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4/15 23:49:56
Name 정공법
Subject [질문] 곰무원시험 1년하면 어느정도 점수 받을수 있을까요
기계직 공무원을 준비하는 청년입니다.

준비한지 얼마 안됬지만 내년 지방직시험을 보려고 하는데요 딱 1년정도 남았는데

기본베이스가 바닥인데 얼마나 올릴 수 있을까요?

국사 베이스없음
국어 수능 4~5
영어 없음
he is teacher 에서
he가 3인칭남자
is 3인칭 단수be동사?
teacher 목적어? 보어?
딱 이 수준 입니다.

선택과목은 기계쪽과목인데 그나마 기계과 나와서 위과목들 보다는 쉽습니다

목표는 자격증 가산점 5점 포함 80점입니다.
경기도인데 저희지역과 인근지역  최근 5년 합격선 찾아보니 가장높았던 점수가 78점 이었습니다.
보통 70점 초~중반에서 형성되는거 같아서 80점을 목표로 했는데 면접까지가도 안정점수 일까요?

기본이 거의 없다시피한데 평균 75점 1년안에 가능 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겜돌이
17/04/16 00:04
수정 아이콘
영어가 없으면 조금 힘들 거 같습니다. 2년 정도는 잡으셔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나이스후니
17/04/16 00:15
수정 아이콘
케바켄데 기계과 친구가 6개월하고 붙었습니다. 평일은 8~10시정도까지 공부하고 주6일씩하더군요. 영어는 토익 800초반이어서 어느정도 되어서 유리했네요.
근데 이게 정말 공부습관과 의지의 문제라 본인 스타일을 잘 아셔야되요. 위에 말한 친구는 토익 800넘긴것도 해커스 학원 3달 바짝하고 넘겨서 주위에서 공무원도 쉽게 되겠구나 했거든요.
이혜리
17/04/16 00:21
수정 아이콘
국어 수능 4~5등급이면 공부의 기본이 거의 안 되어 있을 텐데 1년 안에는 무리일 것 같고 열심히 하셔야 될 것 같아요.
기본이 없어도 공부하는 방법을 아는 그리고 습관이 되어 있는 사람들은 아침 9시 부터 새벽 1시까지 10시간 이상 주욱 효율적으로 달리는데 그런게 안 되어있는 사람들은 같은 1년이 1년이 아닌 경우를 많이 봤어요.
17/04/16 00:35
수정 아이콘
공부 다 자기 하기 나름입니다..
시간, 노력, 돈 이중 어느 것때문에 이루지 못하는거죠..
대체적으로 보면요. 어차피 목표로 하는바가 어느정도는 현실적이니까요.

본인이 얼마큼 할 수 있는지를 곰곰히 생각해보세요..
소피스트
17/04/16 00:48
수정 아이콘
엉덩이 싸움입니다. 플러스 집중력 싸움이에요.

9급 자체는 고교 공부 잘했던 사람한테 극히 유리한 시험입니다만, 그렇다고 노력함에도 점수가 오르지 않는 공부는 아니에요.

