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20 10:37:37
Name 렌야
Subject [질문] 병자호란은 상식 수준은 아닌걸까요? (수정됨)
제가 군대있을때 이벤트(?)로
중대 단위로 골든벨 같은걸 한 번 했었는데
거기서 꽤 후반에 병자호란이 답으로 나온적이
있었습니다.
전 이게 임진왜란 같은 상식이라고 봤었는데
의외로 많이 떨어지더군요.

그때는 의문이 있긴했지만 별 생각 없었는데,
이번에 남한산성이 개봉하면서
주위 친구나 후배들과 얘기하면서 놀란게
병자호란을 잘 모른다는 거였습니다.

몇명은 아예 모르고
몇명은 청나라가 처들어왔다는 사실이 있었다
정도로만 알고
몇명은 병자호란 명칭까지는 아는데
일어난 배경이나 삼전도의 굴욕은 모르고
뭐 이런식으로.

임진왜란은 역사를 잘 몰라도
명칭이나 이순신 장군님은 다 알잖아요?

병자호란은
뭔가 패배한 싸움이라 그런가
뛰어난 활약이 없어서 그런건지.

그런데 고등학교까지 역사 배웠으면
대부분 알 지 않나싶었는데
내가 고등학교까지 배운거 다 기억하냐
물어보면 그건 아니니까 그냥 내가
역사를 조금 좋아해서 그런건가 싶기도하고.

병자호란은 일반적인 상식까지는 아닌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세종머앟괴꺼솟
17/10/20 10:39
수정 아이콘
그런 전쟁이 있었다, 중국에서 쳐들어왔다 (여기서 중요한 건 청나라인지 송나라인지 잘 모르겠고 관심도 없다는 거), 정도까지가 상식일 것 같습니다.
저만 해도 국사공부를 전과목 중에서 제일 싫어했고 병자호란이라는 단어 자체가 그냥 암기의 대상일 뿐이었습니다.
17/10/20 10:51
수정 아이콘
아 이거네요 크크크
중국이 처들어온건 암,
근데 중국의 뭔 나라냐 물으면
확답못하더군요.
도들도들
17/10/20 10:41
수정 아이콘
남한산성 같이 본 친구는 결국 조선이 이기는 줄 알았다가 막판에 충격 크크
17/10/20 10:48
수정 아이콘
역사영화지만 반전이었겠네요 크크크크
17/10/20 10:5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크
재활용
17/10/20 12:35
수정 아이콘
아 스포 자제좀 크크크
살려야한다
17/10/21 09:00
수정 아이콘
반전영화인가요 크크
싸이유니
17/10/20 10:42
수정 아이콘
국사 포기한사람들은 알기 쉽지 않을거 같은...
17/10/20 10:43
수정 아이콘
패배한 역사인것이 크지 않을까요? 조선 역사에 크게 영향을 준 전쟁이긴하지만 굴욕적인 패배이니 별로 많이 언급되지 않으니깐요.
손금불산입
17/10/20 10:46
수정 아이콘
왜란 호란이 있었다까지는 상식범주로 봐도 무리가 없죠.
정지연
17/10/20 10:47
수정 아이콘
공부로 배우는 역사는 그냥 그 단어 자체만 외우라고 하는 경우가 많아 그 말만 알지 그거에 관련된 이야기는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사에 관심이 없는 사람은 그 사건의 전후에 깔린 이야기는 소설, 드라마, 영화같은 재가공된 스토리를 통해 제대로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진왜란은 어릴때부터 이순신에 대해 위인전, 만화등을 통해 많이 접한데다가 영상화도 많이 되었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이 없는 전쟁이지만..
병자호란은 상대적으로 이야기화가 덜 되었죠.. 아무래도 지는 전쟁이다 보니 그런거 같습니다.. 사극에서 간간히 다루기는 하지만 그 드라마들이 크게 성공한게 없는것도 병자호란의 존재감이 덜한 이유일거 같네요..
조선시대에 병자호란이라는 청나라가 쳐들어온 전쟁이 있었다를 아는 정도까지가 상식이라고 봅니다..
겨울삼각형
17/10/20 10:47
수정 아이콘
임진왜란 결국 승리한전쟁

