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22 22:13:53
Name K5
Subject [질문] 저축을 좀 많이 빡빡하게 하는데 조언 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31살 직장인 5년차입니다.

열심히 일 하고 돈 모으고 살고 있습니다.

현재 세후 270만원 정도 받고 있습니다.

고정 지출이 한달에

단기 적금 87만원 (30+30+15+12)
연금 2개 85만원 (50+35)
보험 3개 17만원
계모임 3개 5만원
폰요금 6만원
기름값 25만원
데이트 통장 30만원

255만원이 이렇게 나갑니다.

신용카드는 쓰지 않구요. 기름 넣을때만 신용카드 쓰고 나머진 다 체크카드만 씁니다.

월급 오를때 마다 조금씩 적금이나 여러가지 등등 올리면서

현재 약 7500만원 정도 모았습니다.

2015년에 회사 1년 그만두고 캐나다 가서 2500만원 가량 쓰고 왔습니다.

집에서 다녀서 따로 생활비로 드는 비용은 없습니다.

부모님이 집에 있을때 돈 많이 모으라고 생활비 내지마라고 하십니다.

한달에 한두번 가족 외식 할때 제가 사곤 합니다.

고정으로 다 나가고 나면 한 20만원 안되는 돈이 제 수중에 남네요.

제 비상금 통장엔 항상 150만원 가량 남겨둡니다.

부수입이 조금씩 생길때마다 안쓰고 차곡 차곡 모아서

100~250까지 항상 현금을 들고 다닙니다.

자동차세나 보험 휴대폰 구매 여자친구 생일 선물 등등 목돈 나갈때 쓰는 통장이구요.

보통 데이트비 포함 한달에 약 5~60 썼는데

저번달부터 데이트 통장 만들어서 30씩 넣는데 넣고 나니 제 숨통이 막히는 느낌이 좀 드네요.

올해나 내년안엔 지금 여자친구와 결혼 할 생각입니다.

저축을 좀 줄이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이대로 빡빡하게 살다 결혼 하는게 나을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1/22 22:16
수정 아이콘
결혼계획이시면... 조금 더 (기간) 빡빡하게 살다가 결혼하고 좀 줄이시지요,,,
뽕뽕이
18/01/22 22:21
수정 아이콘
모을수 있을때 모으세요.
결혼하고나면 돈쓸데 많아지고 2세 생기면 더 많아집니다.
작은마음
18/01/22 22:22
수정 아이콘
결혼 계획이시면 더 빡빡하게 하셔도 되요 ㅠ
결혼이란게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드는 행사이기도 하지만
여유가 된다면 비자금을 어느정도 마련해두는 것도 좋습니다.
La La Land
18/01/22 22:29
수정 아이콘
대단하시다고 봅니다
작별의온도
18/01/22 22:34
수정 아이콘
모으시는 건 잘 하시는 건데 연금비중이 조금 높은 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내딸채연이
18/01/22 22:41
수정 아이콘
대단하다고 생각하는데 연금비중이 매우 높은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저도..
18/01/22 22:47
수정 아이콘
이글보고..열심히모아야겠다는 생각드네요..ㅠㅠ
제소비패턴 반성합니다.
곰남이
18/01/22 22:58
수정 아이콘
저랑비슷하시네요. 저도 영수증 듣고나서 적금 펀드 14개정도 들었는데... 윗분들 말씀처럼 연금비중이 많이 높은것 같은데 이유가 있어서 비중을 높인건가요?
박진호
18/01/22 22:59
수정 아이콘
보험도 자동차 보험 빼고 30대가 벌써부터 가입할만한 보험이 있을까요.
저는 연금 보험 다 없습니다.
18/01/22 22:59
수정 아이콘
대단합니닷!!!
neogeese
18/01/22 23: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단하시네요.
그런데 개인적인 생각인데 아직 결혼도 안하셨는데 연금 비중이 너무 높은거 아닌가 싶습니다. 젊을때 연금 꾸준히 해두는게 좋다는 생각이긴 하지만
월급에 비해 좀 과한거 같습니다. 현재 아니가 노후 보다는 결혼을 대비 하셔야 되니 적금 비중을 더 높이시는게... 절반 정도만 하시거나 연말정산 이득 볼 정도로만 하시는게 어떠실지...결혼 하시면서 목돈 나가실텐데 벌써 부터 연금에 너무 묶여 있으면 곤란한 상황 생길수도 있습니다.

