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28 13:28:24
Name G70
File #1 1.png (104.5 KB), Download : 20
Subject [질문] [스타1] 스타 리마스터가 나오면 기존 프로게이머들 티어는 어디쯤 속할까요?


위 사진은 롤 랭크 등급 분포도입니다.(op.gg 펌)



[현재 아프리카 BJ를 하고있는 스타1 프로게이머 명단입니다.]

이제동, 이영호, 송병구, 염보성, 김택용, 철구, 김정우, 김윤중, 홍구, 박성균, 정윤종

이경민, 조일장, 도재욱, 전태규, 김승현, 이성은, 윤찬희, 김민철, 안기효, 김명운, 임진묵

박지호, 변형태, 최호선, 변현제, 강민, 김성현, 장윤철, 윤용태, 박수범, 이재호, 진영화

이윤열, 김재훈, 조병세, 하늘, 조기석, 신상문, 유영진, 고석현, 박용욱, 한두열, 김기훈

박재혁, 박승호, 차재욱, 이영한, 이영웅, 구성훈, 박태민, 김봉준, 임성춘, 강구열




몇년간 아프리카를 안보다보니 프로게이머들 실력이 어떤지 잘 모르겠네요.
여기서 롤과 똑같은 등급 시스템이라고 가정했을때
챌린저에 들어갈만한 프로게이머는 어느 선수들일지 궁금합니다. (챌린저는 1등~200등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yler Durden
17/03/28 13:34
수정 아이콘
몇몇 올드게이머나 임성춘?!! 님만 빼면 다 챌린저급 아닌가요...
스1 게이머를 5만명 잡아도 0.01퍼면 500명이예요. 저사람들이 500위안에 들어갈테구요..
17/03/28 13:35
수정 아이콘
0.01%면 5명..
Tyler Durden
17/03/28 13:38
수정 아이콘
아 계산 잘못했네요..
근데 퍼센트지가 아니라도 등수로만 따지면 몇몇만 빼면 챌린저급은 다 들어가죠..
17/03/28 13:40
수정 아이콘
아 그정도인가요? 아프리카를 안보다보니 프로게이머들 현역때보다 현저하게 못할줄 알았는데 그건 아닌가보군요.
Tyler Durden
17/03/28 13:52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전프로였던 사람들이니 게임이해도나 기본기가 넘사벽입니다.
bj가 아닌 일반인이여봤자 스1을 아직도 열심히 하고 있는사람은 잘 없을테구요.
지금은 스1게임인구가 줄어서 퍼센트지로 잡으면 확 줄어들긴 할텐데.. 등수로는 그렇습니다.
17/03/28 13:57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현재 스1 게임인구를 퍼센트지로 따지면 챌린저는 30명 정도가 적당하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17/03/28 14:06
수정 아이콘
현역때보다 못한다처도 그게 이미 일반인 고수보다 몇수위 실력이니;;
17/03/28 14:05
수정 아이콘
롤은 아직도 신규유입이 되고있고 인기도 충분해서, 1세대 게이머들이 다이아 이하에서 헤매는 경우도 있지만
스타는 게임치고는 역사가 긴 편이라, 출시 초기 선점하고 있던 고수들도 대부분 교체가 되었고 신규유입도 없어진지 꽤 됐으며, 생업으로 게임하는 BJ들 보다 열심히 플레이하는 일반 유저가 거의 없을거라, 전 프로출신 BJ들은 거의 다 최상위층에 속할 거 같네요.
17/03/28 14:07
수정 아이콘
철구만 해도 200등 안에는 너끈히 들어가지 않을까요?
아마존장인
17/03/28 14:08
수정 아이콘
이 게임은 챌린저를 200명으로 하면안되죠
10~20명 정도로해서 희소성 높이는 것도 괜찮을듯
걱정말아요 그대
17/03/28 14:15
수정 아이콘
몇몇을 제외하고는 너무나 당연히 챌린저겠지요
17/03/28 14:16
수정 아이콘
스2 그마처럼 정해진 숫자로 자르지 않을까요?
200명이었나 그랬던거같은데요
그러고보니 티어제 원래 스타거 가져온거였죠 크크
17/03/28 14:16
수정 아이콘
롤은 유저가 많으니 최상위 티어 인원이 200명 이고
스타리마스터에서 티어 나누면 최상위 티어가 몇명일지는 모르겠지만 더 적겠지요

5명으로 잡으면 이영호 김성현 김정우 김명운 김택용 정도가 될 것 같고요
근데 어짜피 롤이나 스타나 프로게이머 사이에서 래더점수가 큰 의미가 있는건 아니라 최상위 선수가 래더 랭킹 최상위권에 있지는 않습니다
https://s.fishbattle.net/rank_ladder
현재 피쉬서버 래더랭킹인데
1위 샤이니 2위 변현제 3위 장윤철 입니다 이영호는 14위네요

