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23 00:34:02
Name 아린이
Subject [질문] 아파트 구입시기 지금? 아니면 4월후?
안녕하세요 피쟐 회원여러분들

저도 이제 아파트 하나 사볼까 하는데요

지금은 lh살고 있어서 당장이라도 집이 없어서

발을 동동 굴러야하는 상황은 아님니다

만약 아파트를 구입하면 구입시기는 언제가 가장 좋아

보이시나요? 참고로 제가 살고있는 지역은 대구에서 외지인 달성군입니다.

그러므로 과세 중과 지역은 아님니다. (뉴스를 찾아보니 서울,경기,부산,세종)

1. 4월 부동산 정책 후 구입한다

2. 4월 전에 부동산 정책 시행전에 구입한다

뱀다리... 대구도 충분히 많은 뻠핑이 되고있는데 피 2000,3000 웃습던데 왜 여긴 중과 지역이 아닐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1/23 01:20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이 주택 구입에 타이밍을 크게 고려하는 이유는 '샀는데 하필이면 재수없게 딱 그때부터 빠지기 시작하는 것'을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정상적인 조정의 경우, 변동폭은 10%내외 수준을 크게 넘지 않습니다. 특정 지역 내에서도 일부에 한해 특이할 정도로 많이 올랐다가 그게 내려앉는 경우는 좀 더 될수 있습니다만, 그건 과거 시세와 분위기를 잘 살피면 충분히 피해갈 수 있는 문제일 것입니다.
그리고 정상적인 조정은 말 그대로 조정이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같은 것입니다.

정상적인 조정이 아닌건 정말로 운이 없는겁니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정상적인 조정을 넘는 수준의 하락은 상당한 과열상태에서 발생하며, 그게 아닌데 크게 하락하는건 그냥 팔자라고 생각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세제정책 관련한 부분은 무시하는게 좋습니다. 뭘 어떻게 하든 그건 방향과는 무관합니다.
전세계적인 사례들을 볼때 증세는 상승이나 하락의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경기 여건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2000~2004년 당시 2000년을 정점으로 하여 IT버블이 꺼지면서 세계적으로 심각한 경기침체가 발생했습니다.
PC향 반도체 업황의 하락전환 등으로 한국의 수출은 꺾이고(수출은 국내 유동성과 관계가 높으므로 부동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국제유가 또한 상당폭 내려앉으며 매우 흉흉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2002~2004년에는 '카드대란'이 발생하며 370만명의 신용불량자가 생겨났고, 소비지표 등은 크게 악화되는 등 여러가지로 안좋은 분위기가 연출되었습니다.
그런데 2000~2002년의 주택시장은 전국적으로 지역을 가리지않고 전부 급등이었습니다.
즉, 일반 경제의 경기변동을 이유로 주택시장을 전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잘 맞지도 않습니다.

한국의 부동산 가격은 돼지고기값과 매우 크게 비례해서 움직입니다.
'돼지고기'라는 것은 아주 큰틀에서의 경기순환을 상징하는데, 그것은 작게 보면 15~20년을 주기로 등락하고 길게보면 30년 이상을 주기로 등락합니다.
개인적인 느낌상으로는 과거 2008~2010년의 정점 이후 다음 정점은 2025~2030년을 정점으로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보다 더 큰틀에서의 정점은 2040년 이후가 될 수 있습니다.
아린이
18/01/23 09:3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러닌까 어짜피 오를아파트는 오르고 정책에상관없이 그냥 사라는거죠? 제가 제대로 이해한것이 맞는건지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5195 [질문] 부산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쉬군3682 18/01/23 3682
115194 [질문] 갤럭시 노트8 LG 에서 샀는데 SKT 변경 가능한가요? [4] MelOng1841 18/01/23 1841
115193 [질문] 미니빔 질문 드립니다. (PH-550 vs 벤큐 gs1) [2] 누림 다복3984 18/01/23 3984
115192 [질문] 연말정산 추가질문입니다. [8] StarLoL사랑1646 18/01/23 1646
115191 [질문] 좌표값을 가지고 그래프를 뽑아주는 프로그램 있나요? [4] 성세현1916 18/01/23 1916
115190 [질문] 커피 한잔에 원두가 보통 몇g 들어가나요??? [12] 삭제됨15683 18/01/23 15683
115189 [질문] 연말정산에서.. [5] StarLoL사랑2050 18/01/23 2050
115188 [질문] 롤 프레임 방어가 안됩니다.. [10] 이태양7514 18/01/23 7514
115187 [질문] 새 집 이사 질문입니다. [13] 계란말이2436 18/01/23 2436
115186 [질문] 회식 불참하는 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58] 삭제됨7337 18/01/23 7337
115185 [질문] 애플 헤드폰(비트)나 블루투스 헤드폰 쓰시는분 계신가요? [4] Chandler2106 18/01/23 2106
115184 [질문] 예비 신부가 본인보다 연봉이 많은 경우 오픈을 어떻게 할까요 [59] 수지7228 18/01/23 7228
115183 [질문] 몬스터 헌터에 발도술을 쓰는 무기가 있나요? [14] 불같은 강속구5951 18/01/23 5951
115182 [질문] 중고차 대출 구입 연말정산 가능한가요? [1] 루시드레인2473 18/01/23 2473
115181 [질문] [카톡] 보이스톡 궁금 [1] 비둘기야 먹쟈2734 18/01/23 2734
115180 [질문] 연말정산질문드립니다. 오버액션토끼1161 18/01/23 1161
115178 [질문] 그래픽카드 다운그레이드 질문입니다. 회전목마1711 18/01/23 1711
115177 [질문] 퇴직연금 or 연금 추천 부탁 드립니다. [7] 코인괜히시작2005 18/01/23 2005
115176 [질문] 퇴직연금 운용수수료 비교 사이트 없을까요? [2] Red Key2342 18/01/23 2342
115175 [질문] 서울에서 렌트카업체 어디가좋은가요? [5] 만년실버2152 18/01/23 2152
115174 [질문] 세무질문)공통매입세액 안분계산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3] 나이스2308 18/01/23 2308
115173 [질문] 아버지 선물용 액션캠 추천부탁드립니다 [1] peongun1287 18/01/23 1287
115172 [질문] 오피스텔이나 원룸 구하는 요령 조언 부탁드려요 [10] 엄청난닉네임2854 18/01/23 28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