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8/12 16:41:29
Name 매벌이와쩝쩝이
Subject [질문] 테레비 55인치 FHD vs UHD 고민입니다 잉잉
집에 테레비를 한대 새로 사려고 하는데요..
삼성 55인치 UHD는 110만원 vs FHD 는 70만원 정도 하더라구요
둘다 2017년 모델이었고..
그런데 저희 집은 지상파는 잘 안보고 종편하고 YTN, 연합만 보는데, 이런 시청환경에서 UHD 는 아직 시기상조일까요?
가격도 40만원 정도 차이나니까 고민이 되네요
이와 같은 시청습관의 가족이 지금 UHD 를 사는것이 맞는지 FHD 를 사는것이 맞는지 결정 부탁드려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8/12 16:48
수정 아이콘
수도권 uhd 시작했지만 uhd 프로그램 자체가 10%도 안 됩니다.
지방은 2020년 시작이라니 더더욱 먼 이야기구요.

케이블 방송에서는 uhd 채널이 있긴하지만 형식상 만들어 둔 정도고 채널 한 두개가 전붑니다. 거기에 추가금도 있죠.
지상파 uhd방송을 케이블에는 유료로 송출하기로 했다고 하니, 무료로 지상파 uhd 방송을 보고싶으시면 안테나로 직접 방송을 받으셔야만 합니다.
참고로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관리실에 uhd 관련 설비세팅이 되야만 송출이 가능하므로 연락도 미리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55인치는 uhd방송을 보기에 조금 작은 면이 있습니다.
65인치는 되야 uhd의 느낌(?)을 받을 수 있다네요
17/08/12 16:51
수정 아이콘
덧붙이면 구형 uhd TV 중에는 지상파 uhd 방송을 보기 위해 추가로 셋탑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게 유럽쪽 표준으로 만들어서 그렇다네요. 지상파는 미국쪽 표준이구요.

믿기지 않겠지만 삼성이나 엘지는 ... 그걸 유료로 팔고 있습니다. 꼭 알아보세요.
몽키매직
17/08/12 17:02
수정 아이콘
고화질의 느낌을 받는 건 절대 크기가 중요한 게 아니라 시청거리에서의 크기라 일괄적으로 어느 크기 이상 같은 기준은 없습니다. 모니터도 비슷한 이야기 하시는 분들 많은데 FHD 처음에 표준으로 자리잡기 전에도 모니터 크지 않으면 소용없다는 이야기가 실제로 돌았습니다. 그냥 화질은 화질이고 크기는 크기에요. 별개입니다.
17/08/12 18:03
수정 아이콘
전문가에게 직접 들은 말입니다
55인치 uhd 돈낭비라고요
몽키매직
17/08/12 18:09
수정 아이콘
죄송하지만 어떤 전문가인가요?
하드웨어 커뮤니티에서 이제는 듣기도 힘든 UHD 최소크기 이야기를 전문가가 하는 건 믿을 수가 없습니다.
(그나마 UHD 최소 크기 나오던 얘기도 40 인치대 였고 요즘은 모니터용 32/27 인치도 UHD 가 갑이다로 천하통일 된 분위기인데 뜬금...)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
17/08/12 20:41
수정 아이콘
크크 이 말은 맞습니다. 당장 쿨엔만 가봐도 24~34인치 선 모니터들도 화질이 깡패다라는 소리가 흐흐..
평행선
17/08/13 05:16
수정 아이콘
그 전문가가 그냥 대기업 디스플레이나 티비 관련 제조사 다니는 직원1은 아니겠지요?
55 UHD가 밑도 끝도 없이 돈낭비라니요;
매벌이와쩝쩝이
17/08/12 17:06
수정 아이콘
역시 아직은 인거군요.. 감사합니다
17/08/13 01:03
수정 아이콘
2000년 초에 HD방송 월드컵이랑 드라마 몇개 밖에 없으니 아날로그 TV 사라는거랑 다른게 없는말이네요
그리고 요즘 시대는 지상파 케이블만 볼려고 TV를 사는게 아니라 유튜브나 넷플릭스 같은 인터넷 기반 방송이나 PC연결해서도 많이 씁니다
방송에서만 UHD 소스가 나올꺼라고 생각하는건 구시대적 발상이죠
17/08/12 16:55
수정 아이콘
60인치나 65인치 fhd는 어때요?
매벌이와쩝쩝이
17/08/12 17:05
수정 아이콘
자금의 압박이.. 흑흑
무무무무무무
17/08/12 17:48
수정 아이콘
110만원이면 FHD 65인치 가능할텐데요?
매벌이와쩝쩝이
17/08/12 23:12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녀~ 부모님께 너무 크게 안느껴진다면 확
크게 65인치로 가는것도 좋겠군요...
17/08/12 17:05
수정 아이콘
저는 UHD쪽입니다. 티비화질은 패널과 보정엔진이 결정하고 요즘은 UHD 쪽이 가격이 더 비싸서 고급이 들어갑니다. HD 방송을 봐도 제 방의 32인치 FHD 보다 거실에 UHD의 화질이 훨씬 더 좋게 나옵니다.
다만 모델명을 확인하고 지나친 저가형 UHD는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매벌이와쩝쩝이
17/08/12 17:06
수정 아이콘
UHD 송출이 아니어도 차이가 느껴지는거군요...
신문안사요
17/08/12 17:10
수정 아이콘
28인치 UHD모니터 쓰고 있는데 27QHD보는순간 눈이 썪...는거 같아서 바로 환불하고 다시 UHD쓰고 있습니다. YTN이랑 연합은 뉴스니까 글자가 많아서 티가 많이 날꺼 같긴 하네요. 사람이 다운그레이드가 안되서 UHD 볼일이 먼 훗날에나 있다면 괜찮으실거에요. 잘 고민해서 사시길 바랍니다.
17/08/12 17:17
수정 아이콘
전 무조건 UHD 추천합니다..
이게 가격이 달라서 비교가 애매하네요..
박현준
17/08/12 17:37
수정 아이콘
Uhd 사서 10년 넘게 쓰세요.
매벌이와쩝쩝이
17/08/12 17:4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Zakk WyldE
17/08/12 17:49
수정 아이콘
UHD 영상 파일이나 유튜브 보시면 엄청 좋아요.
미네랄배달
17/08/12 18:03
수정 아이콘
저도 UHD
신문물을 체험하시죠.
매벌이와쩝쩝이
17/08/12 23:12
수정 아이콘
키이나
17/08/12 23:31
수정 아이콘
돈만 있으면 UHD로 가야죠. 티비보든 보정을 잘해줘서 화질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왠만하면 HDR 지원되는 티비로 가세요. 정말 돈값 합니다.
17/08/13 01:06
수정 아이콘
http://imgur.com/a/dZGRi

