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19 22:51:25
Name 쿠쿠다스
Subject [질문] 최근에 취업했는데요 신용카드 발급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화이트하임입니다

이번에 취업을 하면서 이제 슬슬 돈도 어떻게 관리해야되는지 궁금한게 많아 졌는데요.

제가 현재 체크카드만 쓰고 있는데요...?

사람들이 다 신용카드 쓰는 이유가 상대적으로 체크카드에 비해서 혜택이 훨씬 많아서 쓰시는건가요?

주변에 사람들이 저도 신용카드 발급받으라고 그냥 지나가면서 말해주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겟네요..

아 그리고 뽐뿌에서 카드 발급 받아도 큰 문제 없나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ayAway
17/10/19 22:52
수정 아이콘
공제는 이제 큰 의미가 없지만 신용 등급을 올려놓으면 나중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됩니다.
나성범
17/10/19 23:03
수정 아이콘
취업 축하드립니다. 저도 같은 고민을 오래 한 입장에서 조언드리면,
1개정도는 가지고 있으면 좋습니다.

윗분 말대로 세액공제 같은건 하등 의미가 없습니다. 그냥 체크카드로 적게 쓰시는게 최고의 재테크입니다.
(결혼하시고 아이가 생겨서 고정지출등이 많아지면 얘기가 다릅니다.)
혜택이라고 할만한것도 사실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다만 여행 좋아하시는 분들은 항공마일리지 쌓는 용도로 쓰시기도 하더라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 있으면 좋은건, 언제 어떻게 급하게 돈을 쓸지 모르는 일이 생깁니다.
아무래도 체크카드는 급하게 큰돈 쓰려다보면 제약이 많이 있는데 일단 신용카드는 그런 제약이 적어서 좋습니다 (어차피 이제 취직이시라 초반에는 한도가 많이 걸리겠지만...)
저도 지난번에 체크카드로 구입한 비행기표 결제가 갑자기 취소된적이 있었는데 신용카드로 겨우 해결했습니다.
나성범
17/10/19 23:05
수정 아이콘
평소엔 그냥 체크카드로 쓰시고, 할부로 사고싶은 비싼 물건이 있다든지 월급내에서 해결가능하지만 급하게 결제해야하는 것만 신용카드로 하세요
아 통신비나 공과금 등 일부 고정지출은 신용카드 자동이체 해두면 할인이나 적립이 많이 되기도 합니다.
17/10/19 23:08
수정 아이콘
전 알바만 하는데도 할부땜에 신용카드 하나 만들었어요. 있으면 확실히 편합니다. 내가 이번달은 돈이 조~금 쪼들리는데 결제해야할걸 체크 반 신용 반 이런식으로 해서 소비관리도 유동적으로 가능하더라고요.
트와이스 채영
17/10/19 23:15
수정 아이콘
꾸준히 연체없이 사용하면 신용등급이 오르는게 제일 크다고 생각해요. 대출 심사자입장에선
재즈드러머
17/10/19 23:27
수정 아이콘
일단 본인의 지름신 컨트롤 할 자신만 있다면 여러모로 득이죠. 결제비용이 비싸지는것 아니고 오히려 포인트 혜택은 쌓이면서 결제가 늦춰지는 거니까요. 해외여행 나가도 편하고요.
17/10/19 23:39
수정 아이콘
신용카드도 만들고, 마통도 뚫어놓으세요.
인생 어찌될지 모릅니다.
섹시곰팅이
17/10/19 23:53
수정 아이콘
돈의 유동성을 위해 하나정도는 뚫어 놓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급전이 필요할때가 살다보면 종종 생기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개인적으론 신용등급은 오르는게 잘 느껴지지 않아서 보너스 같은 느낌이 강합니다.
신용등급 관리때문에 신용카드를 쓰는건 주객이 전도 된 느낌...
17/10/20 00:47
수정 아이콘
돈을 관리한다는게 돈을 모은다는거면 연회비없는 명목상 신용카드 만들기는 하되 쓰지않고 그냥 두는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평소엔 그냥 체크카드쓰세요 신용카드 효율적으로 쓰려고해봤자 진짜 얼마차이안나고 그거때문에 돈더씁니다
안쓰는게 모으는거에요
궁금해요궁금해
17/10/20 01:08
수정 아이콘
뽐뿌통해서 만드셔도 문제 없어요~
업체 글에 댓글이나 쪽지 보내면 연회비 지원, 페이백, 상품권 등 혜택 자세히 알려줄거에요.
