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24 12:19:46
Name 임시야간숙소
Subject [질문] 경제학 상식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역사 공부하면서 중상주의와 국부론 관련한 내용을 보다가
이해가 안가는 지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중상주의는 국부의 핵심을 귀금속 양이라고 보아서 귀금속 수입을 늘리려고 하잖아요?

이를 국부론에서는 화폐량의 많고 적음은 국부에 있어서 중요치 않은데
그 이유로 실제 가치를 가진 것이 뭐냐, 국부가 뭐냐라는 얘기도 하지만
화폐량 증가 -> 물가 상승 -> 수출 감소 -> 화폐량 감소 -> 물가하락 -> 수출 증대 -> 화폐량 증가
라는 과정처럼 물가 수준이 그에 맞춰 조절되면서 수입 및 수출도 조정되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들더라고요

여기서 이해가 안 가는 지점이
화폐량이 증가하면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건데, 이게 다른 나라와의 교역을 한다고 했을 때
자국 화폐가치가 하락한다는 건 무역상대국 화폐가치는 상대적으로 높이 평가된다는 거고
이게 곧 환율 상승이지 않나요?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에 유리하다고 들었는데 수출이 감소한다고 하니 약간 이해가 안되네요

대충 이해한 거는 물가가 상승하면 상품 가격이 비싸진 거니 수출이 줄어든다 정도인 것 같은데
완전 헷갈리네요...

그리고 저 당시는 금, 은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해서 각 국의 화폐를 서로 쉽게 교환할 수 있었던 거 같기도 한데
그러면 저기서 물가 상승이라는 게 곧 자국화폐의 화폐가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 건가요?
화폐가치 하락이라기보다는 단순한 물가 상승이라는 건지...

경제학 지식이 없으니 참 하나도 모르겠네요.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어리고래
17/05/24 12:48
수정 아이콘
짧은 지식과 오래된 기억으로 답변을 드리면
중상주의의 핵심이 귀금속의 보유는 맞는데 본문에서 말씀하시는 화폐량과는 상관이 없는걸로 기억합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화폐가 중요한게 아니라 보유하고있는 귀금속의 양이 국가의 부로 결정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실제로 언급하시는 환율 상승효과 그니까 화폐가치 하락의 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더불어 중상주의를 따랐던 많은 국가들의 경우 생산력에는 큰 관심이 없었습니다. 반대로 이후 패권을 차지하는 영국 등의 나라는 생산력을 기반으로 국가의 부를 늘리려고 노력하죠
따라서 생산력의 증가 없이 귀금속을 통한 부를 확보하려는 생각은 금, 은의 보유량 증가에 따른 가치 하락, 반대로 타국의 경우 생산력 증가로 인한 구매력 향상으로 인해 뭐 쓸데없는 사상이 되었다
여기까지가 제가 기억하는 내용입니다. 너무 옛날에 배운거라 정확히 기억은 안나네요ㅠ
원달라
17/05/24 13:03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바로는

무역 흑자 누적
->금은 보유 증가(지불을 금은으로 하니까)
->자국내 금은 가치하락 (=금은기준 물품가격 상승)
->수출감소(비싸므로 외국에서 안 삼)
->무역적자 누적
->금은 보유 감소
->자국내 금은 가치상승
->수출증가
->무역 흑자 누적
무한 반복

이런 메커니즘으로 인해 중상주의 무역 정책은 유지될 수 없다. 라고하여 중상주의 정책을 비판하는 논증일 겁니다.
임시야간숙소
17/05/24 16:29
수정 아이콘
화폐가치와는상관이없는거였군요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3117 [질문] 상큼한 걸그룹 노래 부탁드립니다. [21] 성기사5443 17/05/24 5443
103116 [질문] 카메라 렌즈 고장일까요? [5] 클로드2030 17/05/24 2030
103115 [질문] 4k 영상 돌리려면 vga카드는 어느급 이상이어야 할까요? [4] 루카와3342 17/05/24 3342
103114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50~70만대) [3] 플래쉬3303 17/05/24 3303
103113 [질문] 대구 랍스터 전문점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대보름3282 17/05/24 3282
103112 [질문] 노트북 충전이 잘 되지 않습니다. [2] 아재리너스2314 17/05/24 2314
103111 [질문] 집 인터넷 어떤게 괜찮을까요 [16] 크랙2456 17/05/24 2456
103110 [질문] 아침먹고 땡 노래 가사에 대하여 [14] 삭제됨8144 17/05/24 8144
103109 [질문] 이 뉴스 원글이 피지알글이었죠? [5] 스타카토2411 17/05/24 2411
103108 [질문] 혹시 병원 구매 및 행정쪽에서 일하시는 분 계신가요? [2] 스즈무라 아이리2371 17/05/24 2371
103107 [질문] 이더리움 클래식 추이 어떨것같나요? [5] 하나4522 17/05/24 4522
103106 [질문] 다음 숫자 어떻게 읽으시나요? [34] Paul Pogba4496 17/05/24 4496
103105 [질문] 그래서, 지금 갤럭시 S8 은 상황이 어떤 건가요? [11] 카페알파3764 17/05/24 3764
103104 [질문] 티스토리 초대장 부탁드릴게요 류현진1534 17/05/24 1534
103103 [질문] 미니 PC 구성 부탁드립니다. [3] 성기사2581 17/05/24 2581
103102 [질문] [PS4] 타이틀 구매 질문 [6] RedDragon3684 17/05/24 3684
103101 [질문] 암호 화폐 시장 투자 관련 [5] Lelouch Lamperouge2715 17/05/24 2715
103100 [질문] 청약신청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4] 공노비2252 17/05/24 2252
103099 [질문] DSLR(800D)구매처 문의 [3] 악포2072 17/05/24 2072
103098 [질문] 최적화 프로그램 쓰시나요? [5] 성기사2885 17/05/24 2885
103097 [질문] 엑스박스 원 갖고 계신분 있으신가요? [10] 스키피오2329 17/05/24 2329
103096 [질문] 이탈리아 베니스 어떤가요? [19] 라다3090 17/05/24 3090
103095 [질문] 휴대폰이 파손 되었습니다...도와주세요... [7] REAX4166 17/05/24 41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