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3/08/10 13:51:25
Name 밥잘먹는남자
Subject [질문] 에어컨 세게15분 vs 약하게 1시간. 어떤게 더 절약될까요?
안녕하세요.
무더위에 허덕이고 있는 피지알러입니다.
이 무더운 날씨에 부모님이 오셔서 에어컨을 풀가동 중인데요,
제목과 같은 내용으로
한 시간 기준으로(실제로는 하루종일 쓰겠지만)
세게 15분을 트는 게 전기요금이 덜나온다와
그것보다 오래 틀더라도 약하게 계속 트는 게 전기요금이 덜 나온다는 의견이 대립 중입니다.
혹시 이런 쪽 관련해서  아시는 분 계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미메시스
13/08/10 13:55
수정 아이콘
제가 줏어 듣기로는 후자라고 들었습니다.
박준모
13/08/10 14:01
수정 아이콘
어떤 표 였는데 에어콘으로 1시간 트는거랑 에어콘 제습기능으로 냉방3시간 정도랑 전기 사용량이 비슷하다고 한걸 봐서는...
약하게 한시간이 더 효율이 좋을듯 합니다.
13/08/10 14:07
수정 아이콘
저도 뒤가 더 절약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10분 세게 틀고 좀 시원해지면 선풍기로 순환시키면서
온도 올리고 그런 식으로 쓰는데.... 아니라면 큰일인데요-_-a
13/08/10 14:15
수정 아이콘
약하게 틀고 선풍기로 퍼지게 하면 후자가괜찮을꺼같은데..
밥잘먹는남자
13/08/10 14:4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이때까지 반대로만 했었는데 이번달 전기요금이 어떻게나올지 무섭네요...
Rookie-Forever
13/08/10 15:43
수정 아이콘
에어컨은 실내기가 전기를잡아먹는게 아니라 실외기 컴프레셔가 전기를 거의 다잡아먹습니다. 에어컨 설정온도를 낮추면낮출수록 전기세를 많이 잡아먹게되죠 . 그래서 바람세기를 강풍으로 한다고해서 전기세 차이는 그렇게 차이나지않습니다. 설정온도를 올리시고 바람세기는 강풍으로 하시는게 빨리시원해지고 절전효과도 좋습니다.
뿌잉뿌잉잉
13/08/10 15:46
수정 아이콘
깨알 팁이네요

전 바람 무조건 약하게 했는데 ㅠ
13/08/10 16:10
수정 아이콘
어 정말요? 바람을 강으로 하든 약으로 하든 전기세 차이가 별로 안나는 거였나요? ㅠㅠ
전파우주인
13/08/10 16:30
수정 아이콘
실내기 바람세기는 거의 전기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것은 맞습니다.(그냥 선풍기죠)

다만, 에어컨을 켜두면 언제 실외기가 돌아갈지 모르기 때문에, 정속형(아래 제 답글 https://pgr21.com/?b=26&n=10234&c=96801 참조하세요)의 경우에는 단시간에 방안온도를 낮춘후에 에어컨을 꺼버리고, 선풍기 돌리시는게 낫습니다.
전파우주인
13/08/10 16:13
수정 아이콘
에어컨으로 밥벌이 하던 사람입니다. 굳이 나누자면 '에어컨이 인버터 에어컨이냐 정속형 에어컨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1.기본적으로 인버터고 정속형이고 뭐고 전기제품은 안쓰는게 제일 전기값이 절약됩니다만(크크크)

2.그래도 정 써야하는 상황이라면

[정속형에어컨(인버터가 아닌 에어컨, On & Off)]
더울때 잠깐 쎄게 틀었다가 끄시는걸 반복하세요. 예를 들어 현재 기온이 30도고, 본인이 편하게 느끼는 온도가 25도라고 하면 잠깐 쎄게 트실때 20도나 18도 맞춰놓고 에어컨을 풀가동하셔서 단시간에 온도를 낮춰놓고 에어컨을 끈다음에 온도가 다시 올라가서 못버티겠으면 다시 쎄게 틀었다 끄는걸 반복하시는 겁니다. ㅠㅠ 뭔가 좀 귀찮죠?

[인버터 에어컨]
더우실때 적당한 온도 맞춰놓고 적당한 시간동안 돌리세요 (물론 오래돌리면 그만큼 전기값이 나오겠지만)
현재 기온이 30도고 본인이 편하게 느끼는 온도가 25도라고 하면 25도 맞춰놓고 꺼도 괜찮을때까지 켜두시면 됩니다.


왜 그러냐면...

<공대생용 상세설명>
인버터는 부분부하(Partial Load) 대응이 가능한 반면, 정속형은 부분부하 대응이 안됩니다.

<非공대생용 상세설명>
예를 들어 현재 에어컨을 전체 용량의 10%만 돌려도 된다고 하면 인버터는 10%에 대해서만 에너지를 사용하여 돌릴 수 있습니다. 반면 정속형은 부분부하 대응이 안되기 때문에 10% 용량만 필요할 때에도 무조건 100%의 용량을 돌립니다. 즉, 정속형은 실외기가 돌아가면 무조건 100%전기 먹는 괴물이라서 켜두는 시간을 최소화 시켜야해요. 그 방법이 잠깐 켤때 에어컨을 이빠이(!) 돌려서 방안 온도를 원래 원하는 온도보다 낮춘후에 에어컨을 꺼버리는거죠.

But!! 당연하겠지만 날씨가 미친듯이 더워서 무조건 100%용량을 써야할때에는 인버터도 정속형이랑 똑같이 전기 먹습니다.

