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8/03 02:33:08
Name rlaehdwns
Subject [질문] 전과만 보고 대학선택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현 고 3학생입니다. 먼저 말씀드리면 고2 때까지는 공부에 그렇게 흥미를 느끼지 못해 시험 1주일 전에만 공부하는 식으로 대충대충 해왔습니다
그러던 중 2학년 때 꿈이 생겼고 2학년 말부터 제대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현 성적은 그리 높지는 않습니다. 목표대학은 지방거점 국립대학 하위권입니다. 제가 가고 싶은 분야는 자연과학 분야인데요
정시 때 좋은 결과가 나오면 좋겠지만 수시 기준으로 그 학과에 입학할 성적은 못 미친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 가고자 하는 대학 이하라면 메리트를 크게 느끼지 못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일단 하위학과를 쓴 후 (수시 합격한다면) 2학년 때 제가 원하는 학과로 전과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취업과는 거리가 좀 있는 자연과학 분야라서 전과 경쟁은 비교적 치열하지는 않을 것 같은데 그래도 좀 불안하네요.
취업보다는 제 꿈을 보고 가는 학과라 만약 전과가 실패한다면 뒤가 상당히 막막해질 것 같습니다 .
낮춰서 입학하려는 학과는 환경공학과인데 진로 생각은 없지만, 관심은 있던 분야라 경험이라 생각하고 1년 동안 열심히 공부하는 건 문제없을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전과를 노리고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재수할 각오하고 정시로 승부를 봐야 할까요?
(정시 등급을 조금 더 높이면 제가 원하는 학과 진학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부모님이 재수를 반대하시네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몬커피
17/08/03 02:54
수정 아이콘
괜찮은지에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우선 학과별로 전과가능인원이 정해져있고 아예 전과를 받지 않는 학과도 있습니다. 전과 기준도 보통은
학점+@지만 다른 경우일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상당히 고학점을 받아야 전과가 가능할수도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 대학 규정을
자세히 확실히 알아보시는게 중요할거같네요
낙일방
17/08/03 07:26
수정 아이콘
제가 다니고 있는 지거국은 자율전공이란게 있었습니다. 이게 좀 낮아서 자연자율전공으로 들어와서 전자로 건너오는 친구들이 있었는데 입결을 비교해보시는건 어떨까요. 자전이랑 자연대랑은 큰차이는.안날거 같기는 한데..
17/08/03 08:02
수정 아이콘
자전이 보통 입결 더 높지않나요?
17/08/03 08:58
수정 아이콘
전과를 노리고 진학 하는건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네요. 진학 후 열심히 한다고 전과가 보장 되는것도 아니고 사람이란게 현실에 안주하게 되어있어서..남은 기간 정말 열심히 하시는게 후회도 덜 하지 않을까요? 정 안되면 정시로 진학하셔서 전과하는 방법도 있구요.
17/08/03 09:04
수정 아이콘
전공을 최소로 듣고 교양을 꽉 채워서 학점 쉽게따고

중간,기말고사 남보다 미리미리 빡공부 한다는 전제가 있으면 되긴 합니다만 이게 막상 들어가면 쉬운게 아니라 ...
it's the kick
17/08/03 09:27
수정 아이콘
난이도: 재수<<전과<<<<편입 입니다.
대학 관련 진로는 더 이른 단계에서 바로잡을수록 쉬워요. 물론 재수가 쉽다는건 아니지만, 뒤에 두개보단 쉬울겁니다
바라는대로
17/08/03 11:27
수정 아이콘
전과라는게 변수가 많은거라 어떻게 될지 몰라서 추천드리고싶진 않네요. 만약 전과를 목적으로 입학하셨는데 전과 못하시고 수능보기도 싫으시다면 할 수 없이 복수전공이라도 하시는게 좋을거같네요
17/08/03 12:46
수정 아이콘
역대 경쟁률 살펴보세요. 쉬운학교가 있고 쉽지않은학교가 있으니.. 지거국은 쉽지 않다고는 들었습니다.. 근데 인서울이나 수도권사립대는 널널할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6676 [질문] 집에서 쓸 공유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2] 히을3426 17/08/04 3426
106675 [질문] 외국 영화 한 편을 찾고 있습니다. [2] 오고고럽1753 17/08/04 1753
106674 [질문] 요즘 프로게이머선수들의 연봉은 어느정도 선인가요? [12] 달타냥3690 17/08/04 3690
106673 [질문] kt 인터넷 이전신청 랜선구축 [2] 단맛2009 17/08/03 2009
106672 [질문] 직장 vs 자영업 조언부탁드립니다. (내용삭제완료) [59] 마션3746 17/08/03 3746
106671 [질문] 시뮬레이션 게임 추천해주실수있나요? [7] 다크템플러8922 17/08/03 8922
106670 [질문] 컴퓨터 전원이 안들어오네요.. [7] 상록수1860 17/08/03 1860
106669 [질문] 명탐정 코난 언제쯤 끝난다는 얘기 있나요? [9] 불굴의토스3357 17/08/03 3357
106667 [질문] 태블릿 구입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5] AminG2465 17/08/03 2465
106666 [질문] 천장에 구슬 굴러가는 소리 [1] 삭제됨3066 17/08/03 3066
106665 [질문]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유닛 위에다 커서를 갖다 놓으면 커서 크기가 확 작아집니다ㅠㅠ [1] 윾쾌한놈2873 17/08/03 2873
106664 [질문] 원래 있던 마통을 없앴는데... 카뱅 마통 예상 한도가 줄었습니다. [6] 회색사과3807 17/08/03 3807
106663 [질문] 조립pc 및 노트북 대여 질문드립니다 흥함냉면1877 17/08/03 1877
106662 [질문] 이 사양으로 스타1 리마스터 되는가요? [2] RedSkai2104 17/08/03 2104
106660 [질문]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도 종횡비 설정할 수 있는가요? [3] 윾쾌한놈2468 17/08/03 2468
106659 [질문] SKT입장에서 롤드컵선발전 경우의 수가 궁금하네요 [20] 리들2659 17/08/03 2659
106658 [질문] 광주 사시는 분 맛집 좀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핸드레이크2432 17/08/03 2432
106657 [질문] [연예] 워너원 멤버들은 얼마나 벌까요? [10] tannenbaum4153 17/08/03 4153
106656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입니다 [1] 삭제됨2050 17/08/03 2050
106655 [질문] [스타2] 차관으로 광전사 소환시 드래그 [2] Artanis1409 17/08/03 1409
106654 [질문] 키보드 물청소 해도 되나요? [6] ColossusKing8849 17/08/03 8849
106653 [질문] fm2017 질문(나비케이타 포지션) [3] 콜센터남3151 17/08/03 3151
106652 [질문] 피부과 레이저 질문입니다. 영원한우방1398 17/08/03 13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