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1/14 09:03:52
Name 랑비
Subject [질문] 맞벌이 부부... 전세대출 어떻게 해야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결혼을 앞두고 전세대출을 받아야 하는 예비신혼부부입니다.

정부 지원이 되는 제도들을 알아보니,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라고 있던데 연소득 합산 5천 이하라서 해당되기 어렵네요.

그 외에 매매 지원도 다 부부합산 소득에 걸리더군요.

이런 경우 우대받을수 있는 제도가 딱히 없나요?

그리고 만약에 은행에서 일반적인 전세자금대출을 받는다면, 이자율이 얼마나 될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

은행가기가 좀 쉽지 않아서... 인터넷으로 알 수 있는 경로라도 있을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14 09:10
수정 아이콘
올해 4월에 전세 얻으면서 피지알에 도움을 많이 구했었던 기억이 있네요.
전세자금은 은행마다 맞춤 상품이 많으니 상담 받으시는게 가장 빠릅니다.
제가할때 이율은 2%후반에서 3% 중반대가 가장 많았습니다.

참고로 저도 피지알에 질문하면서 알게된건데요, 부동산 마다 큰 은행에서 [상담사]들이 명함이나 팜플렛을 갖다놓은게 있습니다.
정식으로 인가 받은 은행소속 대출상담사분들이라서 전화나 대면으로 상담 가능합니다.

은행은 마지막 대출때 딱 한번만 가도 되도록 맞춰서 잘 해주시더군요.
저도 은행 상담사 통해서 대출완료했습니다 ^^*
17/11/14 09:4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이율같은것도 계산해주시나요?
방금 국민은행 대출상담 대표번호로 전화해서 상담받아보니 기준 얼마에 최대우대 얼마인데 님이 얼마일지는 지점방문 해야된다고 딱잘라 끊던데...
17/11/14 09:54
수정 아이콘
계산해줍니다.
부동산 가셔서 은행 대출상담 팜플렛이나 명함에 있는 번호로 전화하시면 됩니다.
이게 별도로 직군이 있는거 같더라구요.
저도 은행이 아니라 부동산을 통해 소개 받은거라...께름칙해서 피지알에 질문했었습니다.
공식적으로 은행 대출을 상담해주는 건 맞더군요.

어차피 최종 대출은 은행에 내방해서 은행 직원과 하고 그전까지 상담이나 안내만 해주는거라 별 문제 없습니다.
매번 은행 안가도 되는건 매우 편하죠.
17/11/14 09:5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알아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된깨달음
17/11/14 09:11
수정 아이콘
주거래 은행 대출 담당자에게 전화해서 물어 보시는게 제일 좋을 듯합니다.
전세금 담보 대출이 제일 유리할 것 같습니다.
전세금을 담보로 하기 때문에 신용대출보다 이자율이 유리합니다.
그리고 급여를 그 은행으로 받는다는지 신용카드를 만든다든지 등등 이자를 할인해 주는 등등의 조건을 알아 보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제 경험상 같은 00은행이라도 규모가 큰 은행이 이자가 조금이라도 유리하더군요.
카디르나
17/11/14 09:12
수정 아이콘
버팀목이 최고인데 버팀목이 불가능하시다면 그냥 주거래은행 + 1,2군데 은행만 돌면 답 나옵니다. 사실 고만고만해요. 대략 3%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7/11/14 09:20
수정 아이콘
버팀목 전세대출 받고 신혼집 마련한 사람입니다.
저는 부부합산 소득이 6천을 넘겨 부부명의의 버팀목 전세대출은 불가능하더군요.

