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6/26 21:35:10
Name 휴면계정
Subject [질문] 진보언론이 독자와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문재인 대통령 집권 후 진보언론과 지지자들 사이의 다툼을 보다가 문득 궁금해졌네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해결이 될까요? 여전히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비판이 주류고 욕을 먹고 있는데 이게 해결이 가능한 주제일까요?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떠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6/26 21:43
수정 아이콘
'외계인이 침공하면 일단 힘을 합쳐서 물리쳐 봐야죠'의 상태가 끝난겁니다. 애초에 지지하는 목표가 다르기때문에 화해는 불가능 하다고 봐요. 다시 MB-GH정도급 정권이 세워진다면 다시 화해 무드 나올겁니다.
17/06/26 21:44
수정 아이콘
사실 목 뻣뻣하기로 유명한 언론들이 태도를 바꿀리는 절대 없고, 한창 분노한 지지자들이 갑자기 유해질 이유도 없죠.
한동안 계속 불편한 관계가 계속될겁니다. 그러다 대안 언론 생기면 그쪽이 푸시 받을 것이고, 미적지근하면 계속 서로 불편하겠죠.

사실 지지자들 입장에선 하루 이틀 언론 때문에 불편한 것이 아니라서 크게 신경 안 쓰고 있긴한데 진보언론이란 사람들은 좀 불편해하더라구요. 뭐 알아서 하겠죠.
1perlson
17/06/26 21:44
수정 아이콘
해결될리가 없죠. 진보언론의 독자라는 것이 결국 본인들에게 돈을 주는 고객인데 그 고객들을 욕해서 그들이 지갑을 닫은거죠. 그냥 지지하고 철회하는 정도라면 모를까 사람들이 돈을 쓰는건 그런 정도 수준에서 아득히 넘어갔다고 봅니다. 그래서 배신감은 회복 되는걸 기대하기 어렵구요.

진보언론도 돈을 벌곤 있으니 망하기 전에 새로운 고객을 찾던가 아니면 망하던가 할듯하지 이전 고객이 돌아오진 않을듯 합니다.
피지알중재위원장
17/06/26 21:47
수정 아이콘
뭐 정권 후반기 되면서 비판할 거리가 많아지면 자연스레 사이트 주류도 바뀌겠죠.
지금 싸우는 그 사람들이 돌아올진 모르겠지만 그만큼의 독차증이 새로 유입될거 같습니다.
언어물리
17/06/26 21:53
수정 아이콘
구조적으로 근본적으로 있는 문제점이라.. 절대 해결될 리가 없죠.
그리고또한
17/06/26 21:53
수정 아이콘
문제의 해결과 신뢰의 해결은 다른 차원이죠.
지금 문제되는 게 다 해결된다고 해도 예전같은 신뢰는 못 얻을 겁니다.

신뢰는 굉장히 얻기 어려운 자원이고 그만큼 어렵게 써야 하는 건데
진보언론은 요 몇 년간 그걸 신나게 낭비해댔죠. 앞으로 그 댓가는 본인들이 뼈저리게 느낄 겁니다.

덩치가 기득권 언론만큼 큰 것도 아니고, 지지층은 남아나질 않고.
하던 대로 기업들 광고장사 하기엔 정부가 기존과는 다르게 꽤 타이트할테니까요.
17/06/26 23:03
수정 아이콘
"보수"가 정권 잡으면 어느정도 화해합니다
17/06/26 23:12
수정 아이콘
사장 임원단 전원 사퇴 + 민주당 당직자들 임원 고용
이정도 아님 답없죠
17/06/26 23:40
수정 아이콘
아주 간단하죠. 그냥 있는 그대로 딱 팩트만 기사쓰면 됩니다. 근데 문제는 그러면 광고가 끊기고 돈줄이 끊기니 걍 허위기사만 줄창 써대야죠
주니엘
17/06/26 23:46
수정 아이콘
어찌 보면 보수 집권를 가장 원하는 집단이 진보언론이 아닌가 싶습니다.
엔조 골로미
17/06/27 01:16
수정 아이콘
진보언론이 시대를 맞추면 되는 문제라고 봅니다. 거기에 더해서 독자분들이 조금 유해질필요도 있구요 개인적으로는 비판의 잣대를 계속 대고 있지만 모든 진보언론에 대해서 아직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Rorschach
17/06/27 03:00
수정 아이콘
"회복" 이라는 말은 원래 (실제로) 괜찮았을 때나 쓰는 말이죠.
지금 사이가 멀어진것은 잠깐의 다툼이 아니라 실체가 밝혀졌기 때문이라서 안된다고 봅니다.
천하공부출종남
17/06/27 07:49
수정 아이콘
걔네는 '현실적'으로 재벌광고 받으면서 먹고사는 주제에 민주당한테는 이상론만 펼치고 있으니 지지자들이 빡치지 않고 배깁니까. 그걸로 까면 언론의 가치, 중립성 어쩌구저쩌구.. 답이 없어요. 진보언론은 새로운 독자층 찾는게 나을겁니다.
도들도들
17/06/27 10:05
수정 아이콘
모든 독자가 진보언론에 대한 신뢰를 거둔 건 아닙니다.
민주당 일부 지지자들이 정권 옹호 차원에서 진보언론을 적대하는 것인데, 이는 향후 정권 지지율이 낮아지면 자연스레 해결될 문제라고 봅니다.
펠릭스
17/06/27 14:56
수정 아이콘
'언론'이 '보도'를 하면 해결될거라 봅니다.

