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4/07 23:01:32
Name 개망이
Subject [질문] 발광다이오드 비문학 지문 하나만 봐 주세요.

국어 과외 강사인데 지문이 이해가 안 가서 여쭤봅니다.ㅠㅠ 국어괴수님이나 공대분들? 도와 주세요ㅠ

본문

단일항 여기자는 삼중항 여기자보다 높은 에너지 상태에 놓여있기 때문에 단일항 여기자의 에너지상태로부터 삼중항 여기자의 에너지 상태로 에너지 전달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계간교차라 한다. 이때 삼중항 여기자에 의해 빛이 생성되며, 나머지 단일항 여기자 역시 계간교차를 통해 삼중항 여기자로 에너지를 전달하므로 여기자 모두 빛의 생성에 기여하게 된다.

[보기] 최근 연구 보고된 열활성지연형광은 단일항 상태와 삼중항 상태의 에너지 차이를 줄여 둘 사이의 전환을 쉽게 한 뒤 삼중항 여기자에 에너지를 가해 단일항 여기자로 전환한다.

1. 이것은 계간교차와 반대방향으로 에너지 전달이 일어나겠군


Ebs는 보기는 삼중항이 단일항이 되므로 단일항에서 삼중항으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계간교차와 에너지 전달 방향이 반대라고 하는데요.

삼중항이 단일항이 되는 것과, 삼중항 에너지가 단일항으로 가는 것은 다른 이야기 아닌가요? 전자는 전환이고...후자는 전달이고 아예 별개의 개념 같은데...
A의 에너지가 b로 가는 것.
A가 에너지를 받고 b로 변하는 것.
이게 이과에서는 같은 개념인가요?
에너지 전달 방향이야 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가는 것 아닌가요.

저랑 다른 학원 강사는 이거 문제 오류다.
학교 선생님인 친구는 문제가 깔끔하진 않으나 오류까진 아니다.  
Ebs 검색해보니 ebs강사들은 문제없다 vs 문제 없지만 이의제기는 할 만하다 이렇게 갈리는데
주변에 이과생이 없어서 전달과 전환 개념이 같은 것인지 다른 것인지 모르겠습니다ㅠㅠ
도와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17/04/07 23:48
수정 아이콘
공대인입니다. 문장 전체에서 [전달]이라는 단어를 부적확하게 사용했습니다.

일단 발광 다이오드는 잘 모릅니다만... 상태 변화에 따른 에너지 방출은 대충 압니다. (양자역학 기초입니다)

에너지 준위 즉, 에너지가 존재할 수 있는 상태는 연속적이지 않습니다. 최소 기준 상태가 n이라면 2n, 4n, 8n 등의 상태만이 존재할 수 있지요. 물론 이 상태 여럿이 중첩하면 연속하는 것처럼 촘촘할 수는 있습니다. 그래도 에너지가 존재할 수 없는 불연속 공간이 존재하는데 이를 에너지 갭(gap)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에너지가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을 에너지 밴드(band)라고 하고요)

그럼 에너지가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물질의 상태가 변화하면 어떻게 될까요? (ex. 전자의 이동) 에너지 갭에 해당하는 만큼 에너지가 방출 되어야 합니다. 이때 빛이나 열의 형태로 방출하는 게 보통입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계간교차라는 '에너지 준위의 변화'를 통해 잉여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는 것이 발광 다이오드라고 생각하시면 비슷할 겁니다.

따라서 위 문장을 올바르게 서술한다면, "단일항 여기자는 삼중항 여기자보다 높은 에너지 상태에 놓여있기 때문에 단일항 여기자의 에너지상태로부터 삼중항 여기자의 에너지 상태로 변화할 경우 에너지 방출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계간교차라 한다. 이때 삼중항 여기자에서 빛이 생성되며, 나머지 단일항 여기자 역시 계간교차를 통해 삼중항 여기자로 변화하며 에너지를 방출하므로 여기자 모두 빛의 생성에 기여하게 된다."라고 해야 합니다.

여기까지는 공돌이 관점이었고...

글쟁이 관점에서 보자면 정말 더러운 문장이네요... 글못쓰 쩝니다....
개망이
17/04/07 23:51
수정 아이콘
아 그러면 단일항이 삼중항이 되는 순간 삼중항으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외부로 방출되는 것인가요?
그래서 삼중항이 어디선가 에너지를 흡수하여 단일항이 되는 것과 반대방향이라고 한 것인가요? 그걸 저렇게 쓴 건가요ㅠ

저거 말고도 단일항이 에너지 뺏기면 삼중항이 되느냐 마느냐로 의견이 갈렸는데 단일항이 외부로 에너지 방출되면 삼중항이 되는 건 맞는 거죠?
마스터충달
17/04/07 23:57
수정 아이콘
그렇죠. 삼중항(낮은 에너지 상태)가 에너지를 흡수해야 단일항(높은 에너지 상태)가 되겠죠.
개망이
17/04/07 23:58
수정 아이콘
본문을 전달이 아니라 방출 개념으로 보면 보기와 답이 맞네요ㅠㅠ 그냥 본문부터 잘못 쓰인 글이라고 방출로 바꾸어 설명해 주면 맞게 되는 거죠?

한 가지 더 질문하면, 본문도 보기도 삼중항은 에너지를 흡수하는 개념인 거죠?
마스터충달
17/04/08 00:01
수정 아이콘
그렇죠. 에너지를 전달한다고 한다면 주는 쪽이 잃고, 받는 쪽이 얻어야 옳습니다. 만약 에너지가 100% 전달 되었다면, 빛이라는 형태가 발현될 수가 없어요.

