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2/09 21:39:40
Name nexon
Subject [질문] 전세가가 매매가와 거의 동일할 경우 그냥 구입하는 게 맞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보통 전세가는 매매가보다 적은 게 일반적일 텐데요

어떤 경우는 전세가가 매매가와 거의 같은 경우도 있어서 그렇다면 그냥 구입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 궁금해서요...

예컨대 A부동산의 매매가는 1억원인데 전세가는 9천만원이라고 하면 그 이유는

1. 전세물건이 워낙 부족해서 전세가가 오른 경우
2. A부동산이 위치는 좋지만(예컨대 역세권) 건물이 오래되었거나 해서 부동산 자체의 가격이 낮은 경우

이 정도가 될 것 같은데

어느 쪽이든 해당 부동산은 직접 구입해서 사는 가치다 전세로서의 가치밖에 없다고 보아야 하는 것이므로 굳이 구입하지 않는 게 맞는 것일까요...?

아니면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은 별로 중요한 지표가 아니라고 봐야 하는 것일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
18/02/09 21:48
수정 아이콘
전세가격이 집값보다 비쌀 수도 있어요.
거의 비슷하다면 2년후에는 집값의 하락으로 전세가격보다 매매가가 떨어질 수도 있으니까요.
조심히 결정하세요.
셧업말포이
18/02/09 21:49
수정 아이콘
오히려 사지 말아야죠
전세 들어가는 것도 피해야 하구요

앞으로 떨어질 것 같으니
혹은 매매가 안될 것 같으니
구매를 피하려는 거니까요.
ioi(아이오아이)
18/02/09 21:54
수정 아이콘
그 집에 한 10년 정도 살거면 사도 상관 없는데,,, 굳이? 라는 생각이네요
덴드로븀
18/02/09 21:56
수정 아이콘
일단 동일 지역에 비슷한 급이나 살짝 높은 급의 아파트 시세를 확인해봐야죠. 그동네 다그런거면 몰라도
동이 바뀌는데 뭔가 시세차이가 다르다...라면 다시 잘 알아보시는게...
내일은
18/02/09 22:31
수정 아이콘
구입하면 전세보다 복비도 쎄고 취득세에 이것저것 깨지는게 꽤 됩니다.
전세가가 쎄다는건 (그 집만 쎈게 아니라 동네 자체가 전세가 비율이 높은 경우) 실거주수요가 많다는거라 나쁜 신호는 아니긴 합니다만
전세로 살 집과 돈주고 살 집은 좀 다르죠. 가족이 있으시면 안정적인 내 집이 필요하지만 이사 다닐 직업이라거나 아직 결혼 전이라 나중에 결혼하게 되서 배우자와 살게 될 곳이 미정이라면 집 구매는 미뤄야 하고요
18/02/09 22:41
수정 아이콘
전세가와 매매가가 똑같거나 전세가가 더 높아서 집산 사람중 후회안한사람을 못봐서
추천해드리고 싶지가 않네요
뭐 제 인생사에서 봣던사람들 기준으로만 말씀드린거니 극히 좁은식견입니다만
그냥 말리고싶네요
18/02/09 22:55
수정 아이콘
전세가는 현재가치
매매가는 미래가치라고들 하더라고요

근데 전세가가 매매가랑 비슷하면 글쓴분과 같은 생각으로 매매하시는 분들이 생겨 전세가가 매매가를 밀어올려주는 경우도 생기죠~
강미나
18/02/09 23:29
수정 아이콘
IMF처럼 시세가 전반적으로 확 꺼진 경우면 모르겠는데 그렇지는 않고, 결국 아파트에 문제가 있다는거라....
18/02/10 00:05
수정 아이콘
정답 없습니다.
해당 단지 시세, 동네 시세, 원인 등등 다각도로 분석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상황은 아닙니다
18/02/10 00:06
수정 아이콘
대게 집에 문제가 있다는 뜻입니다
18/02/10 01:19
수정 아이콘
그냥 앞으로 집값이 오르지 않을거라고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다...... 정도라고 봅니다.
집에 문제가 있다거나 이런 문제가 있으려면 동네시세와는 달리 특정 집 그래야 하는 거구요..
실제로 저희동네는 제가 2년전에 전세들어올때 2억2천5백이었는데 매매가는 2억4천이었습니다.
동네 전체가 그랬는데 수만채가 모두 문제 있을리는 당연히 없겠죠?
미뉴잇
18/02/10 04:16
수정 아이콘
보통 투자가치가 없을수록 전세가율이 높죠..
하지만 전세도 위험한게 저런 매물은 부동산 불황이 오면 매매가가 하락해 전세가보다 더 떨어질 수가 있다는거구요.
18/02/10 14:53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5971 [질문] 이런 행동의 심리가 뭘까요? [9] 이명헌2782 18/02/10 2782
115970 [질문] 보험 가입시 주의사항 질문입니다. [2] 곰강아지1588 18/02/10 1588
115968 [질문] 아이 패드 선물 관련 [2] 승뢰1881 18/02/10 1881
115967 [질문] 몬헌 월드 건랜스 팁 좀 주세요 [6] FRONTIER SETTER4125 18/02/10 4125
115966 [질문] NCS 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2] Total3804 18/02/10 3804
115965 [질문] 외대앞 혹은 경희대 앞에 24시간 카페가 있을까요? [5] GoThree7994 18/02/10 7994
115964 [질문] 스1 테란 개념을 늘리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5] 설아5015 18/02/10 5015
115963 [질문] [대학원]잘 모르는 전공 내용을 발표할때 [12] 무민2745 18/02/10 2745
115962 [질문] 인천공항 7시 비행기 문의드립니다. [5] 사도쫓는바퀴2589 18/02/10 2589
115961 [질문] 그래픽 카드에 이상이 있는거 같은데 검사를 어떻게 해야하나요? [10] 타릭3647 18/02/10 3647
115960 [질문] 드론 질문 입니다 [3] Lord Be Goja2015 18/02/10 2015
115959 [질문] LOL 리메이크 스웨인 궁이 활성화가 안되는데.. [4] 오'쇼바3513 18/02/10 3513
115958 [질문] 3호선 양재역 근처로 출퇴근합니다. 자취방으로 어디가 좋을까요? [23] 엄청난닉네임14171 18/02/10 14171
115957 [질문] 커세어 청축 키보드는 어떤가요? [4] 챔쁜이4786 18/02/10 4786
115956 [질문] TV겸용 모니터 or 수신카드+모니터 어느게 좋을깝쇼.. [1] 키토1851 18/02/10 1851
115955 [질문] 가족이 제 실제 월급을 알 수 있나요? [10] eedd3833 18/02/10 3833
115954 [질문] 어깨 안쪽 담 푸는 방법이 있을까요 [3] 진솔사랑2384 18/02/10 2384
115953 [질문] 테드말고 영어학습에 좋은 동영상자료로 뭐가있을까요 [4] 어두운하늘2255 18/02/10 2255
115952 [질문] 스투키 화분 키우는데 상태가 왜 이러죠??? [2] 냉면과열무2537 18/02/10 2537
115951 [질문] 이런 구인 조건이 흔한가요? [15] Repppo3584 18/02/10 3584
115950 [질문] [PC/윈10] 웹 브라우저 추천 부탁합니다. [8] Healing3270 18/02/10 3270
115949 [질문] 트와이스는 어디까지 올라갈까요? 동년차의 소녀시대와 비교하자면..? [11] 울트라면이야4104 18/02/10 4104
115948 [질문] 애플계층) CPU게이트 이후 macOS 성능 체감 문의 [2] Callen1858 18/02/10 18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