결론? 돈 많으시면 비싼 인버터 사셔서 계속 트시고, 저처럼 가난한 분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정속형 사신후에 도저히 못버티겠을때 잠깐 잠깐씩 트시면 됩니다.

우리집 에어컨이 인버터인지 아닌지 알아보는 방법은....보통 인버터는 에어컨 케이스에 '인버터/inverter'라고 씌여있습니다.
13/08/10 17:54
수정 아이콘
그럼 정속형은 30도로 돌리나 20도로 돌리든 별 차이 없으니 처음부터 무조건 낮은 온도/풍량 강으로 돌려서
최대한 쓰는 시간을 줄이는 게 좋은거군요? -_-;;;;

온도를 오래 유지하기 보다는 껐다 켰다 하는 게 좋은거였다니.... 망했네요. 완전 반대로 살고 있었는데;;;;
Rookie-Forever
13/08/10 18:29
수정 아이콘
아니죠. 에어컨이라는것은 설정온도26도의 찬바람이나 설정온도18도의 찬바람이랑 같은 찬바람입니다. 18도라고해서 더 차가운 바람이 나오는것이 아닙니다.
전파우주인님이 말씀하시는부분은 실외기가 전기를 많이 먹기때문에 실외기 가동을 최소화하자. 라는 것이 요지입니다.
전파우주인
13/08/10 19:32
수정 아이콘
Rookie-Forever님 말씀대로 정속형의 경우 핵심은 "실외기 가동시간을 최소화하자"입니다. 따라서 무조건 "낮은 온도(18도이던, 20도이던)/풍량 강"로 돌리는게 답 맞습니다.

또한 바람 온도도 18도나 20도나 정속형 에어콘의 경우 실외기 가동되면 똑같은게 맞습니다. 다만 30도로 맞추시면 실외 온도에 따라 실외기 가동이 안될 수도 있으니 그 경우에는 다르겠죠 ^^ 예를 들어 실외온도 28도인데 30도로 맞추시면 에어컨에따라 실외기 가동이 안되어 전기비가 별로 안들거나, 냉방전용 에어컨이 아닌 냉/난방기기라면 온풍(!)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한여름에 에어컨을 온풍기로 쓰는 위엄!!)
13/08/10 18:30
수정 아이콘
인버터라 안써 있으면 정속형이라 보면 되나요?
5~6년 된건데 여지것 25도로 장시간 돌리고 있는데 이럴수가...
전파우주인
13/08/10 19:25
수정 아이콘
보통은 그렇습니다. 확인하시려면 제조사에 문의하시는 편이 ㅠㅠ

근데 지금까지 25도에서 장시간 돌리셨는데 전기비가 큰 부담 안되셨으면 앞으로도 그냥 그렇게 쓰셔도 될것 같은데요

(물론 정부의 에너지 절감 시책에 호응하시기 위해서라고 하시면 할말 없습니다만 ^^;;; )
13/08/10 19:38
수정 아이콘
부담 많이 되요;;;
여름에 관리비가 2배 나와요;;;
전파우주인
13/08/10 19:52
수정 아이콘
일단 제조사에 인버터 에어컨 맞는지 꼭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1324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4359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4085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7229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9049
181234 [질문] 골프 3개월 레슨 기대 결과 문의 [3] 어제본꿈208 25/07/24 208
181233 [질문] 러닝하다 나타나는 증상에 질문드립니다. [5] 지구 최후의 밤947 25/07/24 947
181232 [질문] 가성비 태블릿은 뭐가 좋을까요? [2] 이혜리826 25/07/24 826
181231 [질문] 모니터 화면 깨짐 질문입니다 월터화이트790 25/07/24 790
181230 [질문] 허벅지 근육의 중요성 [9] 스핔스핔1548 25/07/24 1548
181229 [질문] 모바일용 컨트롤러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시무룩880 25/07/24 880
181228 [질문] 해외가맹점에서 국내신용카드로 단순 입금을 할 수 있나요? [1] 붉은 머리의 소녀514 25/07/24 514
181227 [질문] 주식계산 잘하시는분 [3] 개인의선택748 25/07/24 748
181226 [질문] 친한 동기 결혼식에 초대를 못 받은 경우 [35] 삭제됨1489 25/07/24 1489
181225 [질문] MS-DOS(PC 통신)시절 음악 플레이어 및 포맷 문의드립니다. [10] 자두삶아615 25/07/24 615
181224 [질문] 신발을 빨고서 건조실수를 했는데요 [14] Fysta3295 25/07/23 3295
181223 [질문] 포항 거주중이시거나 포항 잘 아시는 분들께 여쭙습니다 [4] 세인트2477 25/07/23 2477
181222 [삭제예정] 진로와 학점 관련해서 진솔하게 여쭙고자 합니다 [23] sionatlasia3014 25/07/23 3014
181221 [질문] 진격의거인 트로스트구 공방전에 대한 질문입니다.(스포X) [4] 나를찾아서2358 25/07/23 2358
181220 [질문] 벳부 여행 다녀오신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9] 쉬군2199 25/07/23 2199
181219 [질문] 부산 여행 질문 드립니다~ [7] Ice546 25/07/23 546
181218 [삭제예정] [삭제예정] 이혼이 머리에 박혔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23] 삭제됨2019 25/07/23 2019
181217 [질문] [호기심] 캡슐커피 2번 내리는 건 어떨까요? [15] 카페알파1301 25/07/23 13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