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28 23:34:34
Name 쿨피스
Subject [질문] 아침에 잘 일어나는 법이 궁금합니다.
20대 후반 학생입니다.
중고등학생, 군대, 현재까지 매일 아침에 일어나는게 가장 힘듭니다..
7시에 일어나기 위하여 알람을 4시부터 30분 단위로 해놓아도 못 일어나는게 태반입니다.
혹시 저와 같은 늦잠러를 위한 방법은 없을까요?
알람 같은 경우는 미션 완료해야 꺼지는 어플 사용 중입니다.
살려주세요! 여러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쿨피스
18/01/28 23:36
수정 아이콘
보통 새벽 1시에 잠자리에 듭니다..
어릴 때부터 잠버릇이 안 좋아 깊은 잠을 못 자는지... 수업이나, 업무 중에 자주 졸곤 합니다..
일이등병 때부터 늘 기상나팔은 못 들었습니다....
불타는로마
18/01/28 23:54
수정 아이콘
일찍자는게 답 아닐까요
유지애
18/01/29 00:02
수정 아이콘
자기의 자연적인 수면시간을 알아보고(노력하면 줄일 수 있긴하지만)
그 수면시간에 맞춰 잠들도록 노력해보세요
18/01/29 00:04
수정 아이콘
무조건 평소보다 일찍 잠들어보도록 해보세요
18/01/29 00:09
수정 아이콘
다 필요없고 실리마린드세요
neogeese
18/01/29 00:11
수정 아이콘
저도 굉장히 심한 편인데 자기 전에 비타민B 등의 영양제 먹고 잤어요. 이게 안좋은 거라 듣긴 했었는데 아침에 좀 수월하게 눈이 떠지긴 합니다.
요즘은 운동으로 체력을 좀 올려서 해결 했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8/01/29 00:12
수정 아이콘
일찍 자세요. 7시에 일어난다고하면 10시에 자세요.

9시간정도 자면 힘들지 않습니다...
18/01/29 00:18
수정 아이콘
반드시 일찍 일어나야 하는 이유가 있는 게 아니면 그냥 늦잠 주무세요.
수업 좀 늦는 정도는 큰 일이 아닌 학생이라는 가정하에 말씀드립니다. 나중에 취업해서 직장 출근시간이 생기면 저절로 일찍 일어나져요.

지금 꼭 일찍 일어나야 되는 상황이라면 일찍 주무세요.
사람마다 하루 자야 되는 시간이 정해져 있는데 그보다 적게 자고도 잘 일어나는 방법은 없습니다.
밥을 적게 먹고도 배가 고프지 않는 방법이 없는 것처럼요.
오버액션토끼
18/01/29 08:01
수정 아이콘
이게 답인거같아요.
3시에 잠들어도 4시 30~40분이면 싫어도 일어나게됩니다!? 출근해야지요 흑흑..
18/01/29 00:31
수정 아이콘
일찍 자는게 짱이긴 한데..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시간이 다른건 어쩔수가 없더군요

4시간씩 자고 공부했어 이런말들 해서 저도 몇번 도전해봤는데... 저라는 인간은 아무리 적응 해보려 해도 되지 않더라고요..
18/01/29 01:17
수정 아이콘
저희 누님이 그래서 매일 9시에 잠드셨었습니다
블루토마토
18/01/29 01:30
수정 아이콘
본인한테 필요한 수면시간을 다 자고 일어나는 시간이 7시가 되도록
일찍 주무시는 방법이 제일 입니다.
18/01/29 01: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4시부터 30분 단위로 하면 더 깨기 힘들어요
그거 절대 하지마세요.

