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8/10 20:44:40
Name nexon
Subject [질문] 아파트 청약할 때 면적은 어떤 것을 기준으로 하시는지요...?

안녕하세요...

제가 청약통장이 있어서 처음으로 아파트 청약이라는 것을 해보려고 하는데요..

면적이 84m2, 95m2, 115m2 이렇게 세 가지가 있던데 혹시 보통 어느 것이 당첨이 쉽고 어느 것이 인기가 많을지요...?;

부유한 사람이라면 그냥 면적이 넓은 것을 고를 것 같은데 그렇지 않다면 혹시 이런 것을 정하는 기준 같은 게 있는 건지 해서요..;


그냥 가족 수를 기준으로 2-3인 가구는 84, 4인가구는 95, 그 이상은 115 이렇게 하면 되는 것인지요...?

그리고 아파트청약할 때 주의점 같은 게 있을까요...? (모델하우스를 꼭 가서봐야 한다는 등...;)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롤링스타
17/08/10 22:02
수정 아이콘
아파트 청약은 보통 소형평수가 경쟁률이 높은데 분양하는 가구수나 특이점이 있다면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모델하우스는 당연히 가보시는게 맞고요. 직접 살 곳인데 방 구조는 보셔야지요.
저 같은 경우는 건설현장도 가서 보고 그랬습니다. 홍보 책자에는 너도 나도 교통 사통팔달 주변 환경 좋다고 하는데
직접 가보면 애매한 경우도 있더라구요.
그 밖에는 자금조달 관련해서 옵션(확장, 에어컨 등등) 비용이나 중도금 이자 후불제 등 잘 따져서 분양가 외에 추가로 드는 비용도 다 계산해서 무리없는 금액인지 확인하셔야겠죠.
저는 아직 총각이라 몇개 넣어본 건 다 떨어졌는데 앞으로는 가점제 비율이 높아진다고 하니 본인 청약점수도 꼼꼼히 챙겨보시고 아름다운 보금자리 찾으시길 바랍니다.^^
알카즈네
17/08/10 23:12
수정 아이콘
전용면적 85를 기준으로 세금이나 연말정산 혜택 등 달라지는 부분이 많습니다. 보통 59, 84를 중소형, 85이상을 대형이라고 합니다.
59형은 자녀가 없거나 1명, 또는 1인 가구에서 많이 선호하고, 84형은 자녀가 1~2명인 가정에서 많이 선호하며,
85이상의 대형은 여유자금이 있거나 자녀들을 넓은 집에서 키우고 싶어하는 가정에서 주로 찾습니다.
59, 84는 찾는 사람이 많아 입지만 좋다면 거래가 활발하고 가격도 잘 오르며,
85이상은 기회비용이 크고 수요가 적어 상대적으로 집값 상승에도 보이지 않는 벽이 있습니다.

아파트 분양 시 가점제와 추첨제가 있는데 가점제는 무주택기간, 부양가족 수, 청약 가입기간을 기준으로 점수를 매겨 높은 사람에게 주택을 분양하며
추첨제는 그냥 전산프로그램으로 추첨을 하여 당첨자를 뽑는 방식입니다.(가점제 탈락자는 자동으로 추첨제로 넘어갑니다.)
59와 84는 분양 시 가점제 40%, 추첨제 60%로 나눠서 당첨자를 선정하며, 85이상은 100%추첨을 하기에 가점이 의미가 없습니다.
또한 가점으로 당첨을 노리려면 가점이 84점 만점에 최소 40~50점은 되야하니 10년 이상 기를 모으고 계셔야 합니다.
점수가 도저히 안된다면 분양을 못 받는 건 아니고 앞서 말씀드린 추첨 60% 인원에 뽑히기를 기도하시면 되구요.

주의할 점으로 청약 시 가점 입력하는 항목에서 정확히 입력하지 않으면 나중에 당첨되더라도 부적격자로 당첨이 취소될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두번째로 최근 619, 82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세종, 부산, 수도권 일부지역에는 분양권 거래 및 중도금 대출에 애로사항이 꽃피게 된 지역도 있으니
본인의 거주지가 투기지역, 투기과열지역, 조정대상지역인지 살펴보고 어떤 규제가 있는지도 확인 후 청약에 도전하셔요.
17/08/11 07:45
수정 아이콘
@@ 자세한 말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7092 [질문] 월광보합 게임기 구매고려중입니다. [2] Hiddink3544 17/08/11 3544
107091 [질문]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영화 추천 해주세요 [38] janyel5016 17/08/11 5016
107090 [질문] [해외축구] ac밀란이랑 유벤투스 중 어디가 더 명문인가요? [33] 톰가죽침대5251 17/08/11 5251
107089 [질문] 핸드폰 암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 Anabolic_Syn2391 17/08/11 2391
107088 [질문] 첫차로 도전할만한 외제차 추천부탁드립니다 [26] 이센스8983 17/08/11 8983
107087 [질문] 이 고양이의 종이 뭔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18] Loved3680 17/08/11 3680
107086 [질문] 웹툰을 찾고 있습니다. [2] 이슬먹고살죠1843 17/08/11 1843
107085 [질문] [운동] 집에서 하는 운동 질문드립니다. [6] 꾸우3096 17/08/11 3096
107084 [질문] 종로나 대학로 쪽에 장어구이 괜찮은 곳 있을까요?? [1] 원스2350 17/08/11 2350
107083 [질문] 초밥집중에 은행골은 어느정도인가요? [16] 광고계정4454 17/08/11 4454
107082 [질문] 오사카 여행 가는데 선물 사올만한것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이수현이해인4499 17/08/11 4499
107081 [질문] 민사 소송 ( 이행권고 )관련 문의 [15] 삭제됨3810 17/08/11 3810
107080 [질문] 영양제 여러개를 살땐 어디가 좋은가요 [12] 아이오아이2487 17/08/11 2487
107079 [질문] g4600 와우 견적좀 봐주세요. [2] 미친여자친구4312 17/08/11 4312
107078 [질문] 통신요금및 핸드폰 기기값 무료 vs 모든 운송수단 무료 [11] 팩트폭격기1950 17/08/11 1950
107077 [질문] 국내 힙합 역대급 앨범?? [38] Kobe4225 17/08/11 4225
107076 [질문] 미술사 건축사에 대해 교양수준으로 재밋게 볼책 추천부탁드립니다 [6] 이워비1843 17/08/11 1843
107075 [질문] 서울 일식/횟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나래를펼쳐라!!2673 17/08/11 2673
107074 [질문] 2008년 수능등급제 질문드립니다. [23] 개망이2491 17/08/11 2491
107072 [질문] 컴퓨터조립시 질문드립니다. [1] jinoya21436 17/08/11 1436
107070 [질문] 사이버 포뮬러 뭔가 이상하지 않나요? [25] 이블린4808 17/08/11 4808
107069 [질문] [하스스톤] 오랫만에 복귀하는데 덱추천좀 해주세요 [7] 야수2021 17/08/11 2021
107068 [질문] 신입직원을 기존직원들이 도와줘야할 의무라는 것이 있을까요? [48] 마제스티6535 17/08/11 65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