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06 11:29:43
Name Ciara.
Subject [질문] 홍진호vs김택용 선수의 경기는 정말 "명경기"였나요?
종종 추억에 빠져들려고 홍진호선수의 공군에이스시절  김택용선수와 했던 경기를 보는 사람입니다. 저도 홍진호선수의 오랜만의 승리로 너무기뻤고 긍정적인 엄청난 충격을 받았는데..

한편으로 생각하면 만약 홍진호 선수의 장기간의 부진+명성이라는 스토리가 없었다면 이 경기의 내용은 어찌 평가받았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충분히 좋은 경기를 홍진호선수가 해줬지만
마치 임요환vs도진광 선수의 경기같이 급반전이 있는 수준은 아니니까요. 양산형 경기가 난무하던 시절 오랜만에 보는 3센치드랍과 박경락선수를 보는듯한 공격적인 드랍공격? 그게 엄청나게 회자될정도로 "내용면"에서 박빙or전략적인 경기였나? 하는 생각이들더라구요

여러분은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공법
18/01/06 11: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경기내용으로만 치면 그냥 김택용선수의 실수연발이었죠
그러나 제 생각은 종합적으로? 2년만에 승리하는 홍진호의 스토리나 그것도 김택용을 나름 압도적으로 이겼다는걸로는 임요환 도진광보다 더 충격적이었습니다
닉네임세탁기
18/01/06 11:37
수정 아이콘
명경기의 기준에 따라 다르곘지만
경기 중에 실수 없이 치고받는 경기를 명경기라 보면 명경기가 아닐수도 있지만

날씨, 외적인분위기(예상승률 김택용>>>>>>>홍진호), 뒷길 페이크 후 홍진호 스타일의 드랍(걸렸지만),
2리버가 확보되었음에도 뚝심으로 드랍, 급 뮤탈전환 등
제 기준에서는 명경기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전 임요환 도진광 경기가 명경기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주의입니다.

본인이 재밌으면 명경기 아니겠습니까!
지구특공대
18/01/06 11:46
수정 아이콘
명경기는 아니긴 하죠. 당시 김택용이 도저히 홍진호한테 질 수준이 아니었으니...
외적인 요소가 더 큰 경기였다고 생각합니다.
스카야
18/01/06 11:51
수정 아이콘
이름 가렸으면 C급토스였습니다..
3센티드랍을 알고 당했고 컨트롤만 하면 막는 상황에 리버를 조공했죠. 하지만 그런 컨디션이 아니라면 콩이 어떻게 택을 이겼겠습니까 크크
모나크모나크
18/01/06 12:02
수정 아이콘
원래 명경기에는 실수가 양념으로 들어가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18/01/06 12:15
수정 아이콘
다죽어간다고 한물갔다고 평가받던 홍진호가, 당대 최강이자 저그전 최강자 김택용을 상태로 본인 스타일로 몰아치면서 승리하는 모습이 감동적이었던거지,
경기 자체는 그냥 그렇다고 봅니다. 김택용 팬이었다면 졸전이라고 봐야겠죠.
강미나
18/01/06 12:17
수정 아이콘
사실 급반전이 있는 경기야말로 객관적으로 명경기가 되기 힘든 게 한쪽의 실수나 꼬라박이 있을수밖에 없어서.... 임요환 vs 도진광이 그랬죠.
영어선생후니
18/01/06 12:35
수정 아이콘
애초에 명경기의 기준이 없는데요...무의미하죠 그래서
멀면 벙커링
18/01/06 12:37
수정 아이콘
당시 T1 팬으로서 속터지는 경기였습니다;;;
미나리돌돌
18/01/06 13:13
수정 아이콘
명경기였다고 봅니다. 누군가의 실수가 없는 경기가 있나요.
좋은데이
18/01/06 13:56
수정 아이콘
당시엔 평균적인 경기력이 김택용, 이제동 투탑 정도였고, 전년도까진 차기본좌라는 이야기도 돌던 김택용이었는데요.
05 이후로 실질적인 없던 홍진호와 비교하면 경기력차이가 매우 심했죠.
김택용이 그경기에서 읭? 스러운 판단을 몇번하긴했으나 그렇게 해도 당시 홍진호 경기력과 얼추 비슷했을거에요.
거기에 홍진호 준비성이 플러스요인으로 작용해 홍진호가 이긴 느낌..?
손금불산입
18/01/06 14:25
수정 아이콘
명경기의 기준이 극에 달한 경기력 대 극에 달한 경기력이라면 그건 아니긴 하죠. 다만 그런것만이 명경기는 아니고, 해당 경기의 경기력 또한 OMG 수준은 아니라고 봅니다. 저그가 잘했죠.
살다보니별일이
18/01/06 15:48
수정 아이콘
글쓴분 말에 동의합니다. 경기력이 환상적이어서 명경기라고 불리는 경기는 아니긴하죠. 근데 그 기준으로 적용하면스타판 수많은 명경기들 리스트 싹 바뀔겁니다...네임밸류, 기대치, 당시 시대상 등등 요소가 다 양념된게 명경기이고 심지어 개중에는 '명장면 몇개' 가 있다고 해서 명경기라고 화자되는 경우도 있을거고요.

