump, did you have lunch?

같은 You라도 후자가 '존칭'에 가깝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6442 [질문] 간만에 원피스보다가 질문입니다. [12] 조선왕조실록2342 18/02/22 2342
116441 [질문] 한국 쇼트트랙 선수 역대 최고 남여 선수로 꼽는다면 누구라고 생각하세요? [21] YAN3817 18/02/22 3817
116440 [질문] [약혐?]변기 뚫는 법 질문입니다. [9] Leon1943 18/02/22 1943
116439 [질문] 썸(?)녀가 소개팅을 한다에 좋은 대응법 있을까요?? [21] 플래너8157 18/02/22 8157
116438 [질문] 사당역 근처 맛집, 디저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개미핥기2984 18/02/22 2984
116437 [질문] 혹시 한영외고 졸업 혹은 다니시는 분, 또는 고등학교 철학배우신 분 계신지 여쭙니다. 박정우2018 18/02/22 2018
116436 [질문] 뉴욕vs:LA 선택장애에 걸렸어요 [33] 꿍지7622 18/02/22 7622
116435 [질문] temp 이파일 삭제해도 괜찮나요? [2] 가이다이2252 18/02/22 2252
116434 [질문] 바르셀로나로 출장 가는데 팁 부탁드립니다~ [8] 트와이스정연2301 18/02/22 2301
116433 [질문] 카카오 체크카드 문의 [1] 소맥1641 18/02/22 1641
116432 [질문] HDD는 아무거나 사도 호환이 되나요?? [6] 레너블10387 18/02/22 10387
116430 [질문] 샷시 노가다를 하게 되었습니다.. [7] kaerans6606 18/02/22 6606
116429 [질문] 본체에 갑자기 이상한 소리가 납니다. [9] Segen4606 18/02/22 4606
116428 [질문] "팀보다 위대한 선수는 없다 "라는 말 [1] 노스텔지아6142 18/02/22 6142
116427 [질문] 직장인 영어 회화 책 추천 neo ov1913 18/02/22 1913
116426 [질문] 서울쪽 버섯전골 맛있는 곳 있을까요? [1] LG우승1645 18/02/22 1645
116425 [질문] 엘지 드럼 세탁기 배수가 안 되는데요. [4] 사랑의사막6102 18/02/22 6102
116424 [질문] 보험 가입 설계서 재발급 관련 [4] 설사왕1768 18/02/22 1768
116423 [질문]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읽어볼 책이 있을까요? [2] Dalek1886 18/02/22 1886
116422 [질문] 조립 컴퓨터 견적 질문입니다. [6] 새초롬이3689 18/02/22 3689
116421 [질문] 컴퓨터 조립하려고 하는데 시기를 보고있어요. [1] mcu2200 18/02/22 2200
116420 [질문] 합정역 근처 고기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6] Rawlings2414 18/02/22 2414
116419 [질문] 듀얼모니터 구매 추천받습니다. [3] 허성민3873 18/02/22 38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