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18 19:43
속도차이일걸요...?
부모님집에 뭐 쓰는지는 기억 안나는데 할 수 있는 것 중에 제일 빠른걸로 해달라고 해서 받은거 뒤에 f 뭐시기 적혀 있었습니다.
17/10/18 19:55
그건 아닐거에요 제가 기가인터넷을 안쓰는데 그걸로 왔기 때문에.. 기사님한테 물어봤을땐 모뎀은 다 똑같고, 회선상에서 풀어주기만 하면 쓸수 있다고 했었습니다.
17/10/18 19:55
(수정됨) 정확하게 알지 못하지만 답변해보자면 연립 주택이나 아파트 같은 경우는 랜선 공사가 되어 있어서 광케이블은 아파트 앞까지만 오고, 거기서 회선 분할 되서 각 가정에는 UTP랜 케이블로 이어질 겁니다. 이런 랜선과 연결하려면 UTP 모뎀이 필요한거고요.
반면 단독 주택같은 경우 광케이블(정확히 이야기하면 광섬유 한 가닥)이 주택 안까지 들어옵니다. 그래서 그 광케이블과 연결하려면 기존 랜포트가 있는 UTP모뎀이 아닌 광케이블을 연결 할 수 있는 fiber 모뎀이 들어옵니다. 속도 차이는 없습니다. 아파트에서도 광케이블로 기가 인터넷이 되고 단독 주택에서도 기가 인터넷이 됩니다. 다만 주택 구조상 모뎀까지 오는 선 종류가 다를 뿐이죠.
17/10/18 20:02
(수정됨) fiber 모뎀 뒤쪽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4659399) 보면 옆에 옵티컬이라고 있을겁니다. 이게 광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자고요. utp 모뎀 뒤쪽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review&no=33461) 글 아래 뒷쪽 포트 부분 사진 있습니다. fiber 모뎀과는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죠.
17/10/18 20:45
추가적으로 답변 쓰다보니 제가 좀 제대로 알아야겠다 싶어 검색 해서 찾아낸 자료 중 가장 자세한 자료인 것 같아 링크합니다.
(https://netmanias.com/ko/?m=view&id=blog&no=6466) 연립주택의 회선 구조가 기가 인터넷 이전과 이후로 잘 설명 되어 있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