병자호란 결국 패배한전쟁

여기서 오는 차이가 크죠.
병자호란에 대해서 조금 알고있어도,
조선이 청과 외교를 잘못해서 전쟁났다고 알고있는분도 많죠..
17/10/20 10:48
수정 아이콘
호란은 지는 전쟁이라 잘 안다루죠

왜란은 먼치킨 한분 덕분에 소설이나 영상매체로나 엄청나게 다뤄진 컨텐츠라 역사에 별 관심이 없어도 접할 기회가 많아요
17/10/20 10:5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어렸을때 조선 역사 조금만 접하면 모를수가 없는 부분인데..
요즘 사람들이 역사에 관심이 그리 크진 않을것 같네요.
17/10/20 10:54
수정 아이콘
역사에 관심없는 사람이라면 호란은 모를수도 있겠거니 허고 생각은 합니다. 지는 전쟁이다보니 다루는 비중도 큰편도 아니고..
유자농원
17/10/20 10:54
수정 아이콘
임진왜란이 정유재란까지 합치면 전쟁기간이 길었고
의병까지 일어난 총력전에 명까지 껴서 3국이 낀 전쟁이었고
전쟁은 다진걸 바다에서 어느분이..
등등으로 이 쪽이 좀 더 크게 다뤄질 요지가 많았지 싶습니다.
신공표
17/10/20 10:54
수정 아이콘
상식이라는 게, 자기가 알면 상식이고 모르면 상식이 아닌거라
어떤 사실을 가지고 상식이다 아니다 정하는 거는 참 애매한 문제 같습니다.
손나이쁜손나은
17/10/20 11:00
수정 아이콘
(그런데 고등학교까지 역사 배웠으면)
으로 생각하시면.... 고등학교때 배운 모든 것을 다 알아야겠죠..크크
상고나 다른 예체능을 준비하던 친구들은 모를 수도 있구요.. (물론 역사에 관심이 많던 친구들은 알 수도 있겠지만!)
내가 알면 상식이라는건 좀 애매할때가 많죠 ㅜㅜ
17/10/20 11:00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3년간 내신국사 전교꼴지 기록한 국사포기자 이긴 한데 (포기자도 아니고 파괴자 수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은 인지도 면에서 체급차이가 어마어마하지 않을까요?
저도 병자호란은 이름 밖에 모릅니당
Randy Johnson
17/10/20 11:01
수정 아이콘
전 그래서 남한산성보고 감동받는게 이해가 안가더라고요
얼마나 역사에 관심이 없었으면 실제 역사 영화를 보며 처음보는 감동을 느끼는지
17/10/20 11:02
수정 아이콘
진 전쟁이기도 하지만 별 임펙트 있는 전투 없이 후루룩 뚝딱 끝나고 홍타이지에 대해서 딱히 악감정 같은 분위기가 이어진 것도 아니고 오히려 인조등 당시 조선의 무능이 더 부각되서 인식되는것도 있고..

