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1/27 12:28:13
Name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
Subject [질문] 돌발성 난청 진단을 받았습니다.
현재 나이는 26세이며 어제 귀에서 갑자기 이명소리가 들린지 약 12시간쯤 지나 병원에 갔습니다.

보니까 청력을 회복 할 가능성은 약 40퍼센트정도고 대부분 잃는다고 하더군요.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한다는데 궁금한 점이  스테로이드를 받아도 몸에 변화가 없는지..

그리고 스테로이드의 경우 살이 급격히 찐다는데 괜찮은지요?

혹 치료효과를 올리기 위해 어떤 걸 해야 효과적인지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까만 눈동자를
17/11/27 13:05
수정 아이콘
이명은 크게 치료법이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또한 이명으로 한달여간 입원하면서 치료를 해봤는데

왼쪽은 거의 상실했네요. 사는데 크게 지장은 없습니다.

하지만 불편하네요 꼭 완쾌되시길 바랍니다.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
17/11/27 13:34
수정 아이콘
이명과 돌발성 난청은 같은 병인가요?

청력을 잃는다니 너무 부담스럽네요..
17/11/27 15:43
수정 아이콘
돌발성 난청 빨리 치료받으면 회복 가능성이 40퍼센트밖에 안 되나요? 더 높은 걸로 압니다. 조금의 청력저하야 있겠지만 회복할 확률이 50보다는 높을 거예요.
이명과 난청은 같은 병이 아니고, 대강 얘기하면 이명에 이르기 위한 여러 가지 수치가 있는 거 같은데(이명은 현대과학에서도 아직 잘 모르는 병) 개중에서도 가장 큰 요인을 차지하는 게 청력저하입니다. 안 들리면 안 들릴수록 이명이 날 확률이 높은데 그렇다고 귀 안들리는 사람 전부 이명 오는 거 아니거든요.
아무튼 스트레스도 큰 요인이기 때문에 밑에 댓글처럼 부정적 생각 안 하시려고 최대한 노력하시는 게 좋아요. 억지로라도 좋은 생각하는 게 걱정하는 것보다 효과 있습니다.
17/11/27 13:28
수정 아이콘
보통 고막내주사 국소적 치료를 할테고, 양이 많지 않으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치료가능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사실 이미 일어난 증상이 더 중요하며 (어지럼증 및 구토 없음, 24시간 이내 치료시작, 초기 청력 저하정도 등), 향후 효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너무나 당연한 말이지만, 의사 말을 잘 들으면 됩니다. 스트레스를 받지 말고, 규칙적이고 건강한 식사와 약 복용, 꾸준한 치료 등을 의사가 이야기해 줄겁니다.
하루이틀내에 효과가 없다고 여기저기 다니지만 마세요. 애초에 대부분이 스트레스로 통칭되는 원인 불명의 질환입니다.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
17/11/27 13:3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스테로이드 복용시 살이 급격히 찐다는데 모두 그런가요?
17/11/27 13:44
수정 아이콘
쉽게 말해 약 부작용으로 그런건데, 모두 그렇다고 하기는 힘듭니다. 케바케죠.
그리고 그러한 부작용을 모두 생각한 것보다 치료효과가 뛰어나니까 치료제로 쓰는것인데, 글쓴분은 부작용부터 걱정하고 있네요.
병의 치료보다 더 중요한게 아니라면 그런 생각은 사실 여부에 관계없이 우선 접어두고 치료에 집중하세요. 그런 생각까지도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치료효과를 낮출수 있습니다.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
17/11/27 15:08
수정 아이콘
정말 감사드립니다. 답변이 정말 도움이 됐어요!!!!
인생국수
17/11/27 16:49
수정 아이콘
돌발성 난청에서 악화돼 메니에르 환자로 8년 째 지내는 1인입니다...ㅠ

윗분이 말씀해주신대로 이명은 치료가 없습니다. 그냥 익숙해져야 하구요.

염분이 많이 들어간 음식이나 카페인, 술 등은 자제해주시고 소음이 큰 장소는 되도록이면 피해주세요.
혈액순환이 잘되게 운동도 정기적으로 해주시면 좋아요. 곧 겨울인데 추울수록 귀에 안좋더라구요.

스테로이드 부작용 같은 경우 얼굴이 띵띵 붓고 팔 다리 근력이 떨어지는 경험을 하긴 했습니다. 이건 시간이 지나면 다시 정상으로 회복되구요.
대신 스테로이드 같은 경우 복용하다가 갑자기 끊어버리면 안되고 점점 줄어나가면서 몸이 적응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것만 주의하면 괜찮습니다.

돌발성 난청의 경우 바로 병원을 찾아가는게 제일 큰 치료법입니다.
저 같은 경우 올해 초에 청력이 많이 떨어져서 입원치료했었는데요. 고막주사와 스테로이드 약 복용으로 호전됐습니다.
정상인들에 비하면 많이 낮긴하지만요.