Chakakhan
17/10/20 01:41
수정 아이콘
저도 필요 없다고 생각했는데 집에 아픈사람이 좀 생겨서 만들었었습니다. 2년정도 지난 소감은 연체 및 리볼빙만 하지 않으면 훨씬 좋습니다~ 유동적으로 소비하기도 편하고 혜택 챙겨먹는것도 있고..그리고나중에 대출심사때 거래실적에서 유리한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17/10/20 03:14
수정 아이콘
지출을 절제할수 있다면 신용카드를 체크카드처럼 사용하고 혜택도 챙길 수 있어요. 저는 연회비 20만원짜리 한장 만들어서 그것만 쓰니까 혜택도 꽤 쏠쏠하더군요.
강미나
17/10/20 06:43
수정 아이콘
항공마일리지 모으는 거 너무 꿀이던데요. 2-3년 모으면 유럽 한 번 갔다올정도는 되던데....
it's the kick
17/10/20 10:42
수정 아이콘
기본적인 경제관념만 있다면 체크카드보다 나쁠 수가 없습니다.
그게 없는 사람들이 긁어대서 문제가 되는거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646 [질문] TV 소리와 주변 소음에 따른 귀의 영향(?)에 대해 여쭤봅니다. [1] AquaMarine1557 17/10/20 1557
110645 [질문] 유튜브 다음 동영상 안 나오게 하는 법 [2] wook984817 17/10/20 4817
110644 [질문] [lol] 롱주는 타릭을 어떻게 대응하려고 했을까요? [4] arq.Gstar2269 17/10/20 2269
110643 [질문] 알뜰폰 통신사로 고가폰 개통, 쓸만할까요? [6] 라플비2024 17/10/20 2024
110642 [질문] 하드디스크 설치하다 멘붕이 왔습니다. 도와주세요... [9] 각키2360 17/10/20 2360
110641 [질문] 애국심은 왜 필요한 걸까요? [45] 류지나5279 17/10/20 5279
110640 [질문] 홍콩 여행 질문이요 [12] 블랙캣1960 17/10/20 1960
110639 [질문] 기가인터넷 신청했는데 11메가밖에 안나오네요 [9] 삭제됨6048 17/10/20 6048
110637 [질문] 마블 & 워크래프트 세계관 정리 잘된곳 알려주세요. [10] 성기사3078 17/10/20 3078
110636 [질문] 용산 아이맥스 H5,6은 지옥인가요? [5] Le_Ciel2837 17/10/20 2837
110635 [질문] 외국인 친구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예정입니다. 조언 부탁 드립니다. [7] Rosinante1566 17/10/20 1566
110634 [질문] 사진보다 실물이 낫다는말이 실례가 될수있나요? [30] 푸끆이10047 17/10/20 10047
110633 [질문] 조립피씨 질문드립니다. [18] 음악의신2109 17/10/20 2109
110632 [질문] 엎드려 누워서 책보는게 허리에 안좋나요? [8] 이밤이저물기전에2315 17/10/20 2315
110631 [질문] 샤오미 블루투스 스피커 질문입니다. [2] 리노2004 17/10/20 2004
110630 [질문] 영화 알포인트에 대한 해석이 여러가지던데 이유가 몰까요?(스포주의) [9] 개미5159 17/10/20 5159
110629 [질문] [질문] 허준 드라마 에피소드에서 왜 이렇게 행동을 안했는지 궁금합니다... [4] 잘가라장동건1899 17/10/20 1899
110628 [질문] 감기약이 체중과 관련이 있을까요? [4] 박지민3544 17/10/20 3544
110627 [질문] [하스스톤] 히드라어떻게 써야되는지 좀 알려주세요. [10] 유니브로2340 17/10/20 2340
110626 [질문] 메인보드 B250M과 램의 호환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3] 2PM1973 17/10/20 1973
110625 [질문] 램 추가후 비프음 4번이 들리면서 컴퓨터가 안켜집니다 [6] 도잉6550 17/10/20 6550
110624 [질문] 중요한 시험이 얼마 안 남은 여친을 대하는 방법?? [15] 삭제됨6970 17/10/20 6970
110623 [질문] 롤에서는 판짜기가 스타만큼 안중요한가요? [14] johann3291 17/10/20 32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