빛과 열은 대표적인 에너지 방출 현상입니다.
개망이
17/04/08 00:03
수정 아이콘
너무 감사드립니다..ㅠㅠ
마스터충달
17/04/08 00:06
수정 아이콘
음... 단일항이든, 삼중항이든 어떤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삼중항에서 다시 에너지를 방출하면 에너지 준위가 더 낮은 상태가 될 수도 있지요.

어쨌든 단일항과 삼중항 사이에서는 삼중항이 에너지를 얻어야 단일항이 될 수 있습니다.
개망이
17/04/08 00:08
수정 아이콘
정말 감사합니다. 하나만 더 여쭈어 보면... 본문이나 보기나 삼중항이 에너지를 얻는 상황인데요. 그러면 두 경우의 에너지 방향이 반대라고 하기는 어렵지 않나요?
마스터충달
17/04/08 00:15
수정 아이콘
음... 방출에 방향이란 게 있을까요?? 에너지를 얻는다 혹은 잃는다는 개념만 있습니다. 주고 받는다는 개념이 없는데 방향이랄게 있을리가요;; 똑같은 물질이 에너지를 얻었다가 잃었다가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마치 손오공이 초사이어인2가 됐다가, 초사이어인3가 됐다가 하는 것처럼요. "상태 변화의 방향"은 반대가 맞지만, "에너지의 방향"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에너지를 얻는 과정은 분명 인위적이어야 할 겁니다. 전기를 공급한다던지 말이죠.
에너지를 잃는 과정은 간단합니다. 바로 발광하는 거죠.

여담인데 발광다이오드가 LED였군요;; -_- LED로 프로젝트도 했었는데 잘 모른단 소리를 했.... 역시 졸업하고 오래 지나니 이 모양 이 꼴이 되는 군요 ㅠㅠ
개망이
17/04/08 00:17
수정 아이콘
하 그러네요. 저도 상태 변화의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계속 주장했는데...
애초에 에너지를 주고 받는다는 본문이 잘못된 거고 전달 방향을 묻는 문제 자체가 잘못된 거네요. 문제오류가 맞군요..
수능과 연계되는 ebs인데... 이의제기 하러 가겠습니다 크크 감사해요!
아케르나르
17/04/08 06:36
수정 아이콘
ebs 보기가 좀 이상하게 된 것 같네요. 본문 내용으로만 보자면 ebs 보기만 보고 비전공자가 이해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설명을 좀 더 추가해야 될 것 같네요.
좋은하루되세요
17/04/08 08:25
수정 아이콘
아마 이런 내용겁니다.

state high(단일항) state low(삼중항)이 있습니다.
led의 상태가 high에서 low로 가면서 에너지의 차액 만큼 빛 에너지를 방출 합니다.[본문][계간교차]
에너지를 방출했으니 원상 복귀를 위해 다시 채워 줘야겠죠? 이때는 전기 에너지를 채워줍니다.[보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765 [질문] 수도권에 자연과 잘 조화된 문학관 또는 전시관이 있을까요? [5] SaiNT1894 17/04/09 1894
100764 [질문] 올림픽 공원 주차 해보신분? [4] 인간_개놈2231 17/04/09 2231
100763 [질문] 세종시에서 간단히 묵을 숙박업소 추천 부탁드려요 사장3643 17/04/09 3643
100762 [질문] 금천구쪽 헬스장 아시는분 계신가요 태엽감는새1984 17/04/09 1984
100761 [질문] 택시와 차대차 교통사고 문의드립니다. [5] LaVigne.2662 17/04/09 2662
100760 [질문] PC 게임 추천 부탁 드립니다. [12] 삭제됨4794 17/04/09 4794
100759 [질문] MS office 학생라이센스 설치방법.... [8] Paul Pogba3792 17/04/09 3792
100758 [질문] g4560+1050 견적 짜봤는데, 평가 좀 부탁드립니다. [6] 미네랄배달5621 17/04/09 5621
100757 [질문] 동네 농구장에서 슛 쏘는법 가르쳐 달라면 민폐일까요? [12] 삭제됨4149 17/04/09 4149
100756 [질문] 던밀스 라는 래퍼 급이 어찌 되나요? [12] tannenbaum5485 17/04/09 5485
100755 [질문] 건물 지하 주차장에서 차를 긁었는데..잘잘못 비교 좀 부탁드려요. [6] 악비2926 17/04/09 2926
100754 [질문] 컴퓨터용 의자 추천 부탁드립니다. 이선빈3128 17/04/08 3128
100753 [질문] 노래제목 찾아요... [9] 연필깍이2757 17/04/08 2757
100751 [질문] 현재 컴퓨터 사양으로 4k모니터 사용이 아예 불가능할까요? [10] 가끔4597 17/04/08 4597
100749 [질문] 중고모니터 괜찮은 제품 저렴하게 살 수 있는 곳 있을까요 [6] 아리아리해2154 17/04/08 2154
100748 [질문] 전기 손난로 써보신분 제품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리들1757 17/04/08 1757
100747 [질문] ps4 종류 버전 추천부탁합니다. [9] 누명5293 17/04/08 5293
100746 [질문] 베란다 천장이 비만 오면 젖습니다 [4] 삭제됨2697 17/04/08 2697
100745 [질문] 7월에 2주간 유럽 여행을 갈수 있다면 어느나라로 가시겠어요? [23] Barney5383 17/04/08 5383
100744 [질문] CJ 인적성 & 논리 문제 하나 질문합니다. [5] aSlLeR2724 17/04/08 2724
100743 [질문] [마감]영화 프리즌 메가박스 관람하실 분 계신가요? [6] YWHY2289 17/04/08 2289
100742 [질문] 사람의 옆모습 턱관절 모양은 왜 차이가 나는지요...? [6] nexon2936 17/04/08 2936
100741 [질문] 나영석피디 작품 뭐가 재밌나요? [13] 파란무테4652 17/04/08 46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