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6/12 16:18:59
Name 수타군
Subject [질문] 직장 이직 관련 장,단점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직장 이직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이직시 장, 단점

장점

1. 연봉 1500이상 인상 예정
2. 건실한 중견기업
3. 다양한 복지

단점

1. 출퇴근시간이 (30~40 *2) 분정도 늘어남
2. 현재 연구직인데 기술영업쪽(첫입사를 연구소 기획개발,기술영업을 5년 정도 했었음)으로 변경
3. 그 자리 공지가 작년 말에도 났는데 이번에 또 난것으로 보아 일이 힘들던지 상사가 꼽창이던지 단순히 호황이라 사람을
    더 뽑는지 알 수 없음
4. 현재는 굉장히 여유로운 사무실 환경인데 여기서는 어떨지 모름



일단 연봉의 상승 및 회사의 건실함이냐 현재 생활의 쾌적함이냐 이렇게 갈리는 것 같습니다.

현재 회사가 벤쳐 같은건데 꾸준하게 노력해서 한번 키워 보는게 좋을지 아니면
건실한 곳에 가서 자리를 잡아야 하는지 고민 중 입니다.

사회생활 더 많이 하신 분들의 의견을 물어 보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가사끼 짬뽕
17/06/12 16:21
수정 아이콘
연봉 1500이상이 너무 큰데요;;;
수타군
17/06/12 16:27
수정 아이콘
예 저도 그것 때문에... 아 진짜 고민중 입니다
17/06/12 16:30
수정 아이콘
지금연봉으로 먹고살만한지 판단해보면 되겠네요.
수타군
17/06/12 16:46
수정 아이콘
먹고는 살지만 집을 사려면 더 많은 저금을 해야 해서... 그렇다면 움직이는게 답이겠네요.
타츠야
17/06/12 17:03
수정 아이콘
이직은 아내분과 상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저는 이직할 때 늘 아내와 상의를 했는데 그 이유는 가족의 생활을 어디에 맞추고 살 것인지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 근무 시간 및 업무 강도가 달라지는데 이에 따라 아내분의 노동 강도 및 육아 부담이 늘고 가족고 보내는 시간이 줄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서로 충분히 이해가 되어야 합니다.
2. 연봉 인상이 크고 각종 복지가 있지만 사람이 연봉이 오르면 저축이 늘긴 하지만 그에 맞춰 지출도 늘어서 생각보다 저축이 안 늡니다. 1번으로 인해 생기는 변화를 감내할 수준의 연봉 차이인지 생각하셔야 합니다.
3. 업무 자체가 달라지는데 이 부분에 있어서 본인이 얼마나 잘 하실 수 있는지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기술 영업을 이전에도 해보셨지만 본격적으로 그것만 하면 아무래도 외향적인 성격이 좋고 고객을 만나는 업무도 잦은데 이에 대한 스트레스가 만만치 않습니다.

아내분과 아이 재우고 대화를 많이 하시고 결정해보세요.
수타군
17/06/12 17:16
수정 아이콘
따뜻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

업무가 좀 고민 스러운게 저는 연구개발쪽을 하고 싶어 하는데전의 회사에서 기술영업을 잘한다고 해서 영업쪽에서 본격적으로 이쪽으로 하지 않겠냐고 그렇게도 이야기 했습니다. 근데 끝까지 하고 싶은건 연구개발인데 좀 이것도 고민 되는 부분의 하나 입니다.