지금 언론의 문제는 보도를 하는게 아니라 플레이를 하는 것이기 때문이고

진보 언론의 문제는 진보언론도 플레이를 하기 때문이지요.

'보도'를 하면 문제가 해결 될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4913 [질문] 카드게임 (하스 섀도우버스)에게 시즌(야생)은 필수인가요? [6] 랜슬롯2586 17/06/28 2586
104912 [질문] 30대 초반 옷은 어디서 사나요? [24] 똥꾼4740 17/06/28 4740
104911 [질문] 전세집을 들어가려고 하는데 기존 세입자가 연락이 안될경우? [4] 건투를 빈다2880 17/06/28 2880
104910 [질문] 내일 하루 휴가가 주어진다면 뭐하시겠어요? [27] 파츠2304 17/06/28 2304
104909 [질문] 빠삭 진동에대해서... [2] 여신구하라7202 17/06/28 7202
104908 [질문] 백화점에서 15만원 정도로 살만한 것 뭐가 있을까요? [13] 칼퇴추구자2728 17/06/28 2728
104907 [질문] 안드로이드 전용(?) 마우스가 있을까요? [1] 전크리넥스만써요1651 17/06/28 1651
104906 [질문] [LOL] KT 롤스터 팀 무릎끓고 있는 사진은 어떤 사진인가요? [1] 귀연태연3310 17/06/28 3310
104905 [질문] 더위 엄청 타는 체질인 수험생인데 여름 잘 넘기는 법 있을까요? [9] 프리템포2733 17/06/28 2733
104904 [질문] 7월 제주도와 후쿠오카여행 둘중 고민입니다.. [20] 나를찾아서3926 17/06/28 3926
104903 [질문] 배그 유툽 추천좀 해주세요. [4] 시케이더1974 17/06/28 1974
104902 [질문] 기타 vs 피아노 관련 뻘 질문 [16] 주인없는사냥개14289 17/06/28 14289
104901 [질문] 히린이인데, 히오스가 너무 끊깁니다(1060 사용중) [7] lou3242 17/06/28 3242
104900 [질문] 노트북 추천부탁드립니다. [8] bonk36974 17/06/28 6974
104899 [질문] 밀교나 술법 같은거 잘 정리된 사이트 있나요? [4] 하고싶은대로1820 17/06/28 1820
104898 [질문] 크롬에서 트위치 영상을 볼 수 없습니다. [4] 틈새시장6062 17/06/28 6062
104897 [질문] 극후반 피오라 1-1로 이길만한 챔프가 뭐 있을까요? [27] tjsrnjsdlf8064 17/06/28 8064
104896 [질문] 중고차 계좌이체로 거래 했는데 홈텍스에 기록 안남나요? [4] 칼퇴추구자3442 17/06/28 3442
104895 [질문] [lol] 어제 skt vs kt 전 교전이요 [15] SarAng_nAmoO2963 17/06/28 2963
104894 [질문] 크래마 카르타 사용자분들 질문드려요 [3] 오줌싸개1552 17/06/28 1552
104893 [질문] [질문] R, 엑셀통계, SPSS의 난이도 수준이 궁금합니다! [4] Brazen Ark3441 17/06/28 3441
104892 [질문] 방송질문이에요~(아프리카/트위치/obs/xsplit) [13] 삭제됨6209 17/06/28 6209
104891 [질문] 남자 15명 추천 MT 여행지? [2] _zzz1989 17/06/28 19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