매체에서 다뤄진 비중만 해도 임진왜란과는 차이가 어마어마하죠.
세츠나
17/10/20 11:03
수정 아이콘
음...; 디테일까진 잘 모른다 까지는 이해가 가지만 첨 들어볼 수가 있는지...
조지영
17/10/20 11:03
수정 아이콘
의무교육인 초등, 중학교에서 배우는거라 상식이라고 봅니다.
Randy Johnson
17/10/20 11:04
수정 아이콘
참고로 임진왜란도 일본 교과서에는 1페이지 정도밖에 할애안되는걸로 알아요
도요토미가 말년에 노망나서 자기 휘하 군을 조선+명 정벌에 보냈다가 실패했다 정도로
자기 나라의 치부는 최대한 슉 지나가고 싶은게 자국민 마음인가 싶기도 하네요
17/10/20 11:11
수정 아이콘
근데 생각외로 역사 등 상식에 그냥 관심없는 사람들 무지 많습니다.
자기가 관심있는 분야외에는 그냥 아오안입니다.
오가닉
17/10/20 11: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비아냥(벌점 4점)
17/10/20 11:14
수정 아이콘
12년 동안 배운거 다 기억하세요?
17/10/20 11:17
수정 아이콘
도덕 교육과정은 기억 못하시는듯.
17/10/20 13:33
수정 아이콘
뭐 이러면 안 된다고 써 있더라 기억할 수 있겠죠. 도덕의 실천은 좀 다른 문제니까요.
겨울삼각형
17/10/20 11:20
수정 아이콘
한번 배웠다고 다알면 퓨리에나 라플라스가 욕먹지 않았을텐데..
17/10/20 11:26
수정 아이콘
도덕 교육과정은 기억 못하시는듯. (2)
17/10/20 12:20
수정 아이콘
초중고 교육과정을 다 기억하시니 서울대쯤은 가볍게 들어가셨겠죠?
17/10/20 14:33
수정 아이콘
아이디가 낮에 익는데도 불구하고 댓글은 겨우 21개라니 참 고효율이시네

이러고 다니면 재밌습니까?
꿈꾸는사나이
17/10/20 11:19
수정 아이콘
왜란은 이순신 때문에 잘 기억하지만
호란은 말그대로 치욕의 역사라...
고등학교때도 중요하게 다루진 않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17/10/20 11:19
수정 아이콘
실제로 교육과정에서 병자호란쪽은 진짜 대충 하고 넘어갑니다. 당연히 배웠어도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되는 셈이죠.
적어도 임진왜란은 세세한 기록까진 몰라도 전투 이름정도는 아는 경우가 많죠. 그에비해 호란은 뭐...
17/10/20 11:21
수정 아이콘
한국사 1급 땄는데
4년지난 지금 병자호란...이러니까 전혀 기억이 안나네요....
17/10/20 11:27
수정 아이콘
이건 다른 의미로 대단하신데요...
Randy Johnson
17/10/20 11:41
수정 아이콘
저도 군대서 1급 딴 친구에게 천리장성 언제 지은거야? 물으니까

음...음...조선이었나...?

?????

전 역사를 되게 좋아해서 외우기보단 논리로 이해하는 친구인데
그 친구는 워낙 싫어하니 단순 암기식으로 해치우더라고요
당연히 세월이 지나면 잊어먹게 되고
17/10/20 11:4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그래도 호란급은 잊기 힘들것 같았는데 사람마다 다르겠네요
겨울삼각형
17/10/20 11:22
수정 아이콘
참고로 명나라가 청나라한테 망했다고 알고계시는분이 많을걸요?

이자성이나 오삼계나 그게 누구?
Randy Johnson
17/10/20 11:42
수정 아이콘
그건 외국 역사니까요
저도 중국 역사 좋아하지만 중국 역사 디테일까지 원하는건 제가 보기론 상식보단 위의 수준같아요

그래도 병자호란은 알아야된다고 생각해요
17/10/20 11:42
수정 아이콘
정신승리할 구석이 별로 없는 전쟁이라... 좀 관심밖이죠.
에릭라멜라
17/10/20 12:10
수정 아이콘
먼 역사까지 안가도, 6.25전쟁, 5.18이 언제 일어난지도 모르는 사람도 은근히 있습니다.
17/10/20 12:13
수정 아이콘
상식급 아니라고 봅니다. 고교과정 이후 국사교육은 단원제목부터 붕당정치 전개와 양 난의 극복 으로 되어있는데 고등교육을 기억할정도의 국사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알고있겠지만, 배우긴했으나 관심없는 분들은 '양 난' 개념은 사라지고 대한민국 대사건 원탑 임진왜란에 묻히죠.
My Poor Brain
17/10/20 12:24
수정 아이콘
근현대사도 모르는 사람이 넘치는 판에 병자호란은 과한 요구라는 생각이... 군대 갔다오니까 상식에 대한 기준점이 극히 낮아지던데요.
조말론
17/10/20 12:49
수정 아이콘
모르는 사람이 꽤나 존재한다는거만으로 귀납적으로 상식이 아닌걸 알 수 있는거같네요
불굴의토스
17/10/20 13:20
수정 아이콘
사람들 생각보다 역사 진짜 몰라요...

