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23 20:43:06
Name 기억의습작
Subject [질문] 비싼 공기청정기 그만큼 비싼 값을 하나요?
이번에 결혼 선물로 친형이 100만원 정도 선물을 해준다고 해서
공기청정기를 선물로 받으려고 합니다.

조금 알아보니 공기청정기 모델도 다양하고 가격이 천차만별이네요.
우선 가격대를 정해놓고 골라야 고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100만원 정도의 공기청정기가 그만큼 값어치를 할지 살짝 의문이 들어서 질문합니다.

저의 상황을 설명해드리면

1. 신혼집은 15평 정도의 투룸 (2년 정도 후에 30평 정도의 아파트로 이사할 예정)
2. 저는 공기의 맑고 탁함에 예민하지 않으나 예신님이 비염이 있고 조금 민감한 편입니다.
3. 예산은 최대 100만원

이런 조건에서 어떤 모델의 공기청정기가 좋을지
100만원 하는 공기청정기가 다른 저가 모델에 비해 그 값을 톡톡히 하는지 등
공기청정기에 대한 여러 조언들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미리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셧업말포이
17/10/23 20:46
수정 아이콘
공기청정기 = 필터+선풍기
비싸봤자네요.
포도씨
17/10/23 20:54
수정 아이콘
제일 쓸모없는 가전제품이 공기청정기라고 봅니다.
아예 바깥 공기가 걸러져서 들어오는거면 모를까 집안에서 암만 돌려봤자죠. 환기를 안 해줄것도 아니고...차라리 공기정화용 식물들을 키우세요.
17/10/23 23:38
수정 아이콘
집에서 공기정화용 식물을 키우려면 집면적*2가 있어야한다고 하더라구요
여자친구
17/10/24 08:05
수정 아이콘
이게 무슨 의미인가요? 예를들어 10평이면 화분20개가 있어야한다는 말인가요?
17/10/24 10:23
수정 아이콘
식물이 20평있어야된다는거죠
강미나
17/10/24 11:35
수정 아이콘
가장 쓸모없는 게 정화용 식물입니다. 차라리 깻잎 같은 걸 키우세요.
마제카이
17/10/23 20:57
수정 아이콘
싼거 여러개가 더 좋다고 말하더라구요..
elesevier
17/10/23 20:57
수정 아이콘
저는 비싼값을 한다고 봅니다. 공기청정기 사용했을때와 안했을때 차이가 크더군요. 저는 아이큐에어씁니다.
라플라스
17/10/23 21:12
수정 아이콘
쓰잘떼기 없는 가전제품
공기청정기 돌리는것 보다 환기가 더 효과도 좋고 건강에 좋습니다.
Randy Johnson
17/10/23 21:23
수정 아이콘
비쌀수록 돈낭비가 되는 대표적 제품입니다
들어가는 기술력이 필터 자체말곤 거의 선풍기 수준이라...심지어 필터도 자체 생산도 아니고요
심지어 15평 정도면 더더욱 만류하고 싶네요
스타일러 같은건 어떠신가요? 재밌는 제품이긴 하던데

참고로 공기청정기는 가습 성능이 없는게 좋습니다
곰팡이 세균 번식 가능성만 높이는 돈주고 위험해지는 콜라보레이션이에요

아기때문에라도 공기청정기가 필요하시면 비싼 외국거 사시는게 좋을거에요
우리나라 비싼 공기청정기는 싼거랑 같은 필터쓰고 쓸데없는 기능만 추가한거에 가깝고요
블루에어같은건 필터가 시꺼매지니 성능에 대한 신뢰라도 생기더군요
17/10/23 21:38
수정 아이콘
공기청정기는 15~25만원 가격 대에서(필터방식에 가습 기능 없는 기본 모델) 하나 정도는 둘만하구요.
100만원 정도의 결혼 선물을 받는다고 하셨는데 TV, PC, 로봇청소기 등에서 선택하시는 것은 어떨까요.
참고로 공기청정기보다 로봇청소기를 두는 것이 몸에는 더 좋을 겁니다(자주 청소를 하니까요).
기억의습작
17/10/23 21:42
수정 아이콘
비싼 공기청정기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들이 많으시네요. 어느 정도 방향이 잡혀가는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파란무테
17/10/23 22:25
수정 아이콘
제 아내 아토피, 아이들 비염등등... 인 가장입니다.
공기청정기는 무조건 좋습니다.
단, 비싼건 사지마세요.; 가성비 좋은거 2개 사서
거실에 하나, 잠자는 방에 하나 이렇게 두시면 좋습니다.
윗분들 중 가전제품중 제일 쓸데없다는... 분들은... 어떤 근거로 이야기 하시는지는 잘은 모르겠지만,
가족 중 비염과 아토피 쪽 호흡기 관련 민감한 분이 있거나,, 갓난아기를 키우는 집이라면 필수라고 봅니다.
차이 많아요. 적어도 저는 그렇습니다.
17/10/23 23:58
수정 아이콘
거실에는 블루에어, 안방에는 발뮤다 에어엔진, 컴퓨터방에는 샤프 KC-F70 사용 중입니다.
셋 중에서 고르자면 제일 저렴한 샤프를 추천드립니다. 어차피 공기 청정기는 헤파필터 등급만 맞춰지면 돼요. 게다가 가습기능도 들어있습니다.

