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7/26 11:40:55
Name Everlas
Subject [질문] 후방추돌사고 사후처리 질문드립니다
어머니께서 오늘 아침에 출근하시다가 추돌사고를 당하셨습니다.
사거리에서 우회전 하던 중 직진 차량 확인하시느라 서행/정지하고 계시던 상황이었는데 뒷차가 브레이크등 확인 못하고 그대로 박아버렸다고 하네요.
가해차량은 전방 우측 범퍼가 손상되었고, 저희 차량은 트렁크쪽 범퍼에 충격을 받아 손상된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바로 전화받고 현장으로 가서 어머니께서 놀라셨을 거 같아서 좀 진정시켜 드리고 상대 보험사 직원이 와서 이런 저런 서류 접수하는 걸 보았지만, 정신이 없어서 서류가 어떤 내용에 관한 것인지 제대로 확인을 하지는 못했습니다.
어머니께서 병원가서 검사와 치료를 좀 받는다고 하니 상대 보험사 직원이 접수번호는 알려줬고, 제가 운전해서 어머니 모셔다 드리고 집 앞에 주차시켜 놓았습니다.
근데 저도 그렇고 어머니도 그렇고 자동차 사고 경험이 없고 경황이 없어서 제대로 처리를 한 건지 모르겠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1. 이런 후방 추돌 같은 경우 상대과실이 100%가  맞나요?

2. 상대 보험사 직원이 와서 저희 차량과 가해차량을 촬영하였고 어머니께서 목이나 허리쪽 근육이 놀란 거 같아서 병원가서 검사 좀 받겠다고 하니 접수번호를 알려주면서 병원가시라고 했습니다. 접수번호 받았으면 대인접수 된 거고 과실 100% 인정한 것으로 봐도 되는 건가요?

3. 어머니께서 우리차 보험사에도 일단 연락은 해놨다고 했는데 직접 해결하려 하지 말고 보험사끼리 서로 얘기하도록 하는 게 더 나은가요?

4. 차는 일단 제가 가지고 와서 집 앞에 주차시켜 놨는데, 정비소에는 제가 직접 맡기면 되나요? 아니면 보험사 직원 불러서 정비소에 맡기고 렌트하게끔 하는 게 나은가요? 검색을 좀 해 보니 이렇게 하면 보험사에서 알아서 차량 맡기고 차 없는 기간 동안 사용할 렌트카도 부르고 다 해주기 때문에 특별히 불편하고 번거로울 일은 없다고 하는데 이렇게 하면 되는 건가요?

5. 이런 사고의 경우 언제 합의해야 하고, 합의금은 어느 정도 받으면 되는 건가요? 그리고 합의는 어떻게 진행하면 될까요?

6. 그 외 사고 후에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상한우유
17/07/26 11:44
수정 아이콘
상대방 과실 100퍼로 보이구요. 그럼 우리 보험사에선 할 게 별루 없어요.

병원 가셔서 치료 잘 받으시고, 수리 잘 하시고 합의 잘 보시면 됩니다.
17/07/26 12:06
수정 아이콘
1. 대부분 100%, 하지만 상황따라 다르죠
2. 대인접수와 100%는 별개입니다
3. 네, 그러라고 보험 드는거니깐요, 나중에 결과 알려줄때 동의 못하겠으면 그때 이의 제기해도 됩니다.
4. 편하실대로 하시면 됩니다.
5. 치료 다 하고 합의하면 됩니다. 미리 합의 할거면 조금 더 줄거구요
6. 사고라는게... 대형 사고가 아닌 이상 가해자와 피해자가 항상 말이 다릅니다. 요즘 마디모 프로그램도 잘 되어 있어서 가벼운 접촉 사고의 경우 피해자가 너무 쎄게 불러서 가해자가 거부 할 경우 오히려 보상이 안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실 분은 아니겠지만, 후방 추돌이니 이 기회에 제대로 뽕 뽑아야겠다.. 이런 생각은 하지 마시고, 대신 치료는 아프다면 급하게 합의하지 말고 충분히 받으세요
산성비
17/07/26 12:07
수정 아이콘
1. 사고 처리 나온 보험사 직원에게 물어 보시면 됩니다. 정차 중에 추돌이면 가해차량 100% 나옵니다.