전 군대에서 주몽 드라마 할때 주몽이 고구려 세운거 모르는 사람 많은거보고 경악했습니다.
17/10/20 13:22
수정 아이콘
임진왜란은 승전
병자호란은 패전이죠

이것만으로도 인지도 차이는 갈릴 수 밖에 없다는...
체리과즙상나연찡
17/10/20 13:33
수정 아이콘
이과고 역사 굉장히 싫어했지만 어디가서 상식없다는 소리는 절대 안듣는 편인데,
병자호란 하면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전인 느낌은 들지만 어떤 왕일때인지는 절대 모릅..) 중국에서 쳐들어와서 (물론 어느 나라인지는 모릅니다만 찍으라면 청나라 찍을거 같습니다. 수나라-살수대첩-고구려 / 원나라-고려말 공주들 우리나라 옴 / 명나라-조선시대 중후기 정도 떠오르니 당나라 송나라는 아닐테니 청나라..? 이정도 로직으로) 굴욕적이었다. 정도 떠오릅니다. 디테일 하나도 모르겠네요.
17/10/20 14:52
수정 아이콘
크크 한국사1급있는데도
솔직히 기억이 정확하게
어떤 왕때 어떻게 벌어졌고 기억이 안납니다..
청나라가 우리나라 쳐들어왔다 이정도로만 기억이나네요...

나름 한국사 좋아했었습니다..
위에댓글에도 저같은분 계시네요...크크
동네형
17/10/20 15:16
수정 아이콘
제기억엔 병자호란보다 f=ma랑 근의공식이 더 커서...
이거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을걸요?
프로듀사
17/10/20 23:51
수정 아이콘
근의 공식은 수학과 학생도 군대 가면 까먹는 거에요..
17/10/20 15:38
수정 아이콘
'지식'적인 부분은 생각보다 모르는 사람 진~짜 많습니다. 생각해 보면.. 인서울 대학은 진짜 왠만하면 다 갈 거 같지만 %로 따지면 의외로 상위인 그런 느낌이랄까요.

여담입니다만.. 모르는 거야 그러려니 하는데 오히려 '모르는 게 당연하고 아는 게 공부벌레 (geek?)'라는 반응도 간혹 있던데 그게 흠좀무더군요. 꼭 병자호란에 한해서는 아니고.. 여러가지 측면에서요.
고분자
17/10/20 15:38
수정 아이콘
상식은 맞는 것 같은데, 상식이란 것이 모두가 다 아는건 아니잖아요? 물론 그런 의미의 상식이란 단어를 쓰신건 아니겠지만요 ^ ^
17/10/20 16:50
수정 아이콘
재수때까지 국사공부했는데 (국사가 선택이던 시절입니다) 결국 진 전쟁이었었지? 중국이 쳐들어왓던 전쟁이었지? 까지의 기억이 끝이에요..
17/10/20 18:03
수정 아이콘
조선이 일방적으로 털린전쟁이다보니 인기가 없어서 매체에서 잘 다루지 않아서

병자호란이라는 것이 있었다는 것은 알아도 세부적으로 잘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저는 역사를 좋아하는 일반인 정도의 포지션(?)이라고 생각하는데

임진왜란은 참전했던 우리나라 장수 이름이나, 일본 장수들도 좀 알고...

생각해보니 명나라 장수도 아는 사람이 있네요.

