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4/29 21:59:48
Name 바둑아위험해
Subject [질문] 군복무 단축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이걸.. 선거게시판에 올려야하나.. 질문게시판에 올려야하나.. 고민하다가... 질게에 올려봅니다!

문후보님이 군복무를 3개월단축시킨다는 공약을 내세웠는데요.. 문재인후보님 지지자가 많은 pgr 여러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제 주변에서는.. 우스갯소리로든 진지한소리로든.. 군복무를 줄이는건 별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거같은데요.. 특히 제 주위 군필자들은 21개월도 짧다고 하는분들이 계실정도니...(물론 배아파서 그런사람들도 있겠지만..)

문후보님의 공략을 폄하하려는 것은아니고... 군복무 단축이 표를 오히려 잃을수도있는 공략이 아닌가 하는 궁금증이 들어서.. 제가 반대진영에서 바라보아서(유승민후보 지지자입니다...) 군복무단축이 좋지않은 공략이라 생각이드는건지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문후보님 지지자들이 많고 남초인 pgr러분들은 군복부 21개월에서 18개월로 줄이는 것에 대해 생각들이 어떠신지요..?


다른후보의 공략을 비방하려는 느낌이 날까봐 매우.. 조심스럽게 적어봅니다.. 지지자분들의 기분이 나쁘시다면 죄송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4/29 22:07
수정 아이콘
간부화로 부사관 인력확충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상관 없죠. 개인적으로는 복무기간 단축보다 징병율 '정상화'가 더 시급하다고 보기는 하지만요.

지난 대선에서도 군간부율 40% 달성 공약 거셨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바람직한 방향 아닐까요.
하루빨리
17/04/29 22:13
수정 아이콘
예비군을 독일이나 스위스처럼 빡세게 굴리면야 1년도 가능합니다. 징병자원이 바닥나도 북한과 관계가 정리되지 않으면 전 장년들 예비군화가 되겠죠.

일단 현재 상황만 보고 판단하자면 3개월 정도 줄이는건 장단점이 있어서 솔직히 좋다고 하기엔 뭐한 공약이네요. 다만 입대를 앞두고 있는 한국 남성 입장에선 무조건 찬성이죠.
17/04/29 22:13
수정 아이콘
군복무 단축은 그냥 기본으로 깔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거기에 혜택도 기본으로 깔고요.(월급 현실화 등..)

혜택 주려면 당연히 재정 부담되니 군복무기간 짧게 설정해야..
불량사용자
17/04/29 22:14
수정 아이콘
복무기간은 그다지 포인트가 아닌거 같아요. 당장 가야하는 친구들은 단축이냐 유지냐가 큰 포인트이지만.
사실 군대의 문제가 21개월이냐 18개월이냐가 아니라는걸 예비역들은 다 알지 않겠습니까?
적극적으로 국방개혁을 할 의지가 있고, 국방예산 좀먹는 벌레들 다 처리하겠다는 약속이 중요하지.
복무기간은 별반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소와소나무
17/04/29 22:25
수정 아이콘
전 훈련만 충실히 한다면 1년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2년동안 제 동기들이 훈련을 한 시간보다 예초기 돌리고 눈 치운 시간이 갑절은 많을꺼라 보네요;;
17/04/29 22:36
수정 아이콘
줄어들면 줄고 없으면 없을수록 좋은게 군복무라 생각하는데요.. 인구수가 너무 줄어서 걱정이긴하죠... 표문제는 영향받는분이 엄청많을거같진않네요
Red_alert
17/04/29 22:36
수정 아이콘
지난 토론회 때 문재인 후보의 답변은 별로였습니다.
병장때는 어차피 열심히 안하니까 기간 줄여도 괜찮다는 취지로 말씀하셨는데 기간 줄이면 마지막에 풀어지는 시간이 더 빨리 찾아오지 않을까요?
군복무 기간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저도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지금 복무 기간 줄이겠다고 얘기하는 건 표 더 받고 싶다 이상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적바림
17/04/29 22:49
수정 아이콘
3개월 보다 더 줄여도 된다고 봅니다
Jon Snow
17/04/29 22:49
수정 아이콘
군복무 줄이는건 찬성인데 red_alert댓글보니 단지 당선을 위한 공약인것 같네요
17/04/29 22:50
수정 아이콘
작업을 최소화하고 훈련위주로 돌리면 1년만 가지고도 정예화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게 병역의 존재이유에도 부합하고요.
최종병기캐리어
17/04/29 22:5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지금은 쓸모없는 유휴인력이 너무 많습니다. 훈련시간보다 작업시간이 더 많은 경우가 많습니다.