가장 고민 되는게 업무 강도 입니다. 여긴 오래도 다녔고 나름 제 스스로 업무 컨트롤이 되는데 새로 간 곳에서는 그게 안되어서 그냥 회사에 올인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그것도 힘들고... 그 회사 다니는 분이 있으면 물어 볼텐데 그러지 못해 많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타츠야
17/06/12 17:25
수정 아이콘
제가 이직을 5번 해봤는데 회사에서 스트레스가 커지면 가정에서도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 대상 회사가 그래도 나름 중견 기업이라고 하니 바로는 아니더라도 한 두 다리 건너면 아는 분이 있을 것 같으니 가시기 전에 크로스 체크 꼭 해보세요. 그리고 아내분과 많은 대화를 하시구요.
수타군
17/06/12 17:55
수정 아이콘
아시는 분들이 다들 임원 분들이라 ㅠ 그분들 입장에선 그런건 별로 의미가 없어서 다들 좋다고 하시니 .. 그래도 어떻게든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밤식빵
17/06/12 18:14
수정 아이콘
저라면 그냥 지금있는 연구직할것 같아요. 기술영업쪽은 어느분야던 자리가 많지 않나요. 연구직은 들어가기도 어렵고요.
이사를 갈수 있으면 모를까 저는 이동시간 30분에서 1시간늘어나니 너무 힘들었네요.
기술영업을 잘하신다니 고민이 되시는거겠지만 저같은사람은 몸과 마음이 편해야한다는 입장이라....
수타군
17/06/12 19:23
수정 아이콘
출퇴근 무시 못하죠 ㅠ 맞습니다.
아 첫플에서 묵직한 훅으로 설득이 되려다가 다른 분들의 잽으로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고 있는 느낌 입니다 ㅠ
17/06/12 21:25
수정 아이콘
고민이 되면 안 움직이는게 맞다고 배웠습니다.
수타군
17/06/13 09:51
수정 아이콘
우문에 현답 이네요.
지니팅커벨여행
17/06/12 21:40
수정 아이콘
연봉 차이가 너무 크네요.
저녁이 없는 삶이라거나 월화수목금금일 같은 형태만 아니면 옮겨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수타군
17/06/13 09:52
수정 아이콘
연봉만 따지면 저것보다 더 될 수 도 있다는게 함정이죠 ㅠ
일은 어케 댈지 모르겠습니다. 출퇴근이 정확이 2~2.5배가 되는 것과 더불어 워크앤라이프 밸러스가 어찌 될지 모른다느 것도 고민을 하고 있는 이유중에 하나이구요.
지니팅커벨여행
17/06/13 10:01
수정 아이콘
저도 이직을 해 봤는데 500정도 더 받는 수준이면 사실 별 느낌 못 받습니다.
그런데 1000 단위 이상 증가하게 되면 심리적 안정감 + 소비 욕구 증가 + 가족들 앞에서의 자신감 뭐 이런 것들이 딸려 오면서 그동안의 경제관념이 바뀌고 사고방식이 더 유연해지더라고요.
수타군
17/06/13 10:06
수정 아이콘
지금 회사 사장님과 제가 중학생 때부터 알던 인연이라 다른데서 일하다가 같이 일해보자고 왔는데 기술력은 좋은데 영업이나 회사관리 쪽에서 많이 실망을 한 상태 입니다. 여기에서는 진짜 제가 배울 수 있는 것 외에는 메리트가 없는 상황이고 이직을 하게 되면 어찌 될지 모르나 금전적 보상은 확실한 상황 입니다.
17/06/13 00:31
수정 아이콘
아이가 학교 들어갈 나이면 옮길것 같고 아니면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리스크 보다는 당장의 안정을 택할 것 같네요. 혹시 둘째 준비중이어도 안정을 택할 것 같습니다.
수타군
17/06/13 09:53
수정 아이콘
지금도 아이는 주말밖에 보지를 못하긴 하는데... 그래서 더 고민 입니다. 따뜻한 조언 감사 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4120 [질문] 소리를 키우면 지지직 거립니다. [2] 걸스데이1681 17/06/13 1681
104119 [질문] 커스텀 레고 사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feat. D.Va [2] Secundo3043 17/06/13 3043
104118 [질문] 서천군 서천읍 점심시간 맛집 추천 DogSound-_-*2341 17/06/13 2341
104117 [질문] 저 카톡 해킹당한건가요? [2] Genius2548 17/06/13 2548
104116 [질문] 저가 태블릿 질문드립니다. [7] 천우희2224 17/06/13 2224
104115 [질문] 포가튼 사가 플레이 방법 [3] 이야기상자3748 17/06/13 3748
104114 [질문] 여름 휴가지 추천해주세요~!! [8] 원스2823 17/06/13 2823
104113 [질문] 대통령 공약 중, 미세먼지 정책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5] 토구백2194 17/06/13 2194
104112 [질문] 자취할 월세 방 구하는 것 팁 부탁드립니다. [5] 이선빈1917 17/06/13 1917
104111 [질문] 혹시 고양이 허피스 조언해주실 수의사님 계신가요? [2] 2267 17/06/13 2267
104110 [질문] 아는지인이 휴대폰개통을 저한테 신청해달라 합니다. [11] 교강용2775 17/06/13 2775
104108 [질문] 장비셋업해야하는데, 손재주가 없네요TT [3] 파랑파랑1771 17/06/13 1771
104107 [질문] 엑셀 함수 질문입니다 [6] 코우사카 호노카1852 17/06/13 1852
104106 [질문] 전율미궁 & 런닝맨 질문입니다 [11] 조이2654 17/06/13 2654
104104 [질문] 협동전 폭풍함 단축키 설정 질문입니다. 고무장이1978 17/06/13 1978
104103 [질문] 노트북 선택(영상작업) [5] OneDayMore2151 17/06/13 2151
104102 [질문] 무협?격투? 영화 추천부탁드립니다. [22] 재입대5708 17/06/13 5708
104101 [질문] 간단한(?) 윈도우 프로그램 개발은 어디에 문의해야 할까요? [4] 디군1736 17/06/13 1736
104100 [질문] 중고차 구매시 차종을 결정하고 돌아다니는게 좋나요? [6] 연필깍이2328 17/06/12 2328
104099 [질문] 고가가전제품을 사려하는데 카드 한도 증액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1] 삭제됨2174 17/06/12 2174
104098 [질문] 동네사람들이 개를 그냥 풀어놓습니다. [4] 여신구하라2430 17/06/12 2430
104097 [질문] 특정 노트북만 접속 가능한 WIFI를 휴대폰도 사용할 방법이 없을까요? [4] 포스1840 17/06/12 1840
104096 [질문] 결혼하고싶은 생각이 전혀 들지 않습니다.. 비정상일까요.. [37] 이센스5679 17/06/12 56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