네임밸류 / 기대치 / 당시 종족상황 / 경기무대 / 스코어 상황 등등 이런거 다 빼고 경기 시작부터 끝까지 정말 양쪽의 높은수준의 경기력으로 치열하게 끝난 경기는 정말 몇개 없을겁니다.
18/01/06 15:50
수정 아이콘
사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명경기라 칭해지는 경기 중 많은 경기가 OME죠. 도저히 뒤집힐 수 없는 상황에서 갑자기 실수 연발하면서 뒤집어지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코돈빈
18/01/06 16: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는 쪽도 상당히 잘했지만 이기는 쪽이 상식을 벗어난 레벨이라서 역전을 하는 경기력에 의한 명경기기도 있고 (빅파일 이영호 정명훈 5판3선 같은거...)

반대로 게임 내/외적으로 흥미로운 요소들이 얽혀서 명경기가 되는 경우도 있죠. 홍진호vs김택용은 게임 외적인 스토리(폭풍날씨, gg나온게 2시 22분 쯔음, 홍진호 오랜만에 승리)들이 재미를 이끌어낸 명경기구요. 벤치멤버vs벤치멤버 였으면 그냥 '쇼부게임' 4글자로 정리되는 게임이긴 하죠...
오클랜드에이스
18/01/06 16:47
수정 아이콘
명경기냐고 하면 선뜻 답은 할수없지만

골수 스덕으로서 감동적인 경기냐 하면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레몬커피
18/01/06 17:21
수정 아이콘
'명경기'가 반드시 '수준높은 경기'는 아닙니다 어느 스포츠던간에...
수준높은 경기도 명경기라고 부르지만 경기 수준이 높지 않아도 흔히 보기 힘들고 외적 스토리가 잘 맞아떨어지는경기도 충분히 명경기죠
명경기라는 카테고리 안에 수준높은 경기도 포함되어있다 정도라고 생각하네요. 롤 3억제기 역전승같은것만봐도 냉정하게 보면 3억제기
먼저깨고 진쪽이 천하의 바보멍청이죠. 팬들 입장에서야 1년에 몇번 안나오는 엄청난 역전극, 명경기지만 진 팀 코치진입장이되어보면......
카바라스
18/01/06 17:39
수정 아이콘
원래 ome와 명경기는 한끗차이죠 합이 맞아야 하니까.. 이영호가 상대들 손발 꽁꽁 묶으며 압살하는 경기가 더 수준높은 경기일수 있지만 명경기라고 보는 사람은 많지않잖아요. 오히려 이영호도 실수하면서 치열하게 비벼지는 경기가 명경기라고 불리죠
18/01/06 17:44
수정 아이콘
명경기라는건 주로 감동코드와 닿아있지 않나 싶습니다
meramipop
18/01/06 18:28
수정 아이콘
3.3혁명도 뭐.. 비슷하죠
마재x이 그렇게 얼타다가 질 줄은 아무도 몰랐지만 그게 명경기가 아니었다고 할 순 없으니
독수리의습격
18/01/06 18:41
수정 아이콘
명경기의 기준이 각자가 실력을 100% 발휘해서 숨막힐정도로 호각세로 싸우다가 승부가 갈린 후 정말 진쪽도 이긴쪽도 후회가 안 남는 경기였다라고 한다면 당연히 명경기는 아니죠. 그 경기가 수준이 높았다고 보기엔 실수 좀 덜 한 홍진호가 이긴 수준이라......