보통 단기합격 케이스는, 강의를 선택적으로 보면서 많은 문제를 풀어 감을 익히는 식인데. 공부 방향에 달렸습니다. 차근차근 기본부터 하겠다면서, 전과목 기본강의부터 다 듣기 시작하신다면 기본서양과 강의시간에 매몰될 수도 있어요. 이를 잘 조율해나가야 합니다. 멍하니 앉아 있거나, 폰을 보는 건 공부가 아닙니다. 딴 짓 안하고 집중력 있게만 하신다면 결코 1년이 짧은 시간은 아니라고 생각하네요. 90점대를 노려야하는 일행쪽도 아니니까요,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치열하게 하셔야 해요.
17/04/16 01:20
수정 아이콘
안될사람은 10년 가까이 해도 안됩니다. 될 사람은 길어야 2년 보고요. 솔직히 학벌 기초능력 이런거 다 참고용이지 결국 의지와 머리싸움..
StayAway
17/04/16 03:49
수정 아이콘
학벌이나 수능등급은 절대적인건 아니지만 최소한 그 사람의 공부에 대한 성실성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지표중 하나입니다.
수능 4~5면 그 사이에 획기적인 삶의 변화(최소한 대학가서 장학금 받을 정도로 공부를 했다던지)가 있었던게 아니라면 안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어차피 여기서 조언한다고 들으실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정 하고 싶으시면 장기레이스 이전에 자신을 먼저 테스트 해보길 권해드립니다.
항간에 떠도는 말중에 '서울대 도서관에 아침 7시에 나와서 11시에 들어가는 생활을 1년만 하면 못 붙을 시험이 없다' 라는 말이 있는데
최소한 한달.. 아니 일주일이라도 그 생활을 할 자신이 있는지.. 그리고 스톱워치로 순공부 시간 10시간을 채우는게 얼마나 힘든건지
경험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StillAlive
17/04/16 08:31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다릅니다.
제가 아는 사람 중엔 40대 후반에 다니던 대기업 때려치고 3개월 공부해서 9급 공무원 합격한 사람도 있습니다.
또 아는 친구 중엔 지금 4년 째 공무원 시험 붙들고 있는데 매번 아쉽게 떨어지는 친구도 있네요.
Jon Snow
17/04/16 12:06
수정 아이콘
영어가 관건이네요 다행히 합격컷이 낮은 직렬이라 가능성은 있습니다 한국사는 만점 각오로 해야될것 같은데요
열심히만 한다면 누구든지 1년컷은 가능하다고 봅니다만 열심히 꾸준히 하는게 정말정말정말 어렵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1147 [질문] 외국에서의 펫샵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나요? [5] 토구백2711 17/04/17 2711
101146 [질문] 스타 배넷 방접속 질문입니다;; [7] rDc663019 17/04/17 3019
101145 [질문] 종교관련 서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SpicyPeach1851 17/04/17 1851
101144 [질문] 80년대 후반 소련군 vs 현재 대한민국 국군 [27] 독한혀들의전쟁4541 17/04/17 4541
101143 [질문] 더플랜을 보고 난후 궁금증.... [2] 마르키아르2180 17/04/17 2180
101142 [질문] 싱가포르 최고의 디너부페를 찾습니다 네가오늘수고했어1830 17/04/17 1830
101141 [질문] 이상한건가요? [35] 황제의마린5123 17/04/17 5123
101140 [질문] 나이 많은 남자를 좋아하는 심리를 지칭하는 용어 [6] ArcanumToss7668 17/04/17 7668
101139 [질문] 삭제했습니다. [33] 1번3964 17/04/17 3964
101138 [질문] 스타 리마스터 원활히 돌리고 싶은데요 [7] WhiteBerry3394 17/04/17 3394
101137 [질문] 가성비 갑 런닝화 추천부탁합니다 [8] AspenShaker21286 17/04/17 21286
101136 [질문] FREE2PLAY 게임 추천 좀 해주세요~ [1] 1llionaire2153 17/04/16 2153
101135 [질문] 오래된 연인사이의 스킨십..여쭙습니다 [16] 가제타델로스포르트5835 17/04/16 5835
101134 [질문] 연애중에도 밀당이 필요한가요? [10] K54044 17/04/16 4044
101133 [질문] PS4 구매 관련하여 조언 부탁 드립니다. [10] 삭제됨3230 17/04/16 3230
101132 [질문] 양문형 냉장고 사려고 합니다. 전자제품 리뷰 보는곳 추천 부탁드려요. [7] 어센틱2226 17/04/16 2226
101131 [질문] 선배님들 돈과 친구 문제 조언부탁드립니다 [29] 삭제됨3647 17/04/16 3647
101130 [질문] 원인불명의 프리징 현상때문에 골치아프네요.. [9] 유러피언드림4198 17/04/16 4198
101129 [질문] 포맷 후 렉이 걸립니다 schwaltz3650 17/04/16 3650
101128 [질문] 모니터 필요하신분 계신가요? (나눔) [7] BessaR3a3210 17/04/16 3210
101127 [질문] 비타민 관련 질문입니다 [1] Dalek1955 17/04/16 1955
101126 [질문] [소개팅] 주선해 주신 아주머님의 생각이 궁금하네요. [16] 삭제됨3923 17/04/16 3923
101125 [질문] 우리도 육체노동자들의 임금을 많이 준다면 어떻게 될까요...? [10] nexon2965 17/04/16 29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