스트레스 절대 받지마세요. 스트레스받으면 더 심해져요.
저 같은 경우 시력이 안좋아서 안경끼는 사람들이 많은 것처럼 청력이 안좋아지면 보청기 껴야 겠다 라는 생각 가지면서 마음 놓고 살고 있습니다.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님 같은 경우는 발병된지 얼마 안됐으지 식습관 관리랑 약 복용만 꾸준히 해줘도 금방 회복될겁니다!! 부럽네요! 힘내세요!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
17/12/05 00:54
수정 아이콘
아이고 답변을 이제 봤네요. 돌발성 난청 이후, 청력 회복은 논외로 치고 이명과 귀먹먹함이 남아있는데, 이건 어쩔 수 없이 안고가야하는 부분일까요?

그리고 답변내용 정말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조언들만 담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스테로이드 복용 후 살이 많이 뿔었는데, 빨리 운동하고 싶네요.

그리고 혹 도서관이나 독서실같이 조용한 곳에서 공부해도 지장없을까요?
인생국수
17/12/05 12:04
수정 아이콘
개인마다 다르긴한데 조용한 곳에 있으면 이명이 더 심해지는 것 같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이명을 오래 달고 살아서 조용한 곳에 있어도 그러려니 하고 넘기는데 초기에는 약간의 소음, 즉 지속적으로 이명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소리가 들리는 곳에 있는게 나을 겁니다.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귀 먹먹함은 정말 불편하죠. 이명보다도 귀가 먹먹한게 제일 힘들었습니다.
수년동안 이명과 청력이 왔다갔다 하며 불편하게 살아왔지만 그 중 가장 힘들었던건 귀 먹먹함이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수면부족, 피로증가, 감기몸살 등에 원인이 발생하면 바로 귀가 먹먹해지더라구요.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님도 시간이 지나면 먹먹한 증상이 완화되겠지만 재발할 가능성도 있으니 언제 어떤 원인에 의해 증상이 악화되는지 파악해두면 대처할 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힘내세요!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
17/12/07 22:25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ㅠ 귀 먹먹함 정말 불편해요.. 이명도 그렇고..

정말 조언 감사드립니다~~~ 이명은 나아질 일은 없다고 봐야게꾼요 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2545 [질문] 초성 해석해주세요 [15] Emperor2650 17/11/29 2650
112544 [질문] [스팀] 게임 추천 관련... [14] 재입대3080 17/11/29 3080
112543 [질문] [섀버] 로얄덱 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워크초짜1493 17/11/29 1493
112542 [질문] 우리나라에선 흡연자의 권리가 없나요? [98] 푸끆이5760 17/11/29 5760
112541 [질문] 스트리트파이터 5플레이용 컴퓨터 사양 [6] 모나크모나크4792 17/11/28 4792
112540 [질문] 문명5를 스팀에서 세일하길래 사려하는데 질문 드립니다 [11] Mindow6768 17/11/28 6768
112539 [질문] AutoCAD, 어떤 버젼이 가볍고 좋나요? [1] 신공표2077 17/11/28 2077
112538 [질문] 빗코 하드포크시 1비트 이하 [3] 삭제됨2774 17/11/28 2774
112537 [질문] 초등학교 1학년 아들과 할수있는 게임기 [7] 주빗4268 17/11/28 4268
112536 [질문] [하스스톤]하린이 친선퀘 받아주실 분 계신가요? [4] 하리네2821 17/11/28 2821
112535 [질문] 아버지께서 영어공부를 하고 싶어하십니다. [8] 자유형다람쥐3146 17/11/28 3146
112534 [질문] 두터운 팬층의 신인/중견 유튜버 추천해주세용! [11] Runway3224 17/11/28 3224
112533 [질문] 성장기에 학대받으며 자란사람에게 추천해줄만한 책이 있을까요? [9] 송탄쾌남2892 17/11/28 2892
112532 [질문] 블루투스 연결이 이상해요 [1] RookieKid1882 17/11/28 1882
112530 [질문] 오늘 출시한 테라m 하시는분 있으신가요? [8] 포이리에2531 17/11/28 2531
112529 [질문] 아이폰x 사용중인 분들 있나요? [8] LG의심장박용택3461 17/11/28 3461
112528 [질문] 이직으로 인한 퇴사 경험있으신분들 질문드려요. [22] Lancer5110 17/11/28 5110
112527 [질문] 사람들이 알뜰폰을 안쓰는 이유? [22] 그 닉네임7434 17/11/28 7434
112526 [질문] 재밌는 전쟁(군대)영화 추천부탁드립니다 [18] 레몬커피2677 17/11/28 2677
112525 [질문] 게이밍 체어/사무용 의자 추천 부탁드립니다 [9] 루트에리노4063 17/11/28 4063
112524 [질문] 군화신고 여행가면 막장일까요 [17] lou4976 17/11/28 4976
112523 [질문] 컴퓨터가 사망하기 직전입니다. [17] 나나시코3914 17/11/28 3914
112522 [질문] 페르소나5는 나중에 [1] hk11611602 17/11/28 16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