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7/06/23 01:29
무슨 말인지 저도 잘 모르겠어요. 완전경쟁시장은 개별기업 입장에서 가격이 시장에서 주어진 것을 받아들이는 시장을 말하구요. 반대로 독점시장에서는 기업의 비용함수에 의해 기업이 시장의 가격을 설정하는 특징을 갖는 시장을 말합니다. Q에 대해 정리할 때 -> 완전경쟁시장, P에 대해 정리할 때 -> 독점시장 이 뭘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공급곡선 수평합 시, Q가 합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Q로 정리해서 우변 합치는 거 아닌가요??
17/06/23 01:39
강사님이 가르쳐줄때, 독점기업은 price setter이기때문에 공급함수가 q = f(p) 의 형태로 나와야한다구 그러시는데.. 아닌가요
즉 P가 독립변수, Q가 종속변수여야 한다라구여 ㅠ
17/06/23 02:17
저두 경제학 배웠는디 무슨소린지 전혀 모르겠어요...
대충 해석하자면 완전경쟁시장일때는 개별기업에 있어서 가격이 주어지니까 독립변수 근데 독점에서 수량이 독립변수인가요? 한계수익에 의해서 결정되는거 아닌가... 그러면 q가 정해지고 q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거니까 맞는말 같기도 한데.. 그리고 수평합은 q에 대해서 정리하고 합치는걸로 알고있는데.. 어렵네요...흐흐
17/06/23 03:06
제가 이해한걸 바탕으로 말씀드려 봅니다. 다른분들께서 말씀하신걸 만연체로 푼것에 지나지 않긴 합니다.
완전경쟁시장에선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개별주체들은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가격이 주어졌을때' 각자의 효용-이윤을 극대화시키고 그 결과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입니다. 이 개념을 기술적인 부분에 적용하면 완전경쟁시장에선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에서 가격이 일종의 상수취급 할수 있습니다. 좀더 기술적으로, 예를 들어 소비자 i의 재화 q에 대한 수요곡선 (즉, 주어진 시장가격에서 개별 소비자의 효용극대화를 한 결과. 단순화를 위해 소비자들의 효용함수와 소득은 전부다 동일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이 q_i=a-bP라고 하죠 (역시, 단순화를 위해 선형수요곡선을 가정했습니다.). 수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개별소비자의 최적 소비 (혹은 수요)는 밑첨자 i가 들어갔고 시장가격 P에는 그게 없습니다. 그러면 시장수요곡선은 이 개별소비자들의 효용극대화 결과인 개별수요곡선을 합한 결과가 될테고 그런고로 시장수요곡선 Q^d는 개별수요곡선을 q_i를 다 합한 결과인 Q^d=sum_{i=1}^N q_i 가 될겁니다 (q_i를 i=1부터 N까지 더했다는 겁니다. 소비자가 시장에 총 N명 있다는 가정이 있죠). 그래서 완전경쟁시장에서 시장수요곡선을 Q-P 평면에선 주어진 가격에서 수량들을 다 더하는거니까 가격이 Y축에 있을때 수요곡선들이 수평으로 더해지게 되죠. 우변을 합한다는 부분은 어떤 의미인지 정확하게 잘모르겠습니다. 독점시장의 경우는 뭔지 잘모르겠네요. 예를 들어 생산자가 독점인 monopoly market을 고려한다고 하면 소비자 입장에서의 최적소비결정은 완전경쟁시장과 원리는 같고 (주어진 가격에서 효용극대화) 생산자의 입장에선 시장수요함수가 주어졌을때 한계비용 (marginal cost)이 한계수익 (marginal revenue. 번역이 어떻게 되는지 까먹어서 수익이란 용어가 정확하진 않을수 있습니다)와 같은 곳에서 생산량을 결정합니다. 그래서 독점시장에선 공급곡선이란게 사실 없습니다. 그런 점에서 말씀하신 도식(?)은 직관적이고 부분적으로 무슨 맥락에서 얘기했는지 짐작이 가긴 하지만 명확해보이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독점적인 생산자 입장에서 시장수요함수가 주어졌으므로 수량이 가격의 함수로 표시되어서 저렇게 접근해보는 취지는 이해하겠는데 보통 일계조건 (first order condition)을 구할때 저때도 수량을 내생변수로 접근해서 구하는게 더 편하기 때문에... 수량과 가격의 관계가 반대인 경우는 공공재 시장을 생각해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공공재는 수량이 주어지기 때문에... 공공재의 시장 수요곡선은 '주어진 수량에서'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대가격의 합으로 생각할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