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7/28 15:54:12
Name 콩탕망탕
Subject [질문] 가망없는 승부에서 기권하는게 미덕인 스포츠가 있을까요?
제목이 곧 질문 내용입니다.
보통 대부분의 스포츠에서는 스스로 기권하는 사례가 없죠.
전반전에 이미 10골을 먹은 축구 경기에서도, 7회쯤 되었는데 이미 20:0쯤 된 야구 경기에서도.. 2진을 기용하거나 패전처리 투수를 올리더라도, 아무튼 스스로 경기를 졌다고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아마도, 비록 경기를 지더라도 한점을 더 따라가는 것이, 투지를 잃지 않는것이 미덕이라 보기 때문인듯 합니다.
그러나, 바둑이라면 얘기가 좀 다릅니다. (바둑이 스포츠에 포함되는지는 여기서 논외로 합니다)
바둑은 오직 승/패를 따지기 때문에 초장에 대마가 잡혀서 만방이 나는 경우와(보통 100집 이상 큰 차이로 지는걸 이렇게 표현합니다)
눈터지는 계가바둑이 되어서 반집을 지는 경우가 결과적으로 차이가 없습니다.
즉, 반집을 지나 10집을 지나 100집을 지나 차이가 없다는 말입니다.
그 때문인지 바둑에서는 선수 본인이 생각하기에 역전할 가능성이 없다고 보는 상황에서는 스스로 패배를 인정하고 기권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통 "돌을 던진다"라 표현하고, 선수마다 돌을 던지는 시기를 결정하는 방식에서 조금씩 차이를 보이기도 하고, 던져야 할 때 던지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 선수는 종종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이 부분에서 다른 스포츠와는 큰 차이가 있죠. 마라톤 선수는 5시간이 넘어서 꼴찌를 해도 완주에 의미를 두기 때문에 칭송을 받고, 큰 점수 차이로 뒤지는 경기에서 마지막까지 열심히 뛰는 선수도 최선을 다한다고 칭찬을 받을 테니까요..

이런 식으로, 패배가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스스로 패배를 인정하고 기권할 수 있는 스포츠가 또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isZero
17/07/28 15:58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랑 리그오브레전드요. 이스포츠도 포함된다면 말입니다만.
[수정] 리그오브레전드는 빼는게 나을 수도 있겠네요. 기권이 가능하지만 그게 미덕은 아니니까요
요새는 서렌치면 욕먹는 것 같기도 하고.
콩탕망탕
17/07/28 16:09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는 그렇군요. (롤은 제가 잘 몰라서 패스..)
본진이 털리는게 확실한 상황이거나 정황상 엘리미네이션이 코앞에 있는 상황일때 gg 치는게 바둑에서 돌을 던지는거랑 비슷한 개념이네요.
17/07/28 15:58
수정 아이콘
스타나 롤이요
17/07/28 16:01
수정 아이콘
권투?
minyuhee
17/07/28 16:05
수정 아이콘
권투 같은 대전물이면 기권할때가 되면 해야죠. 기원안하고 사망한 사람이 여럿이니.
콩탕망탕
17/07/28 16:13
수정 아이콘
근데요, 권투는 선수 본인이 "내가 졌소"하고 의사표시를 하는건 아니잖아요?
선수의 코치나 팀닥터가 수건을 던져서 경기를 포기하는 경우는 있지만.. 약간 경우가 다른듯 합니다.
UFC 같은 격투기에서 관절기에 제대로 걸려서 빠져나오는게 불가능하다 싶을때 탭을 치는 경우는 스스로 패배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비슷해 보입니다.
음해갈근쉽기
17/07/28 18:01
수정 아이콘
권투도 종종 있어요

스탠딩 다운때 카운터를 세면서 심판이 직접 의사를 묻기도 하고

선수가 세컨한테 눈빛으로 포기의사를 전하면 세컨이 수건을 던지죠

반대로 세컨이 판단하에 던지고도 하고

그외에도 라운드마다 쉬는 타임때 세컨이랑 상의해서 포기의사를 전하기도 합니다

1대1 스포츠에서는 바둑처럼

본인이 경기상황을 봐서 부상이라든지 기량이 압도적으로 차이나서

도저히 이길 가망이 없을때

스스로 경기포기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17/07/28 16:08
수정 아이콘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방송 해설자가 칭찬하는 이유는 채널돌리지 말고 계속 시청율 올려달라는 뜻으로 생각합니다
멸천도
17/07/28 16:11
수정 아이콘
축구는 몰라도 야구는 정말 한회만에 10점 넘게도 뽑는게 가능해서 9회말 2아웃까지 9:0으로 지고있다가도 9:10으로 이길 수 있습니다.
인간_개놈
17/07/28 17:27
수정 아이콘
이론상만 가능하지 9회말 9점차 역전은 없는걸로..(KBO기준)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250995