생활패턴 자체를 바꿔서 일찍자고 4-5시쯤 일어나는걸로 하면 좋습니다.
새벽에 일찍일어나서 운동을 하든가 아니면 게임을 하든가 하세요.
CoMbI COLa
18/01/29 02:17
수정 아이콘
병이 있거나 일에 치여서 만성피로가 있는게 아닌 이상 습관의 문제라고 봅니다. 저도 예전에는 잘 못 일어나서 알람 10개씩 맞추고 살았는데 다 소용없는 일입니다. 알람이 울려도 끄고 다시 잠이 드는게 습관처럼 되더군요. 그래서 알람 들리자마자 확 일어나서 화장실로 직행했습니다. (화장실은 제가 일어나서 처음으로 가는 곳이라 이렇게 적었을 뿐, 물을 마신다거나 밖에 나가서 흡연을 하신다거나 다 상관없습니다.) 처음에는 똥 싸다가 졸고 샤워하면서 졸고 그랬는데 점점 익숙해지니 밤에 자는 시간이 앞당겨지고 아침에 굳이 벌떡 안 일어나도 잠이 깨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벌떡 일어나는게 건강에는 별로입니다. 느긋하게 각성하는게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고 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알람을 많이 맞추는건 정말 안 좋은 습관입니다. 첫 알람을 깨고나서 다시 깊은 잠에 들지 못하고 계속 알람이 울려 깨는 상황이 반복되서 오히려 더 피곤해집니다. 7시랑 7시 5분 2개 정도만 맞추고 주무시는게 차라리 더 낫습니다.
정공법
18/01/29 05: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떤어플쓰시나요?
저는 정해진곳 사진찍어야만 알람이 꺼지는 어플쓰고있는데
화장실 세면대로 정해놓고 찍고 바로 이닦습니다
밖에있는 현관문이나 이런데 설정해놓고 나간김에 기지개한번펴고 오시고 이런데도 또 주무시면 그냥 답이없는거....
참고로 어플은 알라미 라고 치시면 되요
염력 천만
18/01/29 06:25
수정 아이콘
몇시에 주무시는지가 제일궁금하네요
及時雨
18/01/29 06:45
수정 아이콘
첫플에 한시라고 써 있네용
배주현
18/01/29 08:28
수정 아이콘
일찍 주무세요. 한시에 주무시러 가셔서 4시부터 30분 단위로 계속 깨신다면 그게 더 힘들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1-7시가 부족하다면 더 일찍 주무시러가는것 밖에 없죠.
18/01/29 08:49
수정 아이콘
1시쯤에 자면 원래 보통 사람이라면 7시에 일어나는게 조금 빡셀 수 있죠. 그래도 수면 시간에 7시간은 되야하는거라. 12시쯤에만 주무셔도 많이 다를겁니다.
카디르나
18/01/29 10:32
수정 아이콘
7시에 일어나시려면 적어도 12시 전에 잠이 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4시부터 알람 맞추시면 절대 안되구요, 차라리 6시 55분, 56분, 57분 이런식으로 맞추셔야 합니다. 그리고 7시에 반드시 일어나야 하는 일이 없으면 그냥 자버리게 됩니다. 윗분들 이야기 처럼 무조건 첫 알람 들리면 화장실 직행해서 샤워 혹은 옥상 나가서 팔벌려 뛰기 5회(운동이 목적이 아니라 잠 깨는 게 목적이므로) 등이 제일 좋구요, 우선 약속이든 모임이든 다 무르고 잠 일찍 자는 습관 먼저 잡으시는 게 더 중요합니다.
카디르나
18/01/29 10:34
수정 아이콘
만약에 나는 1시 이전엔 도저히 잘 수 없다 싶으시면 12시 반에라도 잔다는 각오를 하시고 대신 7시 30분(더 이상 늦게 일어나면 안되는 시간) 근처에 알람을 열 개 맞추고 알람 듣자마자 일어나는 습관 들이시는 편이 더 좋습니다.
18/01/29 10:36
수정 아이콘
저는 수험생 시절 워낙 잠이 많고 아침에 일어나는것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그냥 알람 안맞춰놓고 편하게 잤습니다.
보통 오전 10시 30분~12시 사이에 일어났던거 같아요.
대신 알람없이 푹 자니까 하루종일 상쾌하고 졸린것 없고 그러더군요.

그러다 직장다니는 지금은 무조건 7시기상 입니다. 출근해야되니까 그냥 일어나져요. 생활패턴이 어떻든 전날 몇시에 잤던 일단 일어는 나지네요 크크
Skatterbrain
18/01/29 10:52
수정 아이콘
1시에 자서 7시에 일어나려면 6시간 자는건데, 보통 6시간 수면은 적어요. 잘 못 일어난다 싶으시면 필요수면시간이 8시간은 될거 같은데 좀 더 일찍 주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덮어쓰기
18/01/29 11:11
수정 아이콘
알람을 3분단위로 여러개 맞추면 짜증나서 깹니다.
남은거 먼저 끌 때 다시 한번 짜증나서 잠이 더 깹니다. 크크
이혜리
18/01/29 11:53
수정 아이콘
원래 다 힘들어요.
일어나면서 개운한 사람 따위는 존재 하지 않습니다.
그냥 필요에 의해서 일어나는건데, 돈이 걸려있고 일이 걸려있으면 그냥 다 눈이 떠집니다.
18/01/29 13:35
수정 아이콘
학생이라 그래요.
직장다니면 그냥 눈떠집니다 흐흐
세종머앟괴꺼솟
18/01/29 13:35
수정 아이콘
4시부터 알람 걸어놓은 것부터가 큰 원인 중 하나 같은데요..
강미나
18/01/29 14:00
수정 아이콘
두시간 일찍자고 6시 45분부터 3분 간격으로 맞춰놓으면 쉽게 일어날 수 있을겁니다.
La La Land
18/01/29 14:10
수정 아이콘
저는 티비 켜짐 알람을 사용합니다