그리고 아마추어 최강자의 실력과 전프로 BJ 출신의 실력이 궁금하다면
ASL 멤버들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ASL은 예선 참가 자격이 없어서 누구나 참가가능한데
시즌1의 경우 16명 모두가 전프로 출신이고, 시즌2의 경우 24명(시드권자 4명 포함하면 총 28명) 중 3명의 아마추어가 예선을 통과했습니다
그리고 24강에서 3명모두 0승 2패로 탈락했습니다
17/03/28 14:30
수정 아이콘
전프로와 아마추어의 갭이 크군요.. 리마스터가 나와도 전프로들이 랭킹 최상위권을 차지하는건 기정사실이겠네요.
새로운 물이 들어와야 할텐데.. 리마스터에서 기대해봅니다.
래쉬가드
17/03/28 14:32
수정 아이콘
롤 랭크 분포도 보니 골드도 정말 잘하는거네요
내가 골드 못가는것도 이해가 가는군!
Paul Pogba
17/03/28 14:36
수정 아이콘
근데 시즌2-3시절만해도
제가 골드5 찍으면 10프로 초반대였습니다
골드1찍으니 한자리 겨우들어갔고요
요즘은 골드가 상위 25-30퍼도가능하니....
(세기말되면)
17/03/28 16:19
수정 아이콘
옵치로 오십시오! 골드는 달 수 있습니닷!!
17/03/28 14:38
수정 아이콘
롤 골플이 이렇게나 없었나요? 저도 플레기이긴 한데 노멀을 하든 칼바람을 하든 플골이 대다수라 잘 모르고 있었는데..
유자차마시쪙
17/03/28 15:11
수정 아이콘
골5까지 상위26.4%면 나머지 73.6%가 브실이네요 이야...
율곡이이
17/03/28 15:14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스타 전 프로게이머들이 레더 게임을 손풀기로 한두게임 하는정도라서 점수가 안 쌓이는 거지 일반인들과 실력차는 많이 나는거 같아요.
17/03/28 15:55
수정 아이콘
스타2 계급테이블 똑같이 갖고와서 자르겠죠
그랜드마스터 찍을듯
선동가
17/03/28 16:16
수정 아이콘
현실력탑3 꼽자면
1.김성현 2.이영호 3.김정우 꼽아봅니다. 5위까지하면 김택용정도
17/03/28 16:17
수정 아이콘
0.01프로가 최상위인거 보면 롤이 참 어지간하게 유저수 많나봅니다..허허

0.01이 200명이라닛!!
케이틀린
17/03/28 17:44
수정 아이콘
지금 몇시즌째 오프 대회에서 힘 못 쓰는 임홍규 몽군 같은 전프로들도 각잡고 래더하면 우습게 S 랭크 찍습니다.
아마 대부분이 그랜드마스터 찍을 것 같아요.
MirrorShield
17/03/28 19:26
수정 아이콘
스타2랑 똑같이 하겠죠;
dfjiaoefse
17/03/29 01:15
수정 아이콘
전프로들은 스폰겜 위주로 하고 할거없을때 시간때우기로 래더 하는거 같습니다.

각잡고하면 아마한테 거의 안질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282 [질문] 롤챔스 코리아 스프링 미출전 선수가 [1] 軽巡神通2208 17/03/30 2208
100281 [질문] 스타 w런쳐 자동리플레이 저장이 안됩니다. [2] brief encounter3331 17/03/30 3331
100280 [질문] FPS 안하면 고주사율 필요없나요? [8] 성기사7056 17/03/30 7056
100279 [질문] 교통사고 치료와 합의 질문 [7] 마남2977 17/03/30 2977
100277 [질문] 지금 서피스 프로 4 사도 될까요? [7] BlazePsyki3799 17/03/30 3799
100276 [질문] 프로축구나 야구에서 외모가 연봉에 영향은... [20] 마르키아르3558 17/03/30 3558
100275 [질문] FHD 모니터에서 유튜브 4K 영상이 선명하게 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4] StillAlive6087 17/03/30 6087
100274 [질문] 덱 키보드 질문드립니다. [4] 파츠6118 17/03/30 6118
100273 [질문] 네이버는 고객센터 전화상담 기능이 없나요? [6] 미노3776 17/03/30 3776
100272 [질문] 컴퓨터 업글을 하고싶습니다. 체감이 있을지 질문드려요. [17] 이슬먹고살죠4335 17/03/30 4335
100271 [질문] 직업상담사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프레디2368 17/03/30 2368
100270 [질문] 최신게임은 UHD 모니터에서 해상도 하향이 되나요? [17] 성기사8922 17/03/30 8922
100269 [질문] 최근에 분당지역내 평양냉면집에 가보신분 계신가요? [6] 정지연2732 17/03/30 2732
100268 [질문] [스마트폰] 갤럭시S8, 어디서 예약하면 좋을까요? [4] 호리 미오나3672 17/03/30 3672
100267 [질문] 헌터에서 1:1의 종족 밸런스 [15] 똥꼬쪼으기7360 17/03/30 7360
100265 [질문] iptime 공유기 추천해주세요. [3] 러셀의역설2974 17/03/30 2974
100264 [질문] 일체형PC 쓰시는 분들 있나용? [4] LG.33.박용택2618 17/03/30 2618
100263 [질문] 안양 금정역부근 맛집추천부탁드립니다. [5] kogang20012428 17/03/30 2428
100262 [질문] 유모비 알뜰폰 요금제 질문입니다. [1] 대니얼1983 17/03/30 1983
100261 [질문] 배경음악이 있는 자동 사진 슬라이드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법? [7] _zzz2677 17/03/30 2677
100260 [질문] 애인한테 휴대폰 비밀번호 공유하시나요? [41] 참교육10197 17/03/30 10197
100259 [질문] hmat 공간지각은 재능의 영역인가요? [6] Genius4077 17/03/30 4077
100258 [질문] 근현대사 과제인더요. 시기 구분 도와주세요~ [5] Genius2226 17/03/30 22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