이론상이면 사실 축구도 5분만에 5골 넣고 역전 가능하죠
상대방 공 뺏고 골넣고 다시 뺏고 넣고 하면 되니까요
야구만의 특징은 아닌걸로
17/07/28 19:10
수정 아이콘
축구는 시간제한이 있지만 야구는 시간제한이 없잖아요.
17/07/28 16:10
수정 아이콘
컬링요. 이쪽은 오히려 이길 가망이 없는 경기를 계속하는게 비매너 취급당한다고..
콩탕망탕
17/07/28 16:15
수정 아이콘
오.. 컬링을 제대로 본 적이 없어서 몰랐네요.
그러면.. 패배를 어떤 방식으로 인정하나요? 말로 하나요? 우리가 졌습니다. 이렇게요? 나름의 어떤 방식이 있을듯 한데요..
방향성
17/07/28 16:21
수정 아이콘
바둑..
17/07/28 16:35
수정 아이콘
괜히 이병민 선수가 생각나네요... gg치는 타이밍 원탑이었던 명경기 명마무리 제조기..
정지연
17/07/28 16:47
수정 아이콘
궨트..?
17/07/28 16:49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이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7/07/28 16:55
수정 아이콘
종합격투기요. 기권 안하면 불구가 되거나 목숨이 위험하죠. 탭 해야한다, 왜 탭 안하냐라는 말도 잇으니..
회전목마
17/07/28 17:53
수정 아이콘
농구의 가비지타임이 생각나네요
덕베군
17/07/28 19:44
수정 아이콘
사실상 말그대로 불계패라는게 있죠
해피바스
17/07/29 06:11
수정 아이콘
오버워치요.
'한조 대기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6458 [질문] 스타크래프트 관련 웹소설 질문(정말 궁금함!) [2] Love♥Toss3024 17/07/30 3024
106457 [질문] 승용차 운전석에 팔걸이~?! [6] MagicMan3071 17/07/30 3071
106455 [질문] 1달 된 여자친구 생일선물 뭐가 좋을까요? [10] 사구삼진4865 17/07/30 4865
106454 [질문] 튼튼한 무지 티셔츠 브랜드나 사이트 부탁드립니다~ [9] 여자친구3115 17/07/30 3115
106453 [질문] PC방에 과자 가져가서 먹어도 되나요? [15] WhiteBerry4863 17/07/30 4863
106452 [질문] 김해 ~ 강원도 가는길에 들려볼 만한 곳과 강원도 정선 근처 가볼곳.. [5] 삭제됨2356 17/07/30 2356
106451 [질문] 시계줄 교체 질문 [4] DogSound-_-*2415 17/07/30 2415
106450 [질문] 휴대폰 유심기변 질문입니다(문자수신) 스카이바람2766 17/07/30 2766
106449 [질문] 저가 와이셔츠 브랜드 추천부탁드립니다. [7] Cherish4662 17/07/30 4662
106448 [질문] 아버지랑 사이가 좋은 아들은 얼마나 되려나요 [37] 머리띠7244 17/07/30 7244
106447 [질문] 공포영화 평점이나 순위 모아놓은 사이트 있을까요? [3] 신용재3832 17/07/30 3832
106446 [질문] pgr회원분들은 같이 게임 같이 할 친구가 많으신가요? [21] 자전거도둑3326 17/07/30 3326
106444 [질문] 보통 차 사고 나면 얼마만에 연락오나요? [6] 삭제됨2606 17/07/30 2606
106443 [질문] 혹시 지금 pc방에서 스타 하시는분 계신가요? [2] rDc662432 17/07/30 2432
106441 [질문] 인터넷 공유기 연결 질문입니다. 소라카1331 17/07/30 1331
106440 [질문] 골프 8세대 정보 풀린게 좀있나요? [2] 아재2252 17/07/30 2252
106439 [질문] 오사카 여행 준비물 뭐 있을까요?(8.3~6) [32] 나는미나리좋아해3495 17/07/30 3495
106438 [질문] 중고차 구입하려고 합니다. [3] Notorious2295 17/07/30 2295
106436 [질문] 호칭 관련 질문입니다. [9] wish buRn2625 17/07/30 2625
106435 [질문] 500-1000사이의 실용적인(?) 펀카가 뭐 있을까요? [32] 삭제됨3701 17/07/30 3701
106434 [질문] 핸드폰의 자료 옮기고 싶습니다 [4] 틀림과 다름2330 17/07/30 2330
106433 [질문] 넨드로이드 구입 [1] 귤마법사1745 17/07/30 1745
106432 [질문] 백팩 추천 부탁 드립니다. WOGUS881546 17/07/30 15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