UHD는 진립니다
별빛이내린다
17/08/13 02:29
수정 아이콘
아... 아 글을 봤다면 uhd 샀을텐데ㅠㅠ 저는 fhd로 샀네요. uhd 경험은 없어서 fhd 화질로도 짱짱맨으로 느껴지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7233 [질문] 하스스톤 주문 중 '금단의 치유술' [5] 불같은 강속구3135 17/08/14 3135
107232 [질문] 노트북 질문입니다. [4] 시야2076 17/08/14 2076
107231 [질문] 휴대폰 구매 질문입니다. [4] 시야2081 17/08/14 2081
107230 [질문] 현 카스퍼스키 사용자 분들에게 질문입니다. [3] 박루미3645 17/08/14 3645
107229 [질문] 공공장소에서 자녀 관리를 하지 않는 부모는 어떤 입장인 것일까요...? [13] nexon3168 17/08/14 3168
107228 [질문] 남편이 살림을 도와주는데... 고민입니다 [28] 비싼치킨5010 17/08/14 5010
107227 [질문] 안과 정밀검사로 눈의 사시여부 알 수 있나요? [4] 생선가게 고양이1847 17/08/14 1847
107226 [질문] Hdd 5400 7200 소음 차이 심한가요? [6] 후루꾸5244 17/08/14 5244
107225 [질문] [직원채용] 경력 없는 신입이 이런 식으로 업무에 능통할 수 있나요? [11] 남자의일격3382 17/08/14 3382
107224 [질문] 피지알 외 자주가시는 사이트가 어딘가요? [11] LtD2707 17/08/14 2707
107223 [질문] 팟플레이어/한글자막이'?'만 나옵니다 cs2024 17/08/14 2024
107222 [질문] 목돈 단기 거치 관련 문의드립니다. + 대출문의 [4] 궁금해요궁금해1989 17/08/14 1989
107221 [질문] 커피메이커 같은 제품인데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 AsuRa1539 17/08/14 1539
107220 [질문] 지금 GTX1070을 사도 되나요? [3] 밐하2537 17/08/14 2537
107219 [질문] 헷갈리는 휴대폰 위약금 질문드립니다. [4] mdcrazy1509 17/08/14 1509
107218 [질문] 북경 쉐라톤 랑팡 호텔 근처에 놀만한 곳이 있나요? [4] 50b2099 17/08/14 2099
107217 [질문] 헬스장 질문드립니다. [5] 삭제됨1629 17/08/14 1629
107216 [질문] Gsl vs the world 다시보기 없나요?? [2] WeakandPowerless1582 17/08/14 1582
107215 [질문] 오른쪽 사이드미러가 떨어졌는데 그냥 둬도 될까요? [15] 칼퇴추구자3943 17/08/14 3943
107214 [질문] 자동차 가격은 얼마정도면 중간이고 비싼편인건가요? [20] Secundo3839 17/08/14 3839
107213 [질문] 핫스팟, 블루투스 테더링 질문드립니다. [4] 시오리2653 17/08/14 2653
107212 [질문] [PC] i5와 i7 차이 관련 질문입니다. [15] gL6361 17/08/14 6361
107211 [질문] 제네시스 마이닝의 비트코인 해쉬구입시 의문점 알고 싶어요. 임나영2865 17/08/14 28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