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2/16 07:36:22
Name 차라리꽉눌러붙을
Subject [질문] 후성유전이란게 확실히 입증되었다고 봐야하나요?
저는 화학생물쪽이랑 거의 연관이 없는 사람이라 잘 모르는데...
그래도 학계 동향 같은 거 보다보면, 처음에는 뭔가 있을 것 같아서 우와~하고 교수, 연구소들 막 달려들다가 나중에 보면 틀린걸로 판명나는 경우도 간간히 있는 것 같아서요...
특히 후성유전학 한다고 하면 과제비 타 내기는 정말 좋을 것 같아서, 그런 것 때문에 애매한 부분이 있어도 달려드는 경우가 많더라고요...ㅠㅠ

학계? 쪽을 많이 보다보니 의심만 늘어서.....ㅠㅠㅠㅠㅠ

혹시 생명과학이나 공학 하시는 분들,
후성유전이라는 게 완전히 존재하는 현상이라고 입증되었는데, 아직 그 기작을 모르는 건지, 혹은 아직 이런 현상 자체도 긴가민가 한건지 해서 질문 드립니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란미르
18/02/16 07:47
수정 아이콘
epigenetics를 후성유전학이라고 하는군요.
네 매우 중요한 기작입니다. 인간에서 어느정도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뤄졌고 또 계속 연구되고 있습니다.
파란미르
18/02/16 07:52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google scholar에서 epigenetics를 검색해보시면 매년 20,000여편의 논문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이쪽이 data만들기가 까다로워서 연구하기가 힘든 부분은 있습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18/02/16 08:25
수정 아이콘
그러면 일단 후성유전이라는 현상 자체는 학계에서 완전히 받아들여지고 있다 봐야 하는 거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파란미르
18/02/16 08:28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일례로 점박이 고양이는 보통 여자 고양이한테만 나타나는데, X 염색체하나가 epigenetics로 인해 inactivation되면서 생겨납니다. 연구로는 온도에 따라 다르다고 하네요.
장수풍뎅이
18/02/16 09:21
수정 아이콘
오... xist유전자 발현이 후성유전학과 관련있는건가요??
파란미르
18/02/16 11:54
수정 아이콘
inactivation이 xist 유전자 발현 이후에 inactivation이 histone modification을 통해 나타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8/02/16 10: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학 학부수준의 생화학 유전학 수준에서도 다룹니다. 학문인지 아닌지를 따지는 단계는 진작에 넘어섰고 분자생물학에서 후성유전학 없이 제대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지 모르겠네요.
차라리꽉눌러붙을
18/02/16 10:57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저 고등학교 이후로는 생물을 배운 적이 없었고 그것도 18년 전이라.......
차라리꽉눌러붙을
18/02/16 10:59
수정 아이콘
근데 아직 의외로? 대중에게 안알려진게...아직 확실하게 해석은 잘 안되고 있거나 한 모양인가요......
스칼렛
18/02/16 11: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뇨 epigenetics의 근거는 아주 굳건합니다. 그리고 무슨 학계 외부에까지 혁명적인 내용인 것도 아니고요....대중에게는 알려질 이유가 딱히 없어서 안 알려진거겠죠. 아직도 진화론이 그냥 이론 아니냐고 하는 게 말씀하시는 ‘대중’아니까요. 유전체 빅데이터로 맞춤형 진단 하겠다는 사람들이 연구비 헌터들이죠. 후성유전학 하는 사람들은 교과서 집필진에 가깝습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18/02/16 12: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후성유전학에 대해서 의심해서 저렇게 쓴게 아니라 사실 고등학교 졸업하고 나름 이공계인인데,
나이 33정도?에 처음 이런게 있다는 걸 알고 충격을 받았는데,
일반에는 너무 안알려져 있더라고요...

어떻게 보면 아직 해석하는 단계에 해당하는 기초과학 느낌이고 어플리케이션이 없어서 일반에 덜 알려진 거라고 봐도 되겠군요...

근데 후성유전자체만 해도 학계 외부에 알려질 정도로 혁명적인 내용 아닌가요?
그 전까지는 (고교 생물 수준에서) 후천적으로 획득한 형질이 유전 안된되고 시험 문제로 나올 정도였었던 것 같은데..
해바라기
18/02/16 12:38
수정 아이콘
후성유전은 보통 세포가 분열할 때도 후성유전 정보가 전달된다고 알려져있죠.
제 개인적 관심은 개체 수준에서도 후성 유전이 되는지, 그렇다면 기전은 무엇일까?입니다. 포스트 라마르크주의 라고도 불리기도 허는 학설 말이죠.
부모 (특히 아빠)가 비만이면 후손(3세대 이상)들도 당 대사가 안좋다고나, 초파리의 경우 부모가 고온에 노출되면 그 영향이 후손(10세대 이상)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 같다는 연구가 IF 15가 넘는 메이저 저널에 실리더라구요.
재밌어 보이기는 한데 연구가 워낙 어려워서 저는 손을 못 댈것 같긴 합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18/02/16 12: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후성 유전 이야기, 연구실 후배한테 했다가 공격 받아서, 스스로 근거를 굳히려고 여기에 오히려 좀 부정적인 느낌으로 질문 올렸습니다(나무위키 싫어하고 남의 의견이나 자기한테 반하는 새로운 의견 잘 안받아들이는 애라......)