그와 별개로 보는 사람이 감동적인 경기였다라고 하면 맞다고 봅니다.
라라 안티포바
18/01/06 19:02
수정 아이콘
OME+OME=명경기라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닙니다.
바둑에서도 해설자들이 흔히 그런말들 합니다. 명국은 패자의 패착수를 찾기 힘들 정도로 승부호흡이 맞아가는 경우인데,
시청자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서로 실수를 연발하며 판도가 급변하는 대국보다는 재미 측면에서 떨어질 수 있다고 말이죠.
18/01/06 19:10
수정 아이콘
모두 감사합니다! "제 기준"에서의 명경기는 고수간의 높은 경기력의 치열한 싸움같은 내용이 꽉 찬 그런 경기라고 생각했어요!
남광주보라
18/01/06 19:28
수정 아이콘
(서사) 이 부분이 컸죠. 퇴물 놀림감받던 군인 콩과. . 당시 최강 토스, 역대 최강 저그전에 케스파 2위의 택신의 대결. . 그 누구도 콩이 이기리라 생각 못했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4369 [질문] 미 대선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2] 방청객1447 18/01/07 1447
114368 [질문] 서울에서 맛있는 마라샹궈가 먹고싶습니다!! [12] 아줌마너무좋아3907 18/01/07 3907
114367 [질문] 이런 영상장비를 뭐라고 부르나요? [1] 법규2064 18/01/07 2064
114366 [질문] 보충제 질문 올립니다. [2] 회색사과1655 18/01/07 1655
114365 [질문] 저려미 rc카 4.8v 충전지 질문입니다. [2] Red Key2532 18/01/07 2532
114364 [질문] 현시점에서 안철수 대표가 지방선거나 총선에 출마한다면? [9] Bettersuweet2866 18/01/07 2866
114363 [질문] 스팀겜 추천좀 해주세요... [10] 파이어군2494 18/01/07 2494
114362 [질문] 사설토토 문자 많이 받으시나요?? [36] 현직백수15480 18/01/07 15480
114361 [질문] 제가 생각한 비트코인의 태생적 단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3] Volume3067 18/01/07 3067
114360 [질문] 비트코인 재정거래 질문: 신용카드로 구매후 송금 [4] 지바고5260 18/01/07 5260
114359 [질문] 컴퓨터 소리 질문 드립니다. [2] 내딸채연이1399 18/01/07 1399
114358 [질문] 암호화폐 재정거래에 대한 질문? [9] 올포유2725 18/01/07 2725
114357 [질문] 네이버 아이디 3개이상 만들수도 있나요? [2] 삭제됨3451 18/01/07 3451
114356 [질문] 홈 오피스 세팅 김보성1384 18/01/07 1384
114355 [질문] 컴퓨터 견적을 냈는데 봐주세요.. [9] 본좌2266 18/01/07 2266
114354 [질문] 가상화폐 일<->한 거래 질문 입니다. [3] 동쪽큰숲2437 18/01/07 2437
114353 [질문] 가상화폐 가이드 같은 글 있나요? [1] Liverpool FC2256 18/01/07 2256
114352 [질문] 아이튠즈 사용법 질문입니다... [2] Philologist1381 18/01/07 1381
114351 [질문] 교통사고 질문입니다. [1] 누에고치1235 18/01/07 1235
114350 [질문] 나혼자 산다를 본다면 [3] GLtheSKY2071 18/01/07 2071
114349 [질문] 노트5 배터리가 광탈합니다 [5] 리나시타1907 18/01/07 1907
114348 [질문] 감성주점을 처음 왔습니다.. [7] 삭제됨3465 18/01/07 3465
114347 [질문] 컴터에서 타는 냄새가 납니다 ㅜㅜ [4] 유소필위1519 18/01/07 15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