유부 입장에서 100만 원 예산이라면 샤프 공기청정기 + 샤오미 로봇청소기 + 브라바 380t 물걸레 로봇청소기 + 호루라기 핸드 진공청소기 사겠습니다.
나중에 청소하는 거 때문에 와이프랑 티격태격하지 않으려면요.
영혼의 귀천
17/10/24 01:46
수정 아이콘
전 공기 청정기는 중저가로 하시든지 렌탈 하시고 차라리 다이슨 진공청소기를 추천합니다!
조지아캔커피
17/10/24 02:26
수정 아이콘
100만원대면 전기식 건조기요!
이거 구매하고 후회하는분 못봤습니다.
한글여섯글자
17/10/24 08:16
수정 아이콘
추천합니다! 집안일하면서 빨래를 넌다는 한가지행위가 빠지는게 정말좋습니다. 이번주말엔 빨래만세번을했습니다. 비가와도 빨래할수있고 추워도 할수있습니다. 이사할때 제가 우겨서샀는데 와이프가 고맙다고합니다.
김소혜
17/10/24 07:21
수정 아이콘
암웨이꺼 추천드려요. 초딩1년 아들놈은 아토피, 저는 비염인데 있고 없고 차이가 엄청납니다.
여자친구
17/10/24 08:09
수정 아이콘
샤오미에어2+다이슨v8청소기 이렇게 하면 좋을거같네요..
공기청정기 뜯어보면 아시겠지만 진짜 별거없습니다. 진짜 필터+선풍기라서... 필터가 핵심이죠 =_= 막말로 소음무시 가능하다면 컴퓨터 대형쿨러+필터+플라스틱박스 조합으로도 만들 수 있는게 공기청정기에요..
강미나
17/10/24 11:37
수정 아이콘
공기청정기는 필요한데 비싼 거 하나보다 싼 거 여러개를 사는 게 훨씬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854 [질문] 행정소송이 개인 간에도 소제기가 가능한가요? [3] 재활용2174 17/10/25 2174
110853 [질문] 소개팅후 애프터 질문입니다. [14] 공부맨17520 17/10/25 17520
110852 [질문] 롯데타워 전망대 가 보신분 있나요? [8] 기다림...그리2592 17/10/24 2592
110851 [질문] 집 선택 도와주세요.. [28] 로즈마리7598 17/10/24 7598
110850 [질문] 멜론 이용하시는분들은 음악어플 어떤거 쓰시나요? [3] 일면식1508 17/10/24 1508
110849 [질문] 유심 안넣은채 공기기 켜도 작동되나요? [2] 천우희2000 17/10/24 2000
110848 [질문] 요즘에 벨트 안매는 패션의 기원(?)이 뭔가요? [8] 강아지아빠9422 17/10/24 9422
110847 [질문] 프린트기 인쇄 색이랑 화면색이랑 너무 다르네요. [2] 다이어트2210 17/10/24 2210
110846 [질문] Windows 10 새로 시작 궁금한 게 있습니다. [1] Liberation3304 17/10/24 3304
110845 [질문] 어깨 회전근 파열 수술 관련 질문입니다. [1] 빅게임피처2273 17/10/24 2273
110844 [질문] ost 노래를 찾습니다. [3] Euphoria1474 17/10/24 1474
110842 [질문] 공기업 ncs 전공시험 난이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5] Poorpride8517 17/10/24 8517
110841 [질문] NAS를 통한 프로그램 매매 가능할까요? [4] Total2305 17/10/24 2305
110840 [질문] 세금 내는 통장을 합쳤을때 감면혜택이 있나요? [4] 로트리버2090 17/10/24 2090
110839 [질문] 카톡 청첩장 잘 안가는 이유가 정성의 유무인거죠? [29] 스핔스핔4567 17/10/24 4567
110838 [질문] 호텔 뷔페에는 왜 탄산음료 디스펜서가 없을까요..? [7] Aquaris5905 17/10/24 5905
110837 [질문] . [12] 삭제됨3424 17/10/24 3424
110836 [질문] 엑스박스 원 S 동글로 연결.... [2] 포도2483 17/10/24 2483
110835 [질문] "웃으면" 할 때 "면" 이형태의 대표형이 뭔가요? [10] Samothrace1962 17/10/24 1962
110834 [질문] 다 허물어져가는건물 식당 월세를 놨습니다 [7] 삭제됨2621 17/10/24 2621
110833 [질문] PGR21에서 봤던 조선시대 관련 글 찾아요 [3] 아름답고큽니다2466 17/10/24 2466
110832 [질문] 가입안해도 결혼정보회사에서 전화오는 경우가 있나요? [12] Ellun8651 17/10/24 8651
110831 [질문] 업무용 노트북 추천을 부탁드리겠습니다. [7] RainbowWarriors2898 17/10/24 28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