혹시 공격적인 느낌 받으신 분 계시다면 죄송합니다^^;;;;

답변 달아주신 분들 다 감사드립니다!!!!!!!!!!(전문적인 내용은 제 능력의 부족으로 잘 모르겠지만....ㅠㅠ)


추가~~~~
근데 아직 잘모르는 상태에서 여기 나온 내용들 보니까 먼가 후성유전이라는 게 전통적으로 생각하는 유전에서 돌연변이? 느낌도 나고 그러네요.....
암튼 유전자 자체가 변형되는 게 아니고 같은 유전자에서, 후천적인 경험에 의해,
그 이후 세대 대대로 발현이 되거나 안되거나 하는 형질?이 생기는 거죠???

추추가~~~~
탈모유전자도 발현 안되게 할 가능성도 있겠죠?????(절실)
달달한고양이
18/02/16 17:18
수정 아이콘
아주아주 간단히 얘기하면 DNA와 길고 긴 DNA를 세포핵 내에 컴팩트하게 패키징하는 히스톤 단백질들이 있는데, 유전학은 특정 유전자를 이루는 DNA 자체의 차이(a라는 개체는 AATC 고 b라는 개체는 ATTC 라는 식의)에 의해 표현형의 차이가 비롯된다는 것이라면, 후성 유전학은 똑같은 DNA서열이라도 그 서열이 담고 있는 정보가 발현되는 양상이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가장 흔히 얘기되는 게 methylation 패턴인데 DNA나 히스톤 단백질에 메틸화가 일어나면 패키징이 빡빡하게 바뀌면서 발현이 억제됩니다. 이렇듯 발현 변화를 일으키는 데 관여하는 기작이 어마어마하게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똑같은 유전자를 갖더라도(일란성쌍둥이) 결국 다양한 표현형을 갖는 개체가 된다는 것이죠.
이런 발현의 조절은 시시각각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후대로 유전이 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 이렇게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인자를 크리스퍼 등으로 세포내로 도입시켜서 유전자 발현 레벨을 체내에서 조절하는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천재들이 너무 많아요... 크크
차라리꽉눌러붙을
18/02/16 23:05
수정 아이콘
까막눈도 알아들을 수 있는, 성의가 넘치는 정말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18/02/16 13:05
수정 아이콘
요즘 후성유전학 타이틀을 달고 나오는 과학책도 많아요. 뭐 한번 읽어보셔도 될듯
차라리꽉눌러붙을
18/02/16 13:20
수정 아이콘
네, 적당한 수준 찾아서 한 번 봐야겠네요~~
달달한고양이
18/02/16 17:09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게 유전학 연구하는 분들 강의 듣다보면 그래 역시 유전정보가 기본이지 싶다가도 후성유전 강의나 연구 들으면 그깟 디엔에이 따위 라는 생각이 들죠. 복잡하지만 정말 재미있는 분야예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6212 [질문] [연애]베프가 좋아했던 여성과 썸을 타고있습니다.(장문주의) [44] 각키5894 18/02/17 5894
116211 [질문] 컴 견적 확인 부탁드립니다. [4] 한아2000 18/02/17 2000
116210 [질문] 편람을 읽다 질문드립니다 드문1611 18/02/17 1611
116209 [질문] 스타1 토스 빌드 좀 몇개 얻고싶습니다. [6] 에밀리아클라크2838 18/02/17 2838
116208 [질문] 30초반 남성 지갑 추천부탁드려요 [20] 나이스3825 18/02/17 3825
116207 [질문] 무선이어폰, 유선이어폰 동시 사용 가능한가요? [3] 메티스13578 18/02/17 13578
116206 [질문] 닌텐도 스위치 타이틀 추천부탁드립니다. [12] 하나3966 18/02/17 3966
116205 [질문] 애즈락 메인보드 고수님을 찾습니다 [9] [PS4]왕컵닭4043 18/02/17 4043
116204 [질문] 스팀 이메일 인증이 안됩니다. 도와주세요. [2] 득이15097 18/02/17 15097
116203 [질문] [블루투스 이어폰] 가성비가 높은(이라고 쓰고 값이 저렴함이라 읽는)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sigrace4279 18/02/17 4279
116202 [질문] 다들 컴퓨터의자 어떤거쓰시나요?추천받고싶습니다. [8] 브록레슬러9325 18/02/17 9325
116201 [질문] 폴더폰에서 스마트폰으로 [2] 톰 요크1451 18/02/17 1451
116200 [질문] 컴퓨터가 불시에 꺼집니다. [11] Ariana Grande3207 18/02/17 3207
116199 [질문] 다키스톤 밖에서 폰으로 하고 싶어요! 올키넌2011 18/02/17 2011
116198 [질문] 스키장 준비복장(?) 질문입니다 [7] ...And justice9764 18/02/17 9764
116196 [질문] 블루투스무선이어폰 추천부탁드립니다 [15] Syncnavy2975 18/02/17 2975
116195 [질문] 인스타그램 고수님들 도움 부탁드려요. 인생국수1816 18/02/17 1816
116194 [질문]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ㅠ [14] 눈시BB2353 18/02/17 2353
116193 [질문] 남자 백팩 질문입니다. [3] 꿀꿀맨2178 18/02/17 2178
116192 [질문] 이런 프로그램은 어떤걸 써서 만드는 건가요? [6] 하아얀2982 18/02/17 2982
116191 [질문] 제주도 여행시 전기차 렌트해보신 분 계신가요? [7] 작별의온도3046 18/02/17 3046
116190 [질문] [주식/코인] 스톱리밋 기능에 대해 [5] wham2675 18/02/17 2675
116189 [질문] LOL 설맞이축제 토큰 어떻게 써야될까요? [8] 광고계정3896 18/02/17 38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