2. 사고 접수 번호 메모해 두시면 되고 대인 대물 두 가지 다 접수 되었는지 확인 해보세요 병원 가신다고 처음부터 말씀하셨으면 대인도 되어있겠네요
병원가시면 접수번호만 아시면 안되구요 진료비납입확인서? 명칭이 정확히 기억이 안나네요 보험사에서 병원에 팩스 보내야 진료 받으실 수 있어요

3. 가해차량측 대인 대물 직원이 전화할텐데 어떻게 하실지 생각을 해두시고 대답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4. 차를 꼭 안 고쳐도 되겠다 싶으면 미수선 처리 하셔도 되고요 정비소 가시게 되면 연결된 렌트 업체 정비소에서 불러줍니다.

5. 대물은 책정된 수리비 렌트비 정비소 렌트업체 보험사 서로 알아서 할 것이고 대인피해 부분은 병원 다니시면 대인 담당이 전화 할 거에요
몸이 편찮으시면 병원 진료 잘 받으시면 됩니다. 보통 입원 안 하시면 2주 진단 잡고 합의 이야기 나올텐데 하루 교통비 8천원 진료비 2만원 선에서
2주치 잡고 위로금 조로 +얼마 한 50정도 부를 겁니다.
겨울삼각형
17/07/26 12:15
수정 아이콘
1. 일단 경찰서에 사고신고하세요.
2. 그리고 우리쪽 보험에도 연락하세요.

