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7/13 15:04:27
Name Haru
Subject [질문] 전 회사 퇴직금이 정산이 안끝나고 있네요.
2015년 2월에 그만두고 월급 1~2개월 정도 밀린거랑 퇴직금이랑 해서 700만원 정도가 있었습니다.
회사 사정이 어려워져서 권고사직 당한거라 돈이 지금 없다고 계속 핑계대면서 시간 끌어서 2016년 경에 단체로 소송을 걸었죠.
대표에 대한 형사소송이었나? 하여간 그건 풀어달라고 연락오고, 어느정도는 돈 정산받고, 나머지도 빠른 시일내로 주겠다고 해서 풀어줬죠.
매번 분기마다 한번씩 연락와서 뭐 이번에는 계약 잘되서 몇달후면 줄수있다. 이러면서 미루고,
또 몇달 있다가 연락와서 계약한 회사의 규정이 바뀌어서 다시 검토 중인데, 통과되면 꼭 주겠다. 미루고,
직접 개발한 것이 있는데, 직접 서비스해서 매출 나면 주겠다. 미루고,
계속 미루다가 2017년 5월부터는 매달 50만원씩 보내주겠다네요.
그러고 한달 주더니 지난달은 다시 사정이 안좋다고 미루고... 지금 7월 15일 이후에 줄 수 있도록 해보겠다네요.
정산할 금액은 170만원 정도밖에 안남았는데, 이미 미루고 미룬게 2년6개월 가량이네요. 에휴...
돈을 떠나서 이제 그만 연락하고, 그만 신경쓰고 싶은데 뭘 어떻게 해야 정산받을 수 있을까요...답답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adenza79
17/07/13 15:25
수정 아이콘
뭐 사정이야 있을 수 있지만,
언뜻 떠오르는 건 임금채권 시효 3년이 지나기까지 시간 끌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당시 공증 등을 별도로 하지 않았다면 3년이 경과하여 시효가 완성됩니다.
다만 중간에 지급의무를 인정한 적이 있다면 그때부터 3년인데, 이것은 근로자가 증명하여야 하므로 말로만 한 것은 소용이 없고 서면이나 이메일 등에 의하여 확인이 가능해야 합니다.

그러한 증거가 아무것도 없다면 지금이라도 민사판결 받아 놓으셔야 합니다.
아마 근로기준법위반 형사사건에서 노동청에서 체불확인원 같은 것이 작성되어 있었을테니 해당 자료를 첨부해서 간단하게 판결 하나 받아 놓으시는 게 좋겠습니다.
※ 주식회사인 경우 좀 갑갑할 수도 있습니다. 형사처벌을 받는 것은 대표자이지만, 대표자가 개인재산으로 임금을 지급할 의무는 없거든요. 그래서 주식회사인 경우에는 보통 형사사건에서 다 해결하죠.
17/07/13 17:13
수정 아이콘
1. 임금체불에 대한 민사적 구제는 보통 아래와 같은 수순으로 진행됩니다.
1) 노동청 진정절차
2) 법원 민사소송절차(법률구조공단 무료구조를 받는 경우 많음)
3) 근로복지공단 체당금지급절차&법원 강제강제집행절차


2. 중간에 형사고소를 진행했다가 풀어줬다는 건
아마 고용노동청에 진정을 넣었으나 사업주가 일부 돈을 줘서 진정취하를 해줬다는 것 같습니다.
(근로기준법위반 사건은 통상 고용노동청 근로감독관이 경찰 역할을 함)
이렇게 진정절차가 진행됬으니 고용노동청에서 체불금품확인원을 발급해줄 테니
신속히 발급받으시는게 좋습니다.


3. 위에 cadenza님 말씀대로 임금, 퇴직금은 모두 소멸시효가 3년이고
특히 임금은 매달 월급날이 시효기산일이기 때문에 퇴직금보다 먼저 소멸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다만 진정을 취하해주면서 돈을 일부 정산받았다고 하셨는데
이건 소위 채무승인(민법 제168조 제3호)의 효력이 있으므로 이 돈을 받은 시점부터 시효가 진행하게 됩니다.
그때 정산받은 증거(계좌이체내역 등)도 확보가 필요합니다.
회사가 ~~까지 돈 주겠다고 한 내용들이 혹시라도 문자메시지 같은 것으로 남아있다면
이것들도 기한유예요청으로서 채무승인에 해당하는 것이니 수집이 필요합니다.(안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만)


