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8/25 10:46
차라리 9급 출신도 승진장벽이 덜 한 다른 기관으로 전출가시는 게 삶이 덜 피곤하지 않을까요?
아쉬움이 있으시다면 어쩔 수 없지만요.
17/08/25 10:52
고시와 비고시 차이에 비하면, 9급과 7급간 차이는 없는 거나 다름없는 수준입니다. 차라리 고시를 보실 요량이시라면 모르겠는데 9급 들어와서 이미 8급을 찍은 상태에서 7급 보는 게 딱히 무슨 의미가 있나 싶습니다.
17/08/25 11:11
s너무 늦은감이 없지않아있는거같은데;;; 공부하신시 몇개월 된것도아니고 2년반이나 지갔고
공시생들 7급은 빨라도 1년반정도 걸리는데 회사 다니면서하면 진짜 빨라야 2년반 정도;;
17/08/25 11:17
9급 합격한 가닥이 있으니 시간만 잘 확보하시면 시간은 단축되리라 생각합니다. 주변에 지인으로는 9급 관세직 붙고 연수, 수습까지 하고 인천 관사 생활이 힘들어 퇴근 후 7급 준비해서 다음 해 합격한 사례가 있습니다.
17/08/25 11:34
제 친구도 약간 비슷한 케이스인데, 9급다니면서 7급 공부하다가(?) 결국 7급 승진이 되었습니다.(물론 선관위라 승진이 빠른 것도 있었지만..)
일하면서 7급 합격하기 >> 7급 합격인데, 7급 합격도 정말 어려운데, 일하면서 7급 합격은... 단, 국가직 일행(?)을 합격할 정도면, 지엽적인 문제 제외하고는 다 맞는 정도의 경험을 하셨다는 점 +이미 7급을 공부하셨던 적이 있었기 때문에, 경제학 헌법 등 7급 과목에 낯설지 않다는 점 +이미 아쉬움을 바탕으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계시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그래도 후회없이 한번 더 쏟아붓는 것도 평생 기억될 아쉬움보다는 나을 것 같습니다. 정말 열심히 하셔서 합격하면 대단하신 거고, 아깝게 떨어지시더라도, 최선을 다했으니 아쉬움은 없으실테고요. 해보지 못한 아쉬움이, 한 후회보다 더 크다고 하잖아요. 다만, 제가 간과한 것이, 9급 1년차가 아니라, 이미 3년차로 8급 다신 상태네요. 9급 합격하고, 바로 7급을 준비하셨으면 더 좋았을텐데, 약간 늦게 결심하신 듯한...
17/08/25 11:35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하는 것도 아니니
평일 3-4시간, 주말 이틀풀, 시험 일주일전 연차가 가능하면 충분히 붙고 남죠. 다만 일도 하면서 공부하는 게 많이 힘들뿐..
17/08/25 11:38
5급 준비가 더 낫지 않을까요.
최소 1년은 일도 하고 공부도 하고 힘드실텐데 그에 비해 소득은 기다려도 얻을 수 있는 거라...
17/08/25 12:54
제 친구도 9급 합격 -> 1년 근무 -> 1년 휴직 (7급 준비) -> 7급 합격 테크 탔습니다.
하기 나름인거 같더라구요 ㅠㅠ
17/08/25 14:11
7급 되기 전에 붙기만 한다면 좋은거 아닌가요?
같은 7급이라도 출신이 7급이냐 9급이냐에 차이가 있는거로 알고 있는데 비슷하게 보시는 분들이 많아보이네요
17/08/25 19:02
그말이 아니라 기간 때문 아닌가요?
9급이 7급 다려면 5~10년 정도 걸리니까 한계가 있다는 말 같은데요 댓글은 출신 자체를 말씀하시는거고요
17/08/25 21:02
이미 8급이시고 시간이 문제지 몇 년 더 있으면 7급이 되긴 되죠 그럼 굳이 시험을 치는 무리수를 둘 필요는 없죠
근데 승진의 한계라는게 멀리 보는걸 말하는시는거로 보이고 여기서 7급출신과 9급출신은 승진/보직/발령에서 차이가 큽니다 공무원은 입직 "시기"가 아니라 입직 "경로"가 중요합니다 9급출신이 7급됬다고 7급 출신과 같은 입장이 아닙니다 코스가 다릅니다
17/08/25 21:08
원래 그런가요? 주변에 3급 분은 전혀 관계없다고 하시기에 궁금해서 여쭤봤습니다. 세무직이라면 9급으로 들어가면 5급은 바늘구멍이라고 들었는데 그런 특수 경우 말씀하시는건지 궁금해서요.
17/08/25 21:16
특수 경우 아니고 일반 7/9급입니다
그 분은 연세가 꽤 많으신 분으로 생각되는데 지금 3~4급분들 중에는 9급출신도 꽤 많습니다 옛날이라 가능했던 이야기이고.. 지금은 택도 없는 소리지요. 같은 직급인데 차별 아니냐 하실 수 있는데 간단히 얘기하면 갖고 있는 포텐셜이 다르다고 볼 수 있죠
17/08/27 15:51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을 하나하나 달기는 좀 애매해서 이 댓글로 갈음하고자 합니다. 우선... 전출가는 건 그것 나름의 불이익이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해당 부처 출신이 아니니 보직이나 승진 등에 영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임용 초기에는 신규임에도 일이 너무 많아서 공부할 시간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조금씩 하다가 힘에 부쳐 결국 포기하게 됐는데 요즘엔 다소 여유가 생기다보니 7급 시험이 다시 머리 속에 멤도네요. 또한 제가 저를 잘 알기 때문에 5급은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한계를 설정해놓는 것은 좋지 않지만요... 그리고 부처마다 다르겠지만 예를 들면 어떤 부처에서 9급 출신은 6급, 7급 출신은 5급 등등 이렇게 승진 상한선이 있다고 하더군요. (규정에 나와있는 건 아니지만 암묵적으로) 물론 9급 출신이 6급 승진하고 나서 본부나 주요 보직에서 일 많이 한다면 승진할 수도 있다고 하지만... 흔한 케이스는 아니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일하면서 공부하는건 정말 힘들 거라고 생각합니다. 쉽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니 여러가지 심사숙고해서 결정 내리려고 해요. 답변 달아주신 분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