3. 그뒤처리는 우리쯕 보험이랑만 이야기하시면 되요.
17/07/26 12:39
수정 아이콘
혹시 다른말 나올지 몰라서 보험사 사고접수는 하는데 상대방 (&보험사)이 과실 100퍼 인정하면 접수취소하면 되고요. 대인접수는 과실 100퍼랑은 별로 상관없는데 치료 받으실만큼 받으시고 합의하시면 될겁니다. 합의는 정해진건 없고요. 일단 통원치료 꾸준히 받으시다 보면 상대 보험사에서 먼저 연락 와서 선제시 할 거구요. 어느정도까지는 더 붙여서 역제시 해도 될겁니다. 보험사 직원이랑 통화할때 불편하신 점 잘 말씀드리면 됩니다. 차량은 2년 이내 출고차라면 감가상각 보상 되니 알아보시구요. 차가 꼭 필요하다면 렌터카를 빌려주지만 아니라면 수리기간동안 휴차보상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만 많은 액수는 아닙니다 (3~4만원/일).
바닷내음
17/07/26 13:12
수정 아이콘
이미 많이 알려진 내용이긴 합니다만 합의는 쉽게 하지마시고
어머니 혹시 이상이 없는지, 후유증이 나중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천천히 시간을 두고 보셨다가
치료할 거 다 하고 하시길 바랍니다.
합의하는 순간 치료비는 더 안나옵니다.
17/07/26 15:41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제가 같은 사고를 당해서 제가 합의본 내용 토대로 답변 드립니다.
1. '정지'해 계셨다면 보통 100%나옵니다.
2. 과실 100% 인지는 대인접수 한것만으로는 알수 없구요 (10:90 이어도 서로 대인접순느 할수 있으니) 보험회사 전화해보시는게 확실할 겁니다. 근데 아마 100%일 것 같네요.
3. 보험사끼리 얘기하도록 하되 어머님 또는 글 작성자 분이 보험사 측에 전화하셔서 정확히 어떻게 합의하기로 했는지 (저는 크게 다친건 없어서 상대과실100%+대인(병원비 30만원)으로 퉁쳤습니다) 파악하시면 됩니다.
4. 특별히 평소에 다니던 정비소 없으시면 그냥 보험사 연결하는데 가는게 편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저 있는데로 차도 가지러 오고 굉장히 친절하더라구요.
5. 저 같은 경우는 목 근육 뭉친 것 밖에 없어서 30만원(물리치료비+교통비) 받고 퉁쳤습니다. 어머님 몸상태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요 별 문제 없으시면 일정 금액 현금 받고 끝내는 것도 괜찮습니다. 혹시 많이 아프시면 위에분들 말씀처럼 최대한 치료받을것 다 받고 하세요.
6. 제가 봤을때 다른 것보다 보험사 전화해서 어떻게 얘기되고 있는지 파악하는게 제일 급선무인 것 같네요. 상대과실 100프로로 합의 되었는지(어머님 과실이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어머니가 아프신데 대인은 어떻게 할지(어머님 과실이 있으신 경우 대인 없이 상대과실 100프로 이렇게 퉁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렌트 같은 거는 할지(어머님 과실이 있는 경우 교통비 받고 끝내는 경우도 있더군요) 등을 자세히 얘기해보는게 좋습니다. 친절하게 얘기해 줄 거에요.
17/07/26 16:38
수정 아이콘
댓글달아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일단 차량은 상대 보험사에서 연락와서 가지고 갔구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과실비율 정도만 확인하면 될 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6380 [질문] 30대후반 솔로남 휴가 추천받습니다..ㅠㅠ [7] 양파냥3212 17/07/28 3212
106379 [질문] kt인터넷에서 전화왔는데 [3] slo starer3134 17/07/28 3134
106378 [질문] 이것의 이름이 뭔가요?(사진첨부) [4] 달토끼2939 17/07/28 2939
106377 [질문] 카카오뱅크 정기예금을 하려는데 [9] 삭제됨4843 17/07/28 4843
106376 [질문] 강남~신사 사이 맛집 추천해주세요 [3] 현실적인2294 17/07/28 2294
106375 [질문] 액션캠에 대해 조언 주실 수 있으신 분 계신가요! [8] 똘빼2380 17/07/28 2380
106374 [질문] 유머게시글을 찾고 있습니다. [2] 낭만원숭이1648 17/07/28 1648
106373 [질문] 최저임금 상승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32] 0014789 17/07/28 4789
106372 [질문] 지방 사시는 부모님이 서울 오셨는데 갈 만한 곳/식당 [4] 개미핥기2221 17/07/28 2221
106371 [질문] 가망없는 승부에서 기권하는게 미덕인 스포츠가 있을까요? [21] 콩탕망탕3754 17/07/28 3754
106370 [질문] 공유기 관련 문의드립니다. [5] info21c2158 17/07/28 2158
106369 [질문] [해외축구] 이탈리아 올타임 넘버원은 누구인가요? [20] 톰가죽침대3311 17/07/28 3311
106368 [질문] 괜찮은 손풍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예리美2611 17/07/28 2611
106366 [질문] 일본 여행 관련 질문입니다. [7] 킹찍탈1787 17/07/28 1787
106365 [질문] 미국 서부 자유여행 숙박추천 부탁드립니다. [4] 수박이박수2142 17/07/28 2142
106364 [질문] [해외축구] 이탈리아는 왜 역대급 선수가 없나요? [35] 톰가죽침대5237 17/07/28 5237
106363 [질문] [lol] 롤 질문 & 블박 질문 [2] 이혜리1706 17/07/28 1706
106362 [질문] 스쿼시에 대해 질문해봅니다(아예 모릅니다) [2] SarAng_nAmoO1844 17/07/28 1844
106361 [질문] 포토샵을 다루는 유튜버 있을까요? [2] 몽유도원5221 17/07/28 5221
106360 [질문] 추천받은 노트북인데 의견을 구합니다. mix.up2167 17/07/28 2167
106359 [질문] ssd 재활용 질문입니다 [6] 노예2590 17/07/28 2590
106358 [질문] 성장호르몬 분비시간에 대한 질문입니다. 열혈둥이1807 17/07/28 1807
106357 [질문] 종로 근처 가족모임 할 곳 질문입니다. [4] 파츠1854 17/07/28 18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