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8/09 21:32:34
Name patio
Subject [질문] 군대에서 불침번이 왜 필요한가요?
일단 저는 불침번이 없는 군에서 생활했고
불침번 경험은 훈련소때가 전부입니다.

꺼라위키에서 불침번 항목을 읽고 왔습니다.

부대마다 디테일의 차이는 있겠으나 하는 일이 생활관 건물 복도 정중앙에서 대기(이동인원 확인?)
총기 확인, 경계근무자 깨우기 뭐 이정도인거 같은데요.

제가 군생활 하던곳은 저녁점호 직전에 당직병이 총기 개수 확인 했고, 경계근무는 평상시엔 없었지만 가끔 해야 할 때가 있었는데 그때도 당직병이 돌아가면서 깨웠거든요. 새벽에 상하번 근무자들도 당직병이 깨웠구요.

항목을 읽다보니 든 생각이 불침번이 따로 없어도 당직병이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인데 왜 불침번이 존재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알기론 육군 병사들의 추가 근무가 외곽경계근무 + 당직근무 + 불침번으로 알고 있는데 불침번만
없어져도 수면의 질이 더 쾌적해지지 않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8/09 21:33
수정 아이콘
자대에선 안하지 않나요? 저도 훈련소때 말곤 하는거 못봤는데
17/08/10 01:25
수정 아이콘
자대에서 불침번이 없었다고요???
컬쳐쇼크네요 덜덜
최초의인간
17/08/09 21:37
수정 아이콘
불침번의 가장 큰 임무는 막사 내 비무장경계가 아닐까요. 외곽경계근무자가 있으면 막사 내 인원이 부대 밖으로 탈출하는 경우는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겠지만, 외곽경계까지 가지 않은 채 발생하는 자해나 자살 같은 사건은 막기가 어려우니, 당직 외에 배치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저희 부대 같은 경우는 막사의 구조나 규모 상 습도 유지 등을 위해서도 불침번이 더더욱 필요했던 것 같고요.
안녕사랑아
17/08/09 21:38
수정 아이콘
저는 군생활 할때 탈영병이나 자살하는 사람 생기는걸 막으려는 목적이라고 배웠네요
17/08/09 21:39
수정 아이콘
유동병력을 감시하는게 주목적 아닐까요. 저희 부대는 화장실이 막사 바깥에 있어서 당연하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릅니다만...
영원한우방
17/08/09 21:41
수정 아이콘
이래서 꼭 필요합니다, 라고 설명할 자신은 없지만, 제가 있던 부대는 불침번 둘, 행정반에 당직병이랑 당직사관 이렇게 있었는데요. 당직병이랑 당직사관도 외곽 순찰 근무를 돌아야 해서(1중대 당직사관이랑 본부중대 당직병, 이런 식) 불침번이 없으면 곤란한 상황이 있었을 거 같아요. 행정반에 당직사관이나 당직병 한 명은 꼭 있어야 하니까요. 행정반 상황도 신경쓰면서 당직병(아마도 거의 모든 일을 다...)이 소대 상황 등을 같이 확인하긴 힘들 듯?
17/08/09 21:46
수정 아이콘
달아주시는 댓글들을 보다보니 제가 생활했던 부대 기준으로만 생각했던게 아닐까 싶네요.

