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4/11 14:09:36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4/11 14:16
수정 아이콘
세금을 소비자가 전부 부담하지는 않습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각각 부담하게 됩니다. 간접세를 직접세로 부과해도 조세의 귀착은 같습니다. 그 비율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의 영향을 받습니다.
17/04/11 14:18
수정 아이콘
소비세가 부가가치세아닌가요? 따로 소비세란 게 있는지를 모르겠네요.
그러나 생산자가 결국에는 이 세금을 국가에 내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생산자에게 냈으나 그것은 생산자것이 아니고 국가가 가져가는 것인데 생산자가 잠시 맡아두는거죠.
17/04/11 14:4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가 '내국'소비세의 일종이죠.
17/04/11 16:08
수정 아이콘
넵 요새말로는 국내소비세라고 하지 싶습니다. 같은 말인 것같네요.
opxdwwnoaqewu
17/04/11 14:26
수정 아이콘
1. 생산자의 입장

1)부가세가 없을때
제가 1억원어치 재료를 사서 2억원어치 물건을 만들어 팝니다
그럼 1억원이 남죠?

2)부가세가 있을때
1억원어치 재료를 부가세를 주고 1억1천에 삽니다
2억원어치 물건을 팔아서 2억2천만원을 받습니다
그럼 제 수중에 1억1천이 남아있죠?
소득신고하면서 1억1천사고 2억2천 팔았으니
1억1천을 벌었구나 부가세10%내렴 하고 1천만원짜리 고지서가 날아옵니다
그걸 내면 1억원이 남죠?
부가세 없던때와 똑같죠?

2. 소비자의 입장
물건을 사면 10% 비싸게 사죠?
그 돈이 생산자에게 가서 국가가 세금을 떼죠?
결론은 소비할때 낸 10%를 국가가 가져가는 소비세였네요
17/04/11 14:33
수정 아이콘
전 기업의 매출 매입를 소득세 걷기 전에 공개시켜서 세수를 좀 원활히 걷기 위한 방식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정부기관, 정책, 조직, 제도는 그냥 역사적으로 있으니까 있는 경우가 많죠..
사실 부가세 없애고 소득세 3개월마다 걷게 시키고 연말정산하듯 소득세, 법인세 할때 정산해도 크게 문제는 없을듯하네요(총세수는 동일하게 유지한다는 가정하에)
17/04/11 14:5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이유도 있고 추가로 '간접세'의 조세저항이 직접세보다 적다는 이유도 있구요.
부가가치세를 없애고 소득세를 주기적으로 징수하는 방식은 (납세자의) 납세협력비용 및 (정부의) 조세행정비용이 과도해져서 어렵습니다.
17/04/11 16:36
수정 아이콘
세금은 사회가 만들어질 때부터 있었던 세금같은 존재죠.
그런데 말입니다. 생각을 해보면 과거에는 지금처럼 세금을 걷는게 가능했을까요.
소득세 증명하고, 신용카드 쓴거 공제해주고.....
절대 못합니다.

세금을 거두는 방법론 중에 중요한 것은 그 세금을 거두면서 얻을 수 있는 부의 재분배 효과, 세금 부과로 인한 부작용 최소화 등도 있겠지만 '편의성'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너무 어렵거든요. 오늘날같이 기술이 발달하고 행정력이 높은 사회에서도 수많은 탈세자들이 존재하는데 과거에는...
한가지 생각난 세금 관련 재밌는 점은 관세 같은 것들 비중이 과거로 갈 수록 커진다는 겁니다. 그 이유가 관세는 세금을 거두기가 매우매우 쉽기 때문이거든요. 무역할 항구 몇개 지정해서 사무소랑 사람들 몇명 가져다 놓으면 대부분 통제할 수 있거든요.
17/04/11 22:37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합니다. 소비세면서 행정 편의 차이가 큰거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976 [질문] 컴알못의 견적요청입니다.(+추가) [5] Naked Star2269 17/04/13 2269
100975 [질문] PC용 RPG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9] 순규성소민아쑥5508 17/04/13 5508
100974 [질문] 바람의 나라 하시는 분 계신가요? [6] pppppppppp2601 17/04/13 2601
100973 [질문] 바람의나라 무기 이름 질문드립니다 [4] 스윗앤솔티2437 17/04/13 2437
100972 [질문] 공익 겸직 허가 어렵나요? [10] 반전여친10469 17/04/13 10469
100971 [질문] 부모님 결혼기념일 선물은 뭐가 좋을까요 [2] 말랑3135 17/04/13 3135
100970 [질문] 토요일 잠실로 콘서트 보러 가는데 주차 문제.. [7] 피지알볼로2958 17/04/13 2958
100969 [질문] 꽁돈이 150만원생기면 뭘하실꺼에요?? [51] 참교육4789 17/04/13 4789
100968 [질문] 뭘 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5] 물리쟁이2973 17/04/13 2973
100967 [질문] 삼성 hdmi 모니터 질문입니다. [2] 회색추리닝2274 17/04/13 2274
100966 [질문] 갤럭시 S8 기변 관련 궁금합니다 [3] back4more3604 17/04/12 3604
100965 [질문]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쓰시는분들 계신가요? [5] alphamale6142 17/04/12 6142
100964 [질문] 부동산 전세 조건에 대해 평가 부탁드립니다. 처음이라... [2] 츠라빈스카야1795 17/04/12 1795
100963 [질문] 미성년자 안드로이드 태블릿 사용 문의 [1] 롤내일부터끊는다2098 17/04/12 2098
100962 [질문] [노래질문] 간질간질 간~질 발가락이 간지러워 무좀약을 발랐더니 화끈하더라~ [4] 기린그린그림8286 17/04/12 8286
100961 [질문] 노트북(게이밍) 스펙 질문합니다. 니어엘헨로2163 17/04/12 2163
100960 [질문] V20 SK 기변 일단 계약서만 쓴 상태인데 질문입니다. [3] 광개토태왕2467 17/04/12 2467
100959 [질문] C언어 프로그래밍 질문입니다. [19] 올드패션드2662 17/04/12 2662
100958 [질문] 조조전 금전특성 질문드립니다 [13] 2016LGTwins4288 17/04/12 4288
100957 [질문] 무선충전패드의 위험성?! [3] 연필깎이3064 17/04/12 3064
100956 [질문] [스포?] 영화 더록(1996) 질문입니다. [6] 계란4012 17/04/12 4012
100955 [질문] 이 두 단어의 뜻도 같은 뜻으로 봐야하나요?? [5] 잘가라장동건3465 17/04/12 3465
100954 [질문] 특혜, 역차별이 부당한 이유 [38] 삭제됨4431 17/04/12 44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