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14 13:53:52
Name nexon
Subject [질문] 보고서 작성시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시는지요...?

안녕하세요...

업무를 하다보면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그때 보고서 작성 방법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예컨대 10.10일 아침 상급자가 담당자에게 10.20일까지 A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토록 한 경우

담당자는 지시대로 20일까지 보고서를 제출할 것이고

상급자는 이곳저곳 수정을 지시하여 수정과 재수정을 반복한 뒤 확정될 텐데요

많은 경우 상급자는 담당자가 딱 20일에 제출하기보다 미리 제출하기를 원하고, 특히 미리 그 방향에 대해 수시로 보고/협의를 해서 20일 이후에 처음 수정에 들어가는 일이 없기를 바라게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직접 자료를 작성해야 하는 담당자로서는 미리 제출해봤자 어차피 온갖 수정을 해야 하고, 특히 적당히 작성하면 내용이 부실하다고 지적받고, 많이 작성하면 그만큼 작성시간이 많이 필요해 제출이 늦어질 수밖에 없는 딜레마에 빠지게 될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애초에 상급자가 10.10일 아침에 A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토록 지시하면서 그 개요, 방향, 내용에 대해 정확하게 지시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기는 게 아닐까 하는데요

애초에 보고서의 구조와 항목에 대해 명확히 지시했다면 당연히 그에 따라 담당자도 빠르고 정확히 작성할 수 있을 텐데,

상급자 자신도 별 생각이 없고 깊이 있게 고민하지도 않은 채 대충 A에 대해 작성하라는 식으로 지시하기 때문에 담당자는 애매한 상태에서 불투명하게 포괄적으로 보고서를 작성할 수밖에 없고

그만큼 작성 자체에도 시간과 노력이 많이 투입될 뿐 아니라 그것을 다시 수정하고 재수정하면서 온갖 비효율이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되어서요..


특히 미리 중간에 보고하고 방향에 대해 지침을 구해도 말로 하지 말고 일단 뭐라도 작성해 오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제일 중요한 초안설계를 제일 지식/경험 많은 사람(상급자)이 직접 하지 않는다는 문제점과, 담당자는 어차피 어떻게 수정될지 모를 보고서를 만드는 데에 시간과 노력을 들어야 한다는 비효율에 봉착하게 될 것 같습니다..


주진형이라는 분은 한국 직장문화의 문제점 중 하나로 상급자들이 도무지 자기 손으로 보고서를 작성하지 않는 점을 들었는데( http://ageoftransformation.blogspot.kr/2016/02/blog-post_99.html )

보통 보고서를 작성할 때는 어떤 식으로 작성하고 내용구성이나 일정관리는 어떻게 하시는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배고픈유학생
18/01/14 13:5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중간보고가 중요한 것 아닐까요?
최종병기캐리어
18/01/14 14:08
수정 아이콘
10.10 지시받음
10.11 (지시 익일) 타이틀, 목차 및 보고서 포맷, 보고서 수량, 전체적인 방향을 세워서 1차 보고
10.15 (중간 시점) 각 장의 헤드메세지, 들어갈 자료의 종류, 분석 방법, 전체적인 흐름을 '만든 만큼까지라도' 보고
10.19 (제출일 전날) 작성된 보고서 보고.
10.20 (제출일 당일) 수정할 사항 수정해서 최종 보고

전 최종 납품 전까지 보통 3번 보고합니다. 착수보고, 중간보고, 납품전 보고하는 식으루요.
당신이 지시한 일을 진행하고 있다는 시그널도 주고, 계속 상사를 인벌브시킴으로써 딴 소리 못하게 할 뿐더러, 보고받는 사람의 의중, 방향과 동일하게 보고서를 씀으로써 두번 일을 안하게 되거든요...
18/01/14 14:43
수정 아이콘
상급자가 되어보시면 알겠지만,
상급자라고 처음부터 모든 구조와 항목에 대해서 명확히 지시하기가 어렵습니다.
보고서 작성에 고민과 생각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상급자는 더 많은 카테고리의 범주를 커버해야하기 때문에 그것까지 일일히 다 하긴 무리가 따르죠.
그래서 더 효율적인건 하급자가 가지고 온 초안을 보면서 같이 첨삭해나가는 것입니다.
물론 상급자가 그렇다고 그냥 알아서 해와봐. 라고 하면 문제가 있는거고 대략적인 방향과 틀은 제시해줘야죠.
최종병기캐리어
18/01/14 14:53
수정 아이콘
게다가 디테일하게 상급자가 다 찝어주면 하급자는 그냥 '장표돌이'만 되고 말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4751 [질문] lol 같이 하고싶은데 롤 pgr 채널이 어디인가요? [1] 와이써시리어스1944 18/01/15 1944
114750 [질문] 왜 미국영화는 미국음악보다 전세계적 독점이 압도적일까요? [7] bigname2332 18/01/15 2332
114749 [질문] cj entus 진동 헤드셋 써보신분 혹은 비슷한 헤드폰 추천해주실 분! [2] 안경쓴여자가좋아2708 18/01/15 2708
114748 [질문] 취미 운동 추천 부탁 드려요 (탁구?) [18] RnR7339 18/01/15 7339
114747 [질문] 비트 코인 관련해서 궁금한점 ppyn1719 18/01/15 1719
114746 [질문] [연애질문]애프터 성공후 카톡 [23] StarLoL사랑15023 18/01/15 15023
114745 [질문] 노래 실시간 스트리밍 어디가 괜찮을까요? [9] 김리프2480 18/01/15 2480
114744 [질문] 윈도우10을 uefi로 설치할 저렴한 16gb이상 usb 추천부탁드립니다. mlc만 써야할까요? [4] plane3573 18/01/15 3573
114743 [질문] 하드디스크를 단순 파일 저장용으로만 사용해도 문제시 꺼지나요? [2] 헤헤헤헤2207 18/01/15 2207
114742 [질문] 단편소설을 찾고 있습니다.. [6] 심영1862 18/01/15 1862
114741 [질문] [하스스톤] 덱 운영법좀 알려주세요 [7] 신혜진1767 18/01/15 1767
114740 [질문] 백신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립니다. norrell2381 18/01/15 2381
114739 [질문] 떡집 추천해주실수있나요? [9] 다크템플러3083 18/01/15 3083
114738 [질문] 스팀 배그 지금 핵이 많은가요? [8] 화이트데이3645 18/01/15 3645
114736 [질문] 폰캡처를 포토샵등으로 수정하면 알 수 있나요? [3] 짐승먹이1676 18/01/15 1676
114735 [질문] 피로회복에 좋은 영양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따루라라랑4822 18/01/14 4822
114734 [질문] 자동차 순정 블랙박스는 거의 없던데 왜일까요? [3] 배트맨3657 18/01/14 3657
114733 [질문] 유머게시판에 올라온 영상의 이처자 누구인지 아시는 분 있나요 [4] 정신건강의학2443 18/01/14 2443
114732 [질문] 지니 drm 음악파일 질문드립니다!! 상록수4048 18/01/14 4048
114731 [질문] 연예게시판 동영상이 안보여요.. 희원토끼2112 18/01/14 2112
114730 [질문] "약관 18세" 무슨 뜻인가요? [7] Jecht4171 18/01/14 4171
114728 [질문] 유아카시트 추천해주세요 [4] 건강이제일2168 18/01/14 2168
114727 [질문] 금융 사기 사건 질문드려요. 바카닉테란1566 18/01/14 15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