생활관 복도 정중앙에 당직실이 따로 있었고 거기서 유동인원들이 지나가는게 다 감시가 가능했거든요.
CCTV도 있었고....
17/08/09 21:49
수정 아이콘
저도 군생활할때 자다 일어나서 이게 뭐하는 짓인가 많이 생각했었죠
공군은 불침번 없이 당직근무자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는걸 알고 컬쳐쇼크 이게 훨씬 낫다고 생각했네요
1perlson
17/08/09 22:59
수정 아이콘
음 불침번 했는데요 저희는다른 표현인가? 생활관
건물 가운데에서 입구 보면서 했습니다. 공군은 경계근무가 없습니다. 경계근무는 헌병이 하구요.
물리만세
17/08/10 01:18
수정 아이콘
방포는 포상 경계근무를 다른 특기도 지원 나가요...
미카엘
17/08/09 21:51
수정 아이콘
유동병력 통제 목적이죠. 불침번이 없는 부대도 있는지는 몰랐네요;;
이블린
17/08/09 21:57
수정 아이콘
저도 오히려 불침번이 없는 군이 있다는게 충격이네요
냉정하게 생각하면 진짜 비합리적이긴 한데
2년간 했던 기억이 무섭긴 하나봅니다
17/08/09 22:08
수정 아이콘
훈련소 기준으론 자살하는 사람 막는게 가장 큰 목적인걸로....
17/08/09 22:21
수정 아이콘
공군은 불침번을 서지 않죠
Adam Lallana
17/08/09 23:17
수정 아이콘
있는곳은 있었습니다
17/08/09 23:19
수정 아이콘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만 (저도 공군인데 불침번을.... 흑)
이재인
17/08/10 00:47
수정 아이콘
저희부대는섯습니다
CoMbI COLa
17/08/09 22:23
수정 아이콘
병력 통제 및 관리가 목적이죠. 당직병과 당직사관(하사?)는 당직실에 있고 가끔 순찰이나 도는 수준인데 생활관 내에서 환자가 생기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불침번이 있는게 훨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겠죠. 물론 불침번 서면서 매 시간 생활관 들어가서 문제 없는지 확인하는 초FM 병사가 어디 있겠습니까만은...
위원장
17/08/10 00:03
수정 아이콘
불침번이 계속 돌아다니면서 병력 체크해야죠. 당직병 혼자서 그거 다 못합니다.
내무실에 물도 뿌려주고 온도도 체크해야되구요. 자다가 일어나서 화장실을 가거나 씻거나 라면을 먹거나 하는 인원들도 다 체크해야되고...
당직병은 게다가 총기분출할때 키따주고 탄창도 챙겨줘야죠.
제가 있던 대대는 근무 서는데가 3군데였는데 3군데가 교대시간도 제각각이어서 계속 근무인원 들락날락하고...
물론 날로 하기 때문에 불침번은 근무병 깨울때만 일하고 당직병은 쳐자고 있는게 현실이지만...
이재인
17/08/10 00:47
수정 아이콘
준전시상황이라뭐 어떤일이일어날때를대비한 보조역활이죠
R.Oswalt
17/08/10 02:57
수정 아이콘
병력 관리 및 통제. 탈영, 인명사고 등을 방지하고, 혹여나 화장실에 들어갔는데 10분 이상 나오질 않으면 빠르게 확인하여 생명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사실 지금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밤새 연등을 하든, tv를 보든 상관 없죠. 근데 10시 넘어서 안 자고 그러다가 전시 또는 준전시 상황이 발생하면 그 전날 제대로 된 취침을 하지 않은 인원은 다음 날 제대로 된 전투력을 갖지 못합니다. 전투력 보존과도 연결 지을 수 있어요.
17/08/10 17:54
수정 아이콘
일단 제가 있던 부대도 cctv도 있고 당직병도 있었습니다만, 불침번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든게, 일단 중대병력이 원체 많아 그 많은 근무자들을 당직병이 다 깨울수가 없고, 당직병 본연의 역할도 꽤 있어서(하루일지작성, 격오지보고, 총기키 분출, 미니탄약고키 등등)불침번을 볼수가 없는 구조였습니다. 게다가 근무종류가 많고 시간대가 미묘하게 달라 한번에 다깨울수도 없었고.. 무엇보다 인원이 많다보니 유동병력 관리가 전혀 안됩니다. 화장실인원 근무후 취식인원 씻는인원 담배태우는인원 등등해서요. 불침번은 꼭 필요한 근무라고 생각이듭니다.
17/08/10 18:01
수정 아이콘
저 있던 부대중 한 군데는 불침번 없었습니다. 최전방 소초같은데는 아마 당직병이 다 할거같은데요.
고마아주라
17/08/10 19:05
수정 아이콘
포천 일동면에 있는 전투 부대였는데, 불침번 없었습니다.
당직병+당직사관이 다 했었네요. 외부 순찰은 옆생활관 당직근무자들이랑 크로스로 해서 나갔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7098 [질문] 커리어와 지원분야의 상관성 강희최고1729 17/08/11 1729
107097 [질문] 스타1 같이하실 분 계신가요? [5] 계란말이2070 17/08/11 2070
107096 [질문] 썸녀와 잘 되게 도와주세요~ [19] 해병쫓는사도5633 17/08/11 5633
107095 [질문] 스타2 정예를 가고싶습니다. [10] 샤워후목욕2066 17/08/11 2066
107094 [질문] 카페에 생일케이크 들고 가면 비매너겠죠? [19] 김블쏜10205 17/08/11 10205
107093 [질문] 하스스톤 어떤덱이 좋은 것 같나요 [2] 하나3471 17/08/11 3471
107092 [질문] 월광보합 게임기 구매고려중입니다. [2] Hiddink3540 17/08/11 3540
107091 [질문]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영화 추천 해주세요 [38] janyel5012 17/08/11 5012
107090 [질문] [해외축구] ac밀란이랑 유벤투스 중 어디가 더 명문인가요? [33] 톰가죽침대5243 17/08/11 5243
107089 [질문] 핸드폰 암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 Anabolic_Syn2374 17/08/11 2374
107088 [질문] 첫차로 도전할만한 외제차 추천부탁드립니다 [26] 이센스8971 17/08/11 8971
107087 [질문] 이 고양이의 종이 뭔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18] Loved3676 17/08/11 3676
107086 [질문] 웹툰을 찾고 있습니다. [2] 이슬먹고살죠1839 17/08/11 1839
107085 [질문] [운동] 집에서 하는 운동 질문드립니다. [6] 꾸우3090 17/08/11 3090
107084 [질문] 종로나 대학로 쪽에 장어구이 괜찮은 곳 있을까요?? [1] 원스2342 17/08/11 2342
107083 [질문] 초밥집중에 은행골은 어느정도인가요? [16] 광고계정4446 17/08/11 4446
107082 [질문] 오사카 여행 가는데 선물 사올만한것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이수현이해인4475 17/08/11 4475
107081 [질문] 민사 소송 ( 이행권고 )관련 문의 [15] 삭제됨3785 17/08/11 3785
107080 [질문] 영양제 여러개를 살땐 어디가 좋은가요 [12] 아이오아이2482 17/08/11 2482
107079 [질문] g4600 와우 견적좀 봐주세요. [2] 미친여자친구4291 17/08/11 4291
107078 [질문] 통신요금및 핸드폰 기기값 무료 vs 모든 운송수단 무료 [11] 팩트폭격기1941 17/08/11 1941
107077 [질문] 국내 힙합 역대급 앨범?? [38] Kobe4217 17/08/11 4217
107076 [질문] 미술사 건축사에 대해 교양수준으로 재밋게 볼책 추천부탁드립니다 [6] 이워비1839 17/08/11 18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