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3/31 08:35
저도 이번에 경력직으로 이직했는데, 경력직은 다른것보다 포트폴리오가 대부분이며 전부가 아닌가 싶네요.
자신이 했던 프로젝트 경력, 할 수 있는 스킬, 스킬들의 숙련도만 말하면 된다 싶었습니다. 음.. 대화스킬은 덤이겠네요.
17/03/31 08:46
그렇겠네요. 저는 이번 면접이 경력과는 조금 동떨어진 분야라 이점을 어떻게 어필할지 고민스러운데, 잘 통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17/03/31 09:16
업종 특화인지 개발능력 특화인지 모르겠지만
업종 특화라면 해당 업종에 대한 지식 공부를 해야될것 이고 개발 특화라면 프로그래밍 질문을 많이 합니다. (웹이면 스크립트 문제나 클래스 문제 같은거)
17/03/31 09:50
거의는 면접관에 따라 케바케라서..
업종에 따라 뭘 준비하고 어쩌고 하는게 의미가 없더군요. 모르는거에 대해 어설프게 아는척 하지 않고, 솔직하되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이면 될 거 같습니다. 너무 원론적인 답변이네요. ^^
17/03/31 10:16
it서비스 회사에 개발직군이고 면접시간이 길다면 알고리즘 문제가 있지 않을가 하네요.
저희회사는 손코딩으로 알고리즘 푸는 것이 면접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7/03/31 11:27
답변 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방금 면접 보고나왔습니다. 면접날 아침에 질문하는게 별의미 없긴해도 주신 답변들 보면서 힘 얻고 잘 치른듯합니다.
코딩하는 회사에 코딩못하는 사람이어서 걱정이있었는데 업무 구분이 확실했고 지원한 분야가 저에게도 잘 맞아보여 자신있게 임할수 있었습니다. 회사도 생각했던것 보다 좋은회사였던것 같구요. 면접관분들도 좋으신분이 들어오신거 같아 편하게 했습니다. 외국계회사라 추가적으로 본사와 영어면접이 있을꺼 같은데 잘 준비해야할꺼 같아요. 좋은결과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