티비켜짐 알람 음량 100으로 하면

소리가 어마무시하게 커서 옆집에도 들릴 정도

근데 너무 졸리면 제가 기억도 못하는 사이 리모컨으로

크고 자더군요

그래서 리모콘을 화장실에 가져다 놓습니다



잠 확깹니다
18/01/29 15:10
수정 아이콘
4시30분부터 알람을 못 들으셔서 여러개 맞춰놓으시는건가요? 아니면 듣고도 못 일어날까봐 그러시는건가요?? 7시에 기상해야한다면 그냥 7시 하나 해놓는게 훨씬 더 푹주무실것 같은데요.
주니뭐해
18/01/29 16:12
수정 아이콘
네시에 알람을 왜하나요..... 기상시간 30분전부터 5분단위로 적응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스트레이트
18/01/29 17:47
수정 아이콘
일어나셔야 하는 시간 20분 내에서 매일 알람 시간을 변경해 보시는것도...
너무 일찍 해놓으면 더 피곤하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5463 [질문] 주유할인 많이 되는 카드 추천해주실거 있나요~~? [4] 바둑아위험해2250 18/01/29 2250
115462 [질문] 듀얼모니터 사용시 소리문제인데요.. [1] vorhandensein3939 18/01/29 3939
115461 [질문] 주말에 볼 영화 추천 부탁합니다 [12] Tier12224 18/01/29 2224
115460 [질문] 상견례 가족 복장 [23] phoe菲10870 18/01/29 10870
115459 [질문] 배그 키세팅 어떻게 해야 편한가요? [18] 은하7858 18/01/29 7858
115458 [질문] 적금들까 하는데 이상품 어떤지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4] LG우승2606 18/01/29 2606
115457 [질문] 동남아 먹방 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7] 찐타12698 18/01/29 2698
115456 [질문] 연말정산 질문드립니다. 대상은 누구부터 가능한가요? [3] 김태동 No.12321 18/01/29 2321
115455 [질문] 모니터 전환 쉽게 할 수 있는 방법 없나요? [5] 젤나가2302 18/01/29 2302
115454 [질문] 옴걸 아린 움짤인데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2] 삭제됨2833 18/01/29 2833
115453 [질문] 비행기 결항시 보상관련 WHIPLASH1893 18/01/29 1893
115452 [질문] 듀얼모니터 사용 시 컨버터 질문 드립니다. [2] 율곡이이2164 18/01/29 2164
115451 [질문] 겨울에 갈만한 국내커플 여행지 있을까요? [11] NaS.KiJuK4036 18/01/29 4036
115450 [질문] 세탁기와 에어컨 구입 질문입니다. [1] kogang20011734 18/01/29 1734
115449 [질문] PS 4 타이틀 온라인 구매 추천 [15] 하얀 로냐프 강2784 18/01/29 2784
115448 [질문] 미용실 추천 좀 해주세요. sakura1786 18/01/29 1786
115447 [질문] 세종 대전 근처 항문외과 추천해주세요 [1] 루엘령3779 18/01/29 3779
115446 [질문] 노트북에 종류가 서로 다른 램을 꽂아도 될까요? [3] 푸룬3039 18/01/29 3039
115445 [질문] 걀럭시s6 갑자기 나오는 광고 삭제 문의 [2] 사구삼진2856 18/01/29 2856
115444 [질문] 케이블 티비가 들어오면 인터넷도 되는건가요? [6] 솔지2098 18/01/29 2098
115443 [질문] '판시딜' 효과 있습니까? [12] RedSkai5955 18/01/29 5955
115442 [질문] 고정형 이동식 단속 구간?? [23] John Snow7828 18/01/29 7828
115441 [질문] 윈도우 타블렛이 가지고 싶어졌어요... [5] [PS4]왕컵닭2807 18/01/29 28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