군복무 단축을 통해서 징병인력을 감축하고, 모병인력의 증가와 첨단화를 통해 정예화시키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솔로12년차
17/04/29 22:59
수정 아이콘
저 개인적으로는 훈련기간을 별도로 2년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26개월이 되겠죠.) 각 계절을 처음 겪는 동안엔 사수가 있고, 두 번째 겪을 땐 후임이 있는 형태요. 하지만 이율배반적인데, 복무기간을 늘리는 것에는 반대합니다. 지금도 부당하다고 생각하니까요.
그래서 부차적으로 의무복무기간을 1년남짓으로 확 줄이고, 2년 혹은 3년 짜리 '모병'을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궁극적으론 징병자체를 없애는 방향이어야게구요.
사악군
17/04/30 00:23
수정 아이콘
지금도 인구절벽에 병력유지하기 힘들다고 각종 대체복무제를 다 없앤다는 말도 나오는 판에 복무기간도 줄이면 병력수급을 어떻게 합니까. 포퓰리즘 공약이죠. 대우를 제대로 해줘야하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입니다. 저는 문재인지지자는 아닙니다.
forangel
17/04/30 01:20
수정 아이콘
줄여야죠.
주는것도 없는데 오래할 이유가 뭐 있나요?
배우는거 1년이면 충분하죠.
공짜 군인력이라고 쓸데없는데 많이 쓰니까 모자란거구요.

여성 군복무 같이 가능성도 없고 효율성도 없는것에
논쟁 매달리지말고 복무기간 줄이는게 더 이득아닌가 싶네요.
네오크로우
17/04/30 12:37
수정 아이콘
직업군인 늘리고 일반 의무복무자들의 훈련기간을 늘이고 복무기간을 줄이는 게 더 알짜라는 말들은 예전부터 있긴 했죠.
저야 26개월 군필자지만 복무기간 단축에 대해서는 전혀 배아프지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1928 [질문] 자동차에서 뭔가가 새는데요 [7] Fysta2042 17/05/01 2042
101927 [질문] 스타 이번 패치 이후 마우스문제에 관하여 질문합니다. 기승전정1463 17/05/01 1463
101926 [질문] 혼자 멀리 국내여행을 갈 때 주의할 점을 질문드려요 [26] 언어물리3567 17/05/01 3567
101925 [질문] 노트북 하드 교체 후 윈도우 설치 문제... [8] 냉면과열무4087 17/05/01 4087
101924 [질문] 연휴를 맞아 당일치기로 놀러가려 합니다. [4] Love.of.Tears.2462 17/05/01 2462
101923 [질문] 오래된 하드 디스크 장착단자 질문(IDE, SATA 방식 아님) [3] 배려2593 17/05/01 2593
101922 [질문] 위쳐3를 해보고 싶은데요... [26] 산타의선물꾸러미2760 17/05/01 2760
101921 [질문] 시티즌 시계를 샀습니다. [5] info21c2690 17/05/01 2690
101920 [질문] 축의금은 아무 봉투에다 넣어서 줘도 되나요? [12] lobotomy3911 17/05/01 3911
101919 [질문] 여행가는데 숙소예약 질문입니다. [1] 싸구려신사1948 17/05/01 1948
101918 [질문] 세월호 관련.. 조심스런 질문 드립니다. [28] 그러려니5664 17/05/01 5664
101917 [질문] 모바일 게임 찾고 있습니다 [6] 이블린2035 17/05/01 2035
101916 [질문] 위쳐3 같은 RPG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새롭게시작9998 17/04/30 9998
101915 [질문] 에어컨 삼성 vs LG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mourinjun14255 17/04/30 14255
101914 [질문] 스타1 질문입니다. 쏘군2258 17/04/30 2258
101913 [질문] 영어 질문... [2] 따루라라랑2571 17/04/30 2571
101911 [질문] 게임 네트워크가 불안정합니다. [4] 후메참3430 17/04/30 3430
101910 [질문] 소상공인과 영세사업자는 자본가인가요? [14] 사신아리2648 17/04/30 2648
101909 [질문] 한국에서 자연재해에 가장 안전한 지역은 어디일까요? [15] 탈리스만4102 17/04/30 4102
101908 [질문] 스노쿨링 마스크 추천부탁드립니다 [4] 연벽제8736 17/04/30 8736
101907 [질문] 장거리비행시 아이들이 할만한 게임 뭐 있나요? [7] moqq3091 17/04/30 3091
101906 [질문] 총알못 배틀그라운드 구매질문 [10] 집정관3173 17/04/30 3173
101905 [질문] 카메라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5] 삭제됨2035 17/04/30 20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