주요 전투이름도 듣고 이런 저런 이야기를 많이 보거나 들은것 같은데;

병자호란은 큰 줄기만 알고 세부적으로는 아는것이 많지 않은것 같습니다.
카디르나
17/10/20 22:05
수정 아이콘
한국사를 좋아해서 알고는 있지만, '병자호란 누구나 다 알지 않나요?' 라는 의견은 좀 그렇네요.
그렇게 따지면 근의 공식도 다 기억해야 하고, 영어도 생활영어 수준은 다 해야하지 않나요?
'다른 과목은 좀 그래도 국사는 우리나라 역사잖아! 당연히 알아야지!'라고 주장하신다면
'대체 어디까지? 고조선부터 근현대사까지 전부?' 라는 질문이 나오겠죠.

그냥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순서만 알아도 보통의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는 많이 자국의 역사를 알고 계신 겁니다.
우리 나라는 너무 애국심을 강조하고 그 일환으로 자국 역사 지식에 민감한데, (연예인한테 과한 요구도 하구요) 사실 좀 너무하다 싶습니다.
17/10/21 13:57
수정 아이콘
몰라도되는거에요
모나크모나크
17/10/21 19:04
수정 아이콘
저도 역사 안 좋아해서 억지로 외워서 공부했던 사람입니다.
기억 하나도 안 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685 [질문] 기업가로서 이명박의 비결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9] nexon3602 17/10/21 3602
110684 [질문] 차잘알 회원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8] 금주망태1942 17/10/21 1942
110683 [질문] 직장 뒷담화 맨탈관리. [20] 자제해주세요5073 17/10/21 5073
110682 [질문] 지난 카카오톡 장애는 정말 심각한 문제인 거 아닌가요? [3] 나이테2669 17/10/21 2669
110681 [질문] 남자트레이닝복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베르나르5185 17/10/21 5185
110680 [질문] 0-2 거지런 돌 때 어떤 요정이 좋나요??? [8] NㅏRㅏ3172 17/10/21 3172
110679 [질문] 포켓(앱/서비스)과 연동해서 코멘트를 쉽게 달수 있는 도구가 있을까요? SaiNT1025 17/10/21 1025
110678 [질문] 회사앞 자취방 원룸 전세 질문있습니다 [1] 무민2059 17/10/21 2059
110677 [질문] 동생이 비트코인??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다네요 [13] Lancer3240 17/10/21 3240
110676 [질문] 영어회화 공부하기 좋은 미드/시트콤/티비프로그램 추천부탁드립니다 (완전초보) [5] 노래하는몽상가2925 17/10/21 2925
110675 [질문] [질문] 리그패스 무료라길래 구입했는데 [1] 속보1759 17/10/21 1759
110674 [질문] 롱주 칸이 지역 비하한것도 사실인가요? [32] 발틴4501 17/10/21 4501
110673 [질문] 정장 질문 드립니다 [3] 비빅휴1703 17/10/21 1703
110672 [질문] 그래픽 디자인을 배워보고 싶은데요. [1] 축구사랑1440 17/10/21 1440
110671 [질문] 가상화폐 입문하려고 합니다. [10] 방밀전사3100 17/10/21 3100
110670 [질문] 이건 이름이 뭔가요 [4] 탄야2153 17/10/21 2153
110669 [질문] 저가폰 구입 도움 부탁드립니다 [4] 랑맨1696 17/10/21 1696
110668 [질문] 원통 넓이 질문 드립니다. [7] 여자친구3017 17/10/21 3017
110667 [질문] 크로스오버, 와사비망고, 경성GK 어디가 가장 괜찮나요? [8] 트와이스정연4334 17/10/21 4334
110666 [질문] 결혼하면 개인시간은 포기해야하나요? [39] 나른한오후7003 17/10/21 7003
110665 [질문] 믿고 거르는 지역주택조합아파트? [4] 굿리치[alt]2847 17/10/21 2847
110664 [질문] CS 미국 취업 테크트리 선택에 도움 부탁드립니다. [19] 삭제됨4637 17/10/21 4637
110663 [질문] 크롬으로 로그인이 안됩니다. [1] ThisisZero2066 17/10/21 20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