4. 퇴직한 날로부터 2년 내에 소송 등을 제기한 근로자는 임금채권보장법에 따른 '소액체당금' 신청 자격이 있습니다.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 제7조 제2항)
소액체당금이란 건 쉽게 말해 국가가 체불임금 등을 근로자에게 대신 주는 제도인데
글쓴이는 퇴직 후 2년이 넘어간 상태라 소액체당금 신청자격이 날아간 상태입니다.
참고로 현재 소액체당금은 최대 4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으므로(고용노동부 체당금 상한액 고시)
올해 2월까지만 소송 제기를 했으면 정산 문제로 머리 썩히실 필요가 없으셨지요.

총 700만원 중 잔액이 170만원만 남은 상황이라니 아주 급한 상황은 아니지만
회사의 임의변제를 기대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선 가압류 신청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회사가 거래처에 대해 갖는 채권들이 주된 먹잇감이 될 수 있는데(회사를 괴롭히는 목적에서도)
혹시 거래처들 파악이 가능하시다면 미리 조사해두는게 좋을 것입니다.
오자히르
17/07/13 17:27
수정 아이콘
법알못이지만 목돈을 푼돈 만들어주는게 정말 짜증나네요..
17/07/13 23:5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진작 좀더 자세히 알아볼걸 그랬네요. ㅠㅠ 언제까지 돈 주겠다고 하고, 조금조금씩 받은 기록은 이체내역이랑 문자도 다 남아있습니다. 그나마 다행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5709 [질문] 서피스 프로4 i5 에 배틀그라운드 되나요?? [5] 50b6049 17/07/14 6049
105708 [질문] 맥북 비교 질문입니다 [4] SaiNT3257 17/07/14 3257
105707 [질문] 세종시 사시는 분들께, 안개랑 대전까지 교통체증 [7] 들풀3969 17/07/14 3969
105705 [질문] 윈도우10 익스플로러11 재설치요.. moqq3799 17/07/14 3799
105703 [질문] 피곤할때 잠깐 눈붙일곳?? [10] 래쉬가드5033 17/07/13 5033
105702 [질문] 얼마전 PGR에 올라온 글 찾습니다 [3] 포아2122 17/07/13 2122
105701 [질문] 전동 킥보드 질문입니다. [3] wilen2235 17/07/13 2235
105700 [질문] 모니터 27인치 vs 32인치 ? [16] 사장26639 17/07/13 26639
105699 [질문] 도쿄퍠키지 가는데요. 디즈니랜드랑 하코네요 [9] 올인2351 17/07/13 2351
105698 [질문] 기어s3 lte 요금제 질문입니다 [2] 마션1758 17/07/13 1758
105697 [질문] 안드로이드 태블릿 추천 [1] 윤군2139 17/07/13 2139
105696 [질문] 가성비 노트북 구매하려고 합니다. [5] 마스쿼레이드2487 17/07/13 2487
105695 [질문] 모교 갑질(?)에 당하시는 분이 계신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4] 궁금해요궁금해2748 17/07/13 2748
105694 [질문] [히오스] 히린이의 소소한 질문입니다. [13] 저글링앞다리2210 17/07/13 2210
105693 [질문] 스타크래프트1의 전반적 역사기 정리된 글을 찾고 있습니다. [3] Tale1846 17/07/13 1846
105692 [질문] 태블릿 기기 첫 구매인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범일동1885 17/07/13 1885
105691 [질문] 하이얼 uhd 티비 사용하시거나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opscar1767 17/07/13 1767
105690 [질문] 일드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멀할까나3131 17/07/13 3131
105689 [질문] 한화 야구팬분 이글스파크 예약관련 질문드립니다. [3] 장모1850 17/07/13 1850
105688 [질문] [lol]게임 내 초보적인 간단한 질문입니다. (정글러) [13] 치토스2583 17/07/13 2583
105687 [질문] 행시 생각하고 있는데, 경제학 법학 독학 질문이요 [7] 삼동이3367 17/07/13 3367
105686 [질문] 디즈니 남자노래 [5] 따루라라랑3995 17/07/13 3995
105685 [질문] 남자인데 극심한 변비입니다. 죽겠네요. [20] K53418 17/07/13 34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