그래서 제 명의로만 버팀목 전세대출 2.7% 1.2억 받았습니다.
꼭 부부명의로만 할 필요는 없으니 참고하세요~
17/11/14 09:39
수정 아이콘
단독세대주 불가능하다고 되어있어서 그 방법은 포기했는데... 세대원이 있으셨나요?
17/11/14 09:49
수정 아이콘
단독세대주 만드는 거야 쉽습니다.
전세계약자에게 미리 주소지를 옮겨도 되는지 여쭤보고 신고만 하면 돼요.
어차피 들어올 사람인데 집주인도 마다하진 않을 겁니다.
17/11/14 10:00
수정 아이콘
음... 단독세대주 제외라는 항목이 있어서 여쭤본 거였는데 잘 찾아보니 25세 이상은 단독세대주여도 되는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싸구려신사
17/11/14 10:53
수정 아이콘
좀 다른얘기지만 집을 매매 하려고 대출을 알아봤더니 2.6~8퍼 정도 하더군요.
17/11/14 14:49
수정 아이콘
올 9월에 버팀목 아닌 일반전세대출 1억3천 제 명의로 받았습니다. 금리는 2.77%네요.
17/11/14 15:09
수정 아이콘
은행재원전세자금대출 알아 보세요. 버팀목이 안되는 조건이라 처음엔 어쩌나 싶었는데 이율이 훨씬 쌌습니다.;;; 버팀목 3% 나올 때 은행재원 대출 2.42% 나왔습니다. 현재는 기준 금리가 오르고 우대 조건이 바뀌어서 2.62% 나오고요. 주거래 은행으로 가셔서 우대 최대한 받는 조건으로 찾아서 대출 받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17/11/14 16:33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어쨌건 생각했던 것보다 이율이 쌀것같아 마음이 놓이네요 답변해주신분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1889 [질문] 아래아한글에서 이런 기능이 있을까요...? nexon2583 17/11/14 2583
111888 [질문] 통기타 초보 질문입니다.. [16] 희열3698 17/11/14 3698
111887 [질문] i5-4690에 글카를 업글할려고 합니다 [6] Le_Ciel3184 17/11/14 3184
111886 [질문] 아이패드 프로 필기 앱 뭐가 좋을까요? [3] 킹찍탈2731 17/11/14 2731
111885 [질문] 이순신에 의한 처형자가 전사자보다 더 많다는게 사실일까요? [9] 3.1415924223 17/11/14 4223
111884 [질문] 스타일러스 펜의 필압이 많이 중요한가요? [4] 엄청난닉네임4212 17/11/14 4212
111883 [질문] 손톱 바짝 깍았을때 통증 줄이는법 또는 연고 추천부탁드립니다.. [6] 문지기문지기문열3906 17/11/14 3906
111882 [질문] 백수 질문입니다. (중소/중견 기업인턴은 어떻게 구하는 건가요?) [2] 삭제됨3482 17/11/14 3482
111881 [질문] 선크림 바르시나요? [8] 드워프는뚜벅뚜벅3166 17/11/14 3166
111880 [질문] 수능 결과를 들었을때, 어떤 반응을 해줄까요? [8] 삭제됨3159 17/11/14 3159
111879 [질문] 민방위 시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3] 나를찾아서1885 17/11/14 1885
111878 [질문] 항공권 구매 질문입니다.(편도 vs 왕복) [3] 삭제됨2399 17/11/14 2399
111877 [질문] 선택약정 위약금 문의드려요 [2] Dwyane2056 17/11/14 2056
111876 [질문] 우주 관련 영상물(다큐, 영화, 드라마 등등)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7] 코돈빈4120 17/11/14 4120
111875 [질문] 삼성 브라우저와 크롬의 북마크 동기화 질문입니다. [2] 무가당2670 17/11/14 2670
111874 [질문] 직배송시 배송비 관세 포함인가요 아닌가요? [7] 스타듀밸리3975 17/11/14 3975
111872 [질문] 주식에 신주인수권증서라는게 뭔가요? [4] 지수2786 17/11/14 2786
111871 [질문] 페이스북 관련.. [2] 타키쿤1320 17/11/14 1320
111870 [질문] 시청~서대문쪽 소고기 괜찮은 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트와이스정연1689 17/11/14 1689
111869 [질문] 요즘 이상하게 배가 고픕니다 [11] 잠수족2455 17/11/14 2455
111868 [질문] 오목교 소개팅 질문드립니다ㅠㅠ [5] 루체른4400 17/11/14 4400
111867 [질문] [LOL] 프리시즌!! 꿀챔프가 뭐가 있을까요? [19] 리니시아3916 17/11/14 3916
111866 [질문] 하스스톤 기본 지름 추천부탁드립니다. [4] v.Serum1928 17/11/14 19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