보험은 자동차 빼고 17만원 이신거죠? 제 기준으로는 좀 많아 보입니다. 딱히 지병이나 큰병 앓으셨던 적 없으면 3~4만원대 실비 보험 하나 정도 추천 합니다.

연금이랑 보험 쪽에서 줄이신 금액을 적금 쪽으로 돌리시거나 펀드 혹은 etf 같은 것 한번 알아 보세요.
18/01/22 23:52
수정 아이콘
연금은 입사하고 뭣도 모르고 꼬임에 넘어가 10년짜리 두개나 가입해서 빼박됐어요ㅜㅜ 지금 7년차 됩니다..
작별의온도
18/01/23 00: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혼일 때 기준 보험은 8~10%, 연금은 15~20%가 보통일 거에요. 그것도 노후보장 목적이라기보다는 세금공제 목적으로만 드는 게 일반적이죠.
회색사과
18/01/23 08:27
수정 아이콘
반성하고 갑니다.
눙눙사마
18/01/23 09:21
수정 아이콘
지금처럼 쭉 하시구요.

위기 상황?에 (30+30+15+12) 중에 한개를 해지하시면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5195 [질문] 부산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쉬군3682 18/01/23 3682
115194 [질문] 갤럭시 노트8 LG 에서 샀는데 SKT 변경 가능한가요? [4] MelOng1841 18/01/23 1841
115193 [질문] 미니빔 질문 드립니다. (PH-550 vs 벤큐 gs1) [2] 누림 다복3984 18/01/23 3984
115192 [질문] 연말정산 추가질문입니다. [8] StarLoL사랑1646 18/01/23 1646
115191 [질문] 좌표값을 가지고 그래프를 뽑아주는 프로그램 있나요? [4] 성세현1916 18/01/23 1916
115190 [질문] 커피 한잔에 원두가 보통 몇g 들어가나요??? [12] 삭제됨15683 18/01/23 15683
115189 [질문] 연말정산에서.. [5] StarLoL사랑2050 18/01/23 2050
115188 [질문] 롤 프레임 방어가 안됩니다.. [10] 이태양7514 18/01/23 7514
115187 [질문] 새 집 이사 질문입니다. [13] 계란말이2436 18/01/23 2436
115186 [질문] 회식 불참하는 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58] 삭제됨7337 18/01/23 7337
115185 [질문] 애플 헤드폰(비트)나 블루투스 헤드폰 쓰시는분 계신가요? [4] Chandler2106 18/01/23 2106
115184 [질문] 예비 신부가 본인보다 연봉이 많은 경우 오픈을 어떻게 할까요 [59] 수지7228 18/01/23 7228
115183 [질문] 몬스터 헌터에 발도술을 쓰는 무기가 있나요? [14] 불같은 강속구5951 18/01/23 5951
115182 [질문] 중고차 대출 구입 연말정산 가능한가요? [1] 루시드레인2473 18/01/23 2473
115181 [질문] [카톡] 보이스톡 궁금 [1] 비둘기야 먹쟈2734 18/01/23 2734
115180 [질문] 연말정산질문드립니다. 오버액션토끼1161 18/01/23 1161
115178 [질문] 그래픽카드 다운그레이드 질문입니다. 회전목마1711 18/01/23 1711
115177 [질문] 퇴직연금 or 연금 추천 부탁 드립니다. [7] 코인괜히시작2005 18/01/23 2005
115176 [질문] 퇴직연금 운용수수료 비교 사이트 없을까요? [2] Red Key2342 18/01/23 2342
115175 [질문] 서울에서 렌트카업체 어디가좋은가요? [5] 만년실버2152 18/01/23 2152
115174 [질문] 세무질문)공통매입세액 안분계산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3] 나이스2308 18/01/23 2308
115173 [질문] 아버지 선물용 액션캠 추천부탁드립니다 [1] peongun1287 18/01/23 1287
115172 [질문] 오피스텔이나 원룸 구하는 요령 조언 부탁드려요 [10] 엄청난닉네임2854 18/01/23 28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