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25 14:40:59
Name occla
Subject [질문] 탄저균 백신이 치료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건가요?
백신에 대해 제가 알고있는 사항은 감염 예방 방법이지

백신으로 치료를 한다는 이야기는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이번에 청와대가 구입했다는 백신을 가지고 대변인이 치료목적으로 구매했다는 이야기가

선뜻 이해가 가질 않네요

백신이 치료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지 또는 대변인이 잘못 알고 이야기를 했는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25 14:43
수정 아이콘
잘못말한거 아닐까요?
3.141592
17/12/25 14: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www.aetna.com/cpb/medical/data/400_499/0483.html

ACIP는 Bacillus anthracis 포자에 대한 에어로졸 노출 후에 Bacillus anthracis 에 대한 노출 후 예방을 권장 합니다. 그러한 노출은 실험실 환경이나 생물학적 테러리스트 사고에서 부주의 한 노출 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량의 Bacillus anthracis를 다루는 실험실 외부의 환경에서는 에어로졸에 노출 될 가능성이 낮다., 심하게 오염 된 동물성 제품을 취급하는 직물 공장 또는 생물학적 테러 또는 전쟁 공격을당한 경우. 가축 중 자연적으로 탄저균이 발생하면 인체간에 피부 및 희귀 한 위장 노출이 가능하지만 흡입 탄저는보고되지 않았다. 에어로졸에 노출 된 후 포자가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ACIP는 에어로졸 화 된 B. anthracis 포자에 노출 된 후 이전에 미 접종자를 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3 회 탄저병 백신과 함께 60 일간의 항균 예방법을 권장 합니다. Bacillus anthracis 의 가능한 항생제 내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생물학적 테러 공격에 사용되는 ACIP 가이드 라인에 따르면 독성 물질 감수성이 확인 될 때까지 독시 사이 클라인이나 시프 로플록사신을 항생제 화학 예방 접종을 위해 처음 선택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가이드 라인은 일단 항생제 감수성이 알려지면 항생제 화학 예방 접종을 페니실린 VK 또는 아목시실린으로 전환 할 수 있으며 구강 치료법으로 얻을 수있는 최소 억제 농도 (MIC)로 페니실린 감수성이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단축 된 백신 요법은 항생제를 포함한 노출 후 요법에서 사용될 때 효과적 이었지만 예방 접종으로부터의 보호 기간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후의 노출이 발생하면 추가 예방 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충 요약+제 지식을 더하면 탄저균 흡입 이후 바로 체내에서 증식하여 증상이 발현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백신이 효과가 있는 모양이군요. 원 링크는 보험회사의 설명일 뿐이지만 ACIP(미국 예방접종 자문위원회)의 가이드라인이 출처로 명시되었기 때문에 대충 신빙성은 있습니다.
17/12/25 14:5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토니토니쵸파
17/12/25 14:53
수정 아이콘
PEP(post exposure prophylaxis) 라고 노출 후 예방법이란 것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광견병 백신이 있습니다.
17/12/25 14:57
수정 아이콘
치료는 아니지만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 이해하면 되나요?
토니토니쵸파
17/12/25 15:04
수정 아이콘
http://www.pnas.org/content/103/20/7813.short

청와대의 설명은 이 논문의 내용을 인용한 듯합니다.
[항생제 단독사용][항생제+노출후 백신사용]을 비교해봤을 때 항생제+노출 후 백신의 생존률이 훨씬 높았습니다.
어떻게 보면 치료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3801 [질문] 영화용 헤드셋? 헤드폰? 추천해주세요!!! [7] This-Plus5342 17/12/25 5342
113800 [질문] 하드디스크 시스템검사가 안 되는 이유가 있을지요...? [2] nexon1905 17/12/25 1905
113799 [질문] 능력부족으로 인한 퇴직고민 [21] Da.Punk7284 17/12/25 7284
113798 [질문] 드럼 vs 통돌이 [2] 루엘령2628 17/12/25 2628
113797 [질문] [해외야구] 마이너리그 거부권 행사가 그 행사한 본인한테 장기적으로 독이 되는 이유가 뭔가요?? [12] 잘가라장동건2649 17/12/25 2649
113796 [질문] 비디오대여점 냄새의 정체는 뭘까요? [6] 산수탕4027 17/12/25 4027
113795 [질문] 왜 외국에서 이름날리는 케이팝가수들은 아이돌 댄스그룹들밖에 없을까요? [19] bigname3378 17/12/25 3378
113794 [질문] [질문] 노트북 추천 요청 드립니다!(No 게임) [10] 니콜라스게이지업2167 17/12/25 2167
113793 [질문] 배그에 나오는 지역명칭 어느나라말인가요? [4] Mindow2884 17/12/25 2884
113792 [질문] 본인에게 줄 선물로 어떤게 좋을까요?(게임관련) [4] 북극2467 17/12/25 2467
113790 [질문] [배구] 스파이크 할 때 정확히 손의 어느 부위에 공을 맞춰야 하나요? [1] 신공표6832 17/12/25 6832
113789 [질문] 이수영 vs 아이유 글 보고 든 궁금증 [6] 우울한구름2746 17/12/25 2746
113788 [질문] 무선 키보드 마우스 뭐가 좋을까요? [1] 카미트리아2756 17/12/25 2756
113787 [질문] 스마트폰 잠금해제 횟수 초과에 대한 질문입니다. [2] USER013257 17/12/25 3257
113786 [질문] 피아노 약음 페달 밟고 쳐도 아랫집에 소음 가겠죠? [2] 시나브로3994 17/12/25 3994
113784 [질문] 철권을 하기위해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하려합니다. [9] Frostbite.2061 17/12/25 2061
113783 비밀글입니다 삭제됨4904 17/12/25 4904
113782 [질문] 스타 리플레이 화면조정 질문드립니다 Almighty3072 17/12/25 3072
113781 [질문] 블레이드 앤 소울 관련 질문입니다 [3] 자판기냉커피1729 17/12/25 1729
113780 [질문] 티브이 관련 질문입니다. 미도리1410 17/12/25 1410
113779 [질문] 스타1 3:3 최고의 조합은.. [14] 게닛츠3242 17/12/25 3242
113778 [질문] [조립컴퓨터] 이륙허가 부탁드립니다. [6] Le_Ciel2850 17/12/25 2850
113777 [질문] [카메라] 카메라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목